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선횡단조사에 의한 서해 연안 봄철 바닷새의 분포 양상
Seabird Distribution Patterns by Strip Transect in the Yellow Sea in Spring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7 no.6, 2014년, pp.973 - 977  

김현우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  김영혜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  안용락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  박겸준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  안두해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distribution of seabirds using strip transect counts from May $2^{nd}$ to $30^{th}$, 2011. we observed 322 individuals from nine seabird species.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48.4%) were numerically dominant. Ancient murrelets (Synthliboramphus antiqu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2011년 5월 서해안에서 시험조사선에 의한 직선횡단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봄철 서해연안에 출현하는 바닷새의 종조성과 분포를 파악하여 서해의 해양 생태계 연구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닷새란 무엇인가? 바닷새는 연안역이나 외해, 혹은 대양에서 먹이를 취하는 조류로(Harrison, 1983), 해양생태계의 상위포식자 역할을 하며 다양한 종류의 어류 및 두족류, 난바다곤쟁이와 같은 대형 동물성플랑크톤을 주로 섭이한다(Gaston, 2004). 전 세계 바닷새가 일 년간 필요로 하는 먹이양은 7천만에서 1억 톤 가량으로 추정되며(Brooke, 2004) 이는 전 세계 수산물 연간 어획량인 약 9천만 톤(FAO, 2014)에 상당하는 양이다.
바닷새가 필요로 하는 먹이양은 얼마나 되는가? 바닷새는 연안역이나 외해, 혹은 대양에서 먹이를 취하는 조류로(Harrison, 1983), 해양생태계의 상위포식자 역할을 하며 다양한 종류의 어류 및 두족류, 난바다곤쟁이와 같은 대형 동물성플랑크톤을 주로 섭이한다(Gaston, 2004). 전 세계 바닷새가 일 년간 필요로 하는 먹이양은 7천만에서 1억 톤 가량으로 추정되며(Brooke, 2004) 이는 전 세계 수산물 연간 어획량인 약 9천만 톤(FAO, 2014)에 상당하는 양이다. 바닷새의 먹이는 어업 대상종과 중복되거나, 섭이장이 조업 구역과 겹치는 경우가 많아 바닷새와 어업 활동 사이에서의 경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Montevecchi, 2002; Karpouzi et al.
바닷새가 필요로 하는 먹이양이 많음에 따른 수산업과의 관계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전 세계 바닷새가 일 년간 필요로 하는 먹이양은 7천만에서 1억 톤 가량으로 추정되며(Brooke, 2004) 이는 전 세계 수산물 연간 어획량인 약 9천만 톤(FAO, 2014)에 상당하는 양이다. 바닷새의 먹이는 어업 대상종과 중복되거나, 섭이장이 조업 구역과 겹치는 경우가 많아 바닷새와 어업 활동 사이에서의 경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Montevecchi, 2002; Karpouzi et al., 2007) 어구에 의한 혼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기도 하는 등(Žydelis et al., 2009; Anderson et al., 2011) 바닷새와 수산업은 상호 영향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 YR, Park KJ, Kim HW, Kim DN, Sohn H and An DH. 2012. Cruise report of the Korean sighting survey in the Yellow Sea, May 2011. SC/64/NPM6 presented to the IWC, 4. 

  2. Anderson OR, Small CJ, Croxall JP, Dunn EK, Sullivan BJ, Yates O and Black A. 2011. Global seabird bycatch in longline fisheries. Endang Sp Res, 14, 91-106. 

  3. Brooke, ML. 2004. The food consumption of the world's seabirds. Biol Lett 271, 246-248. 

  4. Davoren GK and Montevecchi WA. 2003. Signals from seabirds indicate changing biology of capelin stocks. Mar Ecol Prog Ser 258, 253-261. 

  5. Einoder LD. 2009. A review of the use of seabirds as indicators in fisheries and ecosystem management. Fish Res 95, 6-13. 

  6. FAO. 2014. FAO yearbook. In: Fishery and Aquaculture Statistics. FAO, Rome, Italy, 76. 

  7. Fauchald P and Erikstad EK. 2002. Scale-dependent predatorprey interactions: the aggregative response of seabirds to prey under variable prey abundance and patchiness. Mar Ecol Prog Ser 231, 279-291. 

  8. Gaston AJ. 2004. Seabirds: A Natural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U.S.A., 222. 

  9. Hao W, Jian S, Ruijing W, Lei W, and Yi'an L. 2003. Tidal front and the convergence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eggs in the Yellow Sea. Fish Oceanogr 12, 434-442. 

  10. Harrison P. 1983. Seabirds, an Identification Guide. Houghton Mifflin Co, Boston, U.S.A., 448. 

  11. Hiby AR and Hammond PS. 1989. Survey techniques for estimation numbers of cetacean. Rep Int Whal Comm 11, 47-80. 

  12. Hwang SD, Song MH, Lee TW, McFarlane, GA, and King JR. 2006. Growth of larval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Yellow Sea as indicated by otolith microstructure analysis. J Fish Biol 69, 1756-1769. 

  13. Kang JH, Kim, IJ, Kang, TH, Yu SW, Lee SW and Lee HS. 2008. Study on the breeding status of the natural monument islet (Chilbaldo, Sasudo, Nando, Hongdo). Kor J Ornithol 12, 169-175. 

  14. Karpouzi VS, Watson R and Pauly D. 2007. Modelling and mapping resource overlap between seabirds and fisheries on a global scale: a preliminary assessment. Mar Ecol Prog Ser 343, 87-99. 

  15. Kim HW, An YR, Choi SG and Sohn H. 2011a. First record of the long-tailed Skua (Stercorarius longicaudus) in Korea. Kor J Ornithol 18, 259-262. 

  16. Kim HW, Kim ZG and Choi SG. 2011b. Seabird distribution patterns by sighting survey in the East Sea in spring. Kor J Environ Ecol 25, 123-131. 

  17. Lee CL. 2004. Review of the fish-fauna of the West Sea of Korea. Kor J Ichthyol 16, 60-74. 

  18. Lee KG and Yoo JC. 2004. Variation in chick provisioning of streaked shearwaters (Calonectris leucomelas) during the early nestling stage. J Yamashina Inst Ornitol, 35, 105-119. 

  19. Lee KG, Nam KB, Lee K, Lee JW and Yoo JC. 2002. The avifauna of Sasudo Island, a main colonial breeding site of streaked shearwaters (Calonectris leucomelas). Kor J Ornithol 9, 13-22. 

  20. Lee KS. 1989. Breeding biology of swinhoe's fork-tailed petrel Oceanodroma monorhis (Swinhoe) on Chilbal Islet, Korea.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Korea. 

  21. Lee MW. 2014. Ecosystem-based stock assessment and fisheries management in the west coast of Korea.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22. Lee WS, Koo TH and Park JY. 2000.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LG Evergreen Foundation, Korea, 320. 

  23. Montevecchi WA. 2002. Interactions between fisheries and seabirds. In: Biology of Marine Birds, Schreiber EA and Burger J, eds. CRC Mar Biol Ser, CRC Press, U.S.A., 527-556. 

  24. Parsons M, Mitchell I, Butler A, Ratcliffe N, Frederiksen M, Foster S and Reid JB. 2008. Seabirds as indicators of the marine environment. ICES J Mar Sci 65, 1520-1526. 

  25. Pikitch E, Santora EA, Babcock A, Bakun A, Bonfil R, Conover DO, Sainsbury K. 2004. Ecosystem-based fishery management. Science 305, 346-347. 

  26. Seo JH and Park JG. 2008. A Photographic guide to the Birds of Korea. Shingu Publishing, Korea, 390. 

  27. Shealer DA. 2001. Foraging behaivor and food of seabirds. In: Biology of marine birds. Schreiber EA and Burger J, eds. CRC Mar Biol Ser, CRC Press, USA, 137-177. 

  28. Tasker ML, Hope-Jones P, Dixon T and Blake BF. 1984. Counting seabirds at sea from ships: a review of methods and a suggestion for a standardized approach. Auk, 101, 567-577. 

  29. The Ornithological Society of Korea. 2009. The Checklist of the Birds of Korea. The Ornithological Society of Korea, Korea, 133. 

  30. Won, PO. 198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25, Avifauna.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Korea, 1126. 

  31. Yoo JC and Kwon YS. 1997. Some aspects of laying, incubation and hatching in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Kor J Ornithol 4, 1-5. 

  32. Yu JP, Chun BS, Kim IK, Kang JH, Paik IH, Hahm KH and Paek WK. 2006 Hatching and livability of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in relation to the egg size in Hongdo Island. Kor J Ornithol 13, 15-20. 

  33. Zhang CI and Yoon SC. 2003. Effects of climatic regime shift on the structure of marine ecosystem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during the 1970s. J Kor Fish Soc 36, 389-401. 

  34. Zydelis R, Bellebaum J, Osterblom H, Vetemaa M, Schirmeister B, Stipniece A and Garthe S. 2009. Bycatch in gillnet fisheries - An overlooked threat to waterbird populations. Biol Conserv 142, 1269-12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