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리왕산 일대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작업별 시업전후의 임분다양성 변화 평가
Assessment of Stand Diversity Change by Different Silvicultural Treatments for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Mt. Gariwang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4, 2014년, pp.613 - 621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박고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일대의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작업방법별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임분다양성 변화를 평가하여 산림생태계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각 작업방법별로 $30m{\times}30m$(0.09 ha) 크기의 고정표본점을 3반복으로 설치하고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정밀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에 근거하여 임분다양성 지수인 집락도, 흉고직경 변이지수, 수고 변이지수, 그리고 혼효지수와 관련된 2개씩의 지수, 총 8가지 지수를 추정한 후, 3가지 작업방법에 대한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임분다양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업 전후의 임분다양성 변화에 대한 통계검정을 위해 Duncan의 다중검정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임분다양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작업방법에 관계없이 시업을 통해 임분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시업 전과시업 후의 임분다양성 지수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여 각 작업방법별 임분의 공간 구조는 시업을 통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hanges of stand diversity before and after applying three different silvicultural treatments such as selection cutting system, two-storied system, and shelterwood system. Data were collected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Pyungchang of Gangwon Provi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일대의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3가지 작업방법을 적용한 후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임분다양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각 작업방법별로 시업 전과 시업 후에 측정한 정밀 임분조사 자료를 정리한 후 고정표본점의 임분통계량을 추정하고 임분구조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온대북부에 분포하고 있는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 생태계경영을 위한 산림작업별 장기 모니터링 기반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가리왕산일대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작업별 시업 전후의 임분다양성 변화를 평가하여 천연 활엽수림의 생태계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각 작업방법을 적용한 임분의 시업 전과 시업 후 임분다양성의 변화뿐만 아니라 각 작업방법간의 임분다양성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업 전과 시업 후에 각 작업방법별로 측정한 임분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앞에서 제시한 집락도, 흉고직경 변이지수, 수고 변이지수, 그리고 혼효지수에 대해 2가지씩 총 8개의 지수를 각 표본점별로 산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온대북부에 분포하고 있는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 생태계경영을 위한 산림작업별 장기 모니터링 기반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가리왕산일대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작업별 시업 전후의 임분다양성 변화를 평가하여 천연 활엽수림의 생태계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산림경영의 패러다임은 어떤 방향으로 전환되어 왔는가? 최근 산림경영의 패러다임은 목재 생산기능과 함께 산림이 가지고 있는 공익적인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어 왔다(Yim, 2001). 산림경영에 대한 시대적 변화는 수종구성이 다양하고 생물다양성 및 유전자원의 보존 측면뿐만 아니라 환경문제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자원으로서 잠재적 가치가 높은 천연 활엽수림의 체계적인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6).
천연 활엽수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어떠한 연구가 우선되어야 하는가? 천연 활엽수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산림작업별 작업 전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임분구조의 변화 양상을 구명하는 연구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장기간에 걸쳐 기초 연구와 자료가 누적되어 있는 가리왕산 일대 천연 활엽수림에 대한 산림작업별 장기 모니터링 연구를 기반으로 생태적 산림관리 현장화 및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천연 활엽수림의 경영 현대화 및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기술 개발 실연 연구는 무엇을 제시하였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지역에서 천연 활엽수림의 경영 현대화 및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기술 개발 실연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Korea Forest Service, 1999; Eastern Regional Office of Korea Forest Service, 2009). 이 연구를 통해 천연 활엽수림의 작업방법으로 택벌림화 작업, 이단림화 작업, 그리고 산벌림화 작업의 3가지 작업종을 제시한 바 있다. 이는 각 임분의 구조 및 특성에 적합한 작업방법을 적용하여 천연 활엽수림으로부터 장차 유용한 목재자원의 확보뿐만 아니라 생태적으로도 건전한 숲으로 유도해 나가기 위함이다(Baek,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guirre, O., Hui, G., Gadow, K., and Jimenez, J. 2003. An analysis of spatial forest structure using neighbourhood-based variabl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3: 137-145. 

  2. Albert, M. 1999. Analyse der eingriffsbedingten Strukturveranderung und Durchforstungsmodellierung in Mischbestanden. Dissertation, Fak. f. Forstwiss. u. Waldokologie d. Univ. Gottingen. Hainholz-Verlag, Band 6: 201S. 

  3. Baek, J.H. 2005.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uitable stand density by silivicultural systems over time for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Pyungchang area.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pp. 63. 

  4. Che, Y.A., Koo, J.O., Seo, H.S., and Lee, Y.M. 1993. Basic Biological Statistics (4th ed.), Hyangmunsa Book Co. pp. 418. 

  5. Clack, P.J. and Evans, F.C. 1954. Distance to nearest neighbour as a measure of spatial relationships in populations. Ecology 35: 445-453. 

  6. Davies, O. and Pommerening, A. 2008. The contribution of structural indices to the modelling of Sitka spruce (Picea sitchensis) and birch (Betula spp.) crown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6: 68-77. 

  7. Eastern Regional Office of Korea Forest Service. 2009. Practical application research on eco-friendly silvicultural techniques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echnique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X). pp. 337. 

  8. Gadow, K. and Fuldner, K. 1995. Zur Beschreibung forstlicher Eingriffe. Forstw. Cbl. 114: 151-159. 

  9. Gadow, K., Hui, G.Y., and Albert, M. 1998. Das Winkelmass-ein Strukturparameter zur Beschreibung der Individualverteilung in Waldbestanden. Centralblatt fur das gesamte Forstwesen 115(1): 1-9. 

  10. Graz, F.P. 2003. The growth of Schinziophyton rautanenii seedlings under different shade conditions. Dinteria 28: 44-46. 

  11. Kim, Y.J., Sung, J.H, Yang, H.M., and Shin, M.Y. 2012. Changes in stand structures before and after silvicultural treatment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of Pyungchang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2): 297-304. 

  12.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6. National Resource Inventory Reports for Deciduous Species. KFRI Research Report No. 122. pp. 508. 

  13. Korea Forest Service. 1997. A forest practice-university cooperative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VIII). pp. 291. 

  14. Korea Forest Service. 1999. A forest practice-university cooperative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X). pp. 500. 

  15. Pielou, E.C. 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ely & Sons. pp. 385. 

  16. Pommerening, A. 2002. Approaches to quantifying forest structures. Forestry 75: 305-324. 

  17. Pommerening, A. 2006. Evaluating structural indices by reversing forest structural analysi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4: 266-277. 

  18. Shin, M.Y. and Oh, J.S. 1999.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stand spatial structure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8(3): 389-399. 

  19. Yim, J.S. 2001. A study on the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methods by site types for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n Pyungchang in Gangwon Province.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pp. 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