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부지역 도시녹지의 난대상록활엽수 동해피해 특성
Freezing Injury Characteristic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Southern Urban Area,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4, 2014년, pp.528 - 536  

정수영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이광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유병오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박용배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주남규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김형호 (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박준형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관심이 증대되는 도시 녹지 내 난대상록활엽수의 동해피해 현황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개체목의 주요 부위별 피해빈도를 분석한 결과, 줄기 피해는 동백나무가 59.6%로 가장 낮았으며, 후피향나무가 83.3%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도는 지역별로 진주지역이 가장 피해가 심하였으며(p<0.001), 식재구역의 경우 생태공원이 가장 높은 피해도를 보였다(p<0.001). 식재 환경별로 수하식재지(p<0.01), 단목식재(p<0.001), 평탄지(p<0.001) 및 유기물이 많은 곳(p<0.05)에서 피해도가 낮았다. 생육인자와 피해도와 간의 상관분석 결과 수고, 수관폭의 상관계수가 각각 -0.432, -0.470으로 피해도와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적인 난대상록활엽수의 도시녹지 조성을 위해서는 수종, 입지환경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amage characteristics induced by winter freezing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distributed in urban area of warm temperate forest zone, which are gaining increased interest recently as climate chang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s for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동해피해가 많이 발생한 경남 서부지역의 도시 내 가로수 길, 생태공원, 주택정원에 식재되어 있는 주요 난대상록활엽수인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inné), 아왜나무(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Zabel ex Rumpler),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 Thunb. ex Murray), 홍가시나무(Photinia glabra Maxim.),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Sieb. et Zucc), 후피향나무(Ternstroemia gymnanthera Sprague)를 대상으로 동해피해 현황 및 피해특성을 분석하고, 생육특성과 식재환경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록성 수목에 대한 겨울철 동해피해의 원인은 무엇인가? 상록성 수목에 대한 겨울철 동해피해는 직접적인 온도의 영향에 의한 동해와 수분흡수의 부족 및 증산량의 과다로 인한 겨울철 건조(Winter desiccation)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Kozlowski et al., 1991).
도시의 녹지공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시의 녹지공간은 경관적 기능을 비롯해 소음감소, 열섬현상완화 및 대기정화 등의 긍정적인 효과로 그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도시 녹지공간의 조성을 위해 다양한 목본과 초본식물들이 활용되고 있으며, 도시녹화의 주요 소재가 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관심이 증대되는 도시 녹지 내 난대상록활엽수의 동해피해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관심이 증대되는 도시 녹지 내 난대상록활엽수의 동해피해 현황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개체목의 주요 부위별 피해빈도를 분석한 결과, 줄기 피해는 동백나무가 59.6%로 가장 낮았으며, 후피향나무가 83.3%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도는 지역별로 진주지역이 가장 피해가 심하였으며(p<0.001), 식재구역의 경우 생태공원이 가장 높은 피해도를 보였다(p<0.001). 식재 환경별로 수하식재지(p<0.01), 단목식재(p<0.001), 평탄지(p<0.001) 및 유기물이 많은 곳(p<0.05)에서 피해도가 낮았다. 생육인자와 피해도와 간의 상관분석 결과 수고, 수관폭의 상관계수가 각각 -0.432, -0.470으로 피해도와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적인 난대상록활엽수의 도시녹지 조성을 위해서는 수종, 입지환경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ae, Y.G., Seo, D.J., Kim, H.Y., Kim, Y.J., and Kim, J.G. 2012. Change of tree vitality of Pinus densiflora in the Baeck-dudaegan area. Proceedings of the 2012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151-154. 

  2. Heo, N.K., Lee, K.J., Kim, H.Y., Leem, S.H., Ham, H.J., Kim, K.H., Lee, C.H., and Han, S.S. 2010. Analysis on growth and features of varieties collected in Korea and abroad for growing tea trees with cold hardiness at high altitudes. Korean Tee Society 16(2): 96-104. 

  3. Kim, J.S., Lee, S.G., Lee, S.B., and Kim, J.M. 1979. Studies on the frost damage and their mechanism of some principal forest trees. The Korean Breeding Society 11(2): 91-119. 

  4. Kim, M.H. 2010. Effects of different light conditions on wintering in evergreen ground cover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4(6): 61-67. 

  5. Kozlowski, T. T., P. J. Kranmer and S. G. Pallardy. 1991.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woody plants. Academic press, N.Y. pp. 123-302. 

  6. Kwon, E.Y., Jung, J.E., Chung, U.R., Lee, S.J., Song, G.C., Choi, D.G., and Yun, J.I. 2006. A thermal time-driven dormancy index as a complementary criterion for grape vine freeze risk evaluation.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 Forest Meteorology 8(1): 1-9. 

  7. Lee G.J. 2011. Physiology of tre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514. 

  8. Lim, B.S., Jung, D.S., Yun, H.K., Hwang, Y.S., and Chun, J.P. 2005. Symptoms of Freezing Injury and Mechanical Injury-induced Fruit Rot in 'Niitaka' Pear Fruit (Pyrus pyrifolia Nakai)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23(3): 282-286. 

  9. Rosen, P.M., Good, G.L., and Stepponkus, P.L. 1985. Desiccation injury and direct freezing injury to evergreen azaleas: A comparison of cultivars. Journal of American Rhododendron Society 39(4): 46-55. 

  10. Sakai, A. 1981. Freezing resistance of broad-leaved evergreen trees in the warm- temperate zone. Low Temperate of Science Service B(38): 1-14. 

  11. Seo, Y.H., Park, Y.S., Jo, B.W., Kang, A.S., Jung, B.C., and Jung, Y.S. 2010. Regional distribution of peach freezing damage and chilling days in 2010 in Gangwon provi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4): 225-231. 

  12. Shin, C.S. 2011. Cold tolerance assessment of lagerstromemia indica and Pyracanths angustifolia with dormant branches. Jounal of the Korean of Landscape Architecture 39(6): 118-125. 

  13. Shin, H.C., Park, N.C., and Hwang, J.H. 2006. Ever-green broad-leaved tree of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218. 

  14. Sul, J.H. and Bang, K.J. 2002. The research of injury during hardening and de hardening on three rhododendron. Journal Korea Institute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1(5): 79-85. 

  15. Walker, D.J., Romero, P., Hoyos, A. and Correal, E. 2008. Seasonal change in cold tolerance, water relations and accumulation of cations and compatible solutes in Atriplex halimus L..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64(2008): 217-224. 

  16. Woodward, F.I. 1987. Climate and plant distrib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1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