$\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건물 실내 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질량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Size-segregated Mass Concentrations of Indoor Aerosol Particles in University Buildings 원문보기

한국산업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4 no.4, 2014년, pp.453 - 461  

서정민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왕빈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장성호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박정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금찬 (동아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Based on the fact that fine particles are more likely to produce negative influences on the health of occupants as well as the quality of indoor air compared to coarse particles, it is critical to determine concentrations of aerosol particles with different sizes. Thus, this study focu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내공간에서 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농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대학건물의 다양한 실내공간을 우선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에어로졸입자의 분급포집 장치인 다단 임팩터(Cascade impactor)를 사용하여 실내공기 중 입경별 농도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건물을 포함한 다양한 실내공간에서 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특성 및 농도저감과 관리를 위한 유효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내공간에서 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농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대학건물의 다양한 실내공간을 우선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에어로졸입자의 분급포집 장치인 다단 임팩터(Cascade impactor)를 사용하여 실내공기 중 입경별 농도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건물을 포함한 다양한 실내공간에서 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특성 및 농도저감과 관리를 위한 유효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어로졸입자의 특징은? 최근, 환경보건학적 측면에서 실내공기질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현대인들은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생활함과 동시에 주요 공기오염물질의 농도가 실외보다 실내가 높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Montgomery & Kalman, 1989; Lee & Chang, 2000; Lee & Kim, 2004). 특히 사무실, 학교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서는 독성, 알레르기성, 발암성의 무기 및 유기물질들이 혼합된 에어로졸입자(Aerosol particles)가 주요한 오염물질이며, 에어로졸입자는 실내외 공기 중 고체 또는 액적상태의 부유물질로 입경 수 nm에서 100 μm까지 넓은 범위로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대학건물 내 실내 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농도 특성을 파악한 결과 PM10 농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에서는 대학건물 내 실내 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농도 특성을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기간 중 대학건물 내 PM10 농도는 전반적으로 실내공기질 유지농도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기존 보고된 국내 다중이용시설의 평균농도보다 높았다. 또한, PM2.
실내 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농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선 어떠한 것을 이용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실내 에어로졸입자의 입경별 농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8단 임팩터(8 Stage non-viable cascade impactor, TE-20-800, Tisch Environmental Inc., USA)와 직경 81 mm 유리섬유 필터(TE-20-301, Tisch Scientific Inc., USA)를 사용하였다. 본 임팩터는 입구로부터 유입된 에어로졸입자를 0~7단의 충돌 분리판 및 backup 필터로 분급 포집되며, 각 분리단의 공기역학적 분급입경은 각각 0단(> 9 μm), 1단(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u S, Witschger O. A modular tool for analyzing cascade impactors data to improve exposure assessment to airborne nanomaterials. J Phys Conf. Ser. 2013;429:1-10 

  2. Carlton AG, Turpin JB, Johnson W, Buckley BT, Simcik M et al. Methods for characterization of personal aerosol exposures. Aerosol Sci Technol 1999;31(66):66-80 

  3. Donaldson K, Li XY, MacNee W. Ultrafine(nanometer) particle mediated lung injury. J Aerosol Sci 1998;29 (5/6):553-560 

  4. Hinds WC. Aerosol Technology: Properties, Behavior, and Measurement of Airborne Particles. John Wiley and Sons Inc.; 1982. p. 120-150 

  5. Kavouras IG, Stephanou EG. Gas/particle partitioning and size distribu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carbonaceous aerosols in public buildings. Indoor air 2002;12:17-32 

  6. Kim JH, Lee TJ, Kim DS. Investigation of indoor air qu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distribution in a university library. J Korean Soc Indoor Environ 2008;5(1):24-36 

  7. Lee CM, Kim YS. Analysis of research trend for indoor air pollutants and health risk assessment in public facilities. J Korean Soc Indoor Environ 2004;1(1):39-60 

  8. Lee SC, Chang M.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investigation at schools in Hong Kong. Chemosphere 2000;41:109-113 

  9. Meng QY, Turpin BJ, Korn L, Weisel CP, Morandi M et al. Influence of ambient(outdoor) sources on residential indoor and personal $PM_{2.5}$ concentrations: analyses of RIOPA data. J. Expo. Anal. Environ. Epidemiol. 2005; 15:17-28 

  10. Ministry of Environment(MoE).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technology - A risk analysis of indoor/ outdoor airborne fine particles : Based on environmental epidemiological research. Report, 091-041-032; 2008. p.10 

  11. Ministry of Environment(MoE). Indoor air quality guideline Act; 2014. 

  12. Montgomery DD. Kalman DA, Indoor/outdoor air quality: Reference concentrations in complaint free residences. Appl. Ind. Hyg. 1989;4:17-20 

  13. Nam MR. Exposure assessment of $PM_{10}$ and $PM_{2.5}$ in office buildings.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Korea; 2013. p.20 

  14. O'Shaughnessy PT, Raabe OG. A comparison of cascade impactor data reduction methods. Aerosol Sci Technol 2003;37:187-200 

  15. Park JH, Choi KC.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composition and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aerosols by low-pressure impactor. J KOSAE 1997;13(6):475-486 

  16. Qian J, Hospodsky D, Yamamoto N, Nazaroff WW, Peccia J. Size-resolved emission rates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an occupied classroom. Indoor Air 2012;22: 339-351 

  17. Roberts DL, Mitchell JP. The effect of nonideal cascade impactor stage collection efficiency curv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size of inhaler-generated aerosols. AAPS PharmSciTech 2013;14(2):497-510 

  18. Sienfeld JH, Pandis SN.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John Wiley and Sons Inc.; 1998. p. 408-447 

  19. Uhde E, Salthammer T. Impact of reaction products from building materials and furnishings on indoor air quality - A review of recent advances in indoor chemistry. Atmos Environ 2007;41:3111-3128 

  20. Vaughan NP. The Andersen impactor: Calibration, wall losses and numerical simulation. J Aerosol Sci 1989; 20(1):67-90 

  21. Whitby K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ulfur aerosols. Atmos. Environ. 1978;12:135-159 

  22. Willeke K, Whitby KT. Atmospheric Aerosols: Size Distribution Interpretation. J Air Poll Cont Assoc 1975;25:529-534 

  23. Won SR, Lim JY, Shim IK, Kim EJ, Choi AR et al. Characterization of $PM_{2.5}$ and $PM_{10}$ concentration distribution at public facilities in Korea. J Korean Soc Indoor Environ 2012;9(3):229-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