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LED를 이용한 장일 처리가 프리지아(Freesia hybrida) '이본느'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y-length Extension Treatment Using LED on Growth and Flowering of Freesia hybrid 'Yvonne'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2 no.6, 2014년, pp.794 - 802  

이진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원예산업과) ,  황지혜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원예산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프리지아 '이본느'를 가지고 매일 오후 5시에서 8시까지 150일 동안 LED(청색, 녹색, 적색, 청색:녹색:적색 혼합)광과 백열등, 메탈할라이드등으로 보광을 함으로써, 꽃눈분화 이후부터 개화가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광질에 따른 장일처리가 프리지아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엽분열기부터 화뢰형성기까지 초장은 광원별 장일처리에 의해 큰 변화는 없었고 엽수는 메탈할라이드등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화뢰 발달기 때 엽 내 엽록소 함량은 메탈할라이드등에서 가장 높았다. LED 청색광과 녹색광에서 개화기가 빨랐는데 특히 녹색광 처리에서 가장 빨라 무처리와 메탈할라이드등에 비해 6-8일 정도 단축되었다. 포장 내 개화기간은 LED 적색광에서 가장 짧아 일시 수확에는 효과적이었다. 메탈할라이드 등에서 절화중, 소화의 길이와 폭 등 절화특성이 우수하였다. 구근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LED 적색광에서는 구폭과 구중이, 백열등 처리에서는 구고와 구중이 감소하였고, 구근 내 전분함량은 모든 시험구 사이에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개화촉진은 LED 녹색등에서 효과적이었고 개화품질은 메탈할라이드등 처리에서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ay-length extension treatment using LED lighting (blue, green, red, or 3 mixed) on vegetative growth and flowering of freesia 'Yvonne', in comparison to that using glow lamps and metal halide lamps. Lighting treatments were imposed from 5 PM to 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엽록소 함량은 광원설치 9주가 경과되었을 때 SPAD meter(SPAD-502,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3번째 잎의 중간부위를 특정하였다. 광원별 장일 처리에 따른 개화반응을 보기 위하여 개화특성을 조사하였다. 1번 소화가 착색되어 봉오리가 1-2mm 정도 열개되었을 때를 개화시로 조사하고, 전체 조사 개체의 80%가 개화 되었을 때를 개화종으로 조사하였다.
  • 본 실험은 프리지아 ‘이본느’을 가지고 꽃눈이 분화된 이후부터 개화가 종료될 때까지 장일 처리가 프리지아의 생육및 개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구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최근에 주목 받고 있는 LED등과 기존 인공광원 으로 많이 쓰이던 백열등과 메탈헬라이드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D 광원 외에 작물재배용 인공광원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작물재배용 인공광원으로는 지금까지 형광등, 메탈헬라이드등, 수은등, 백열등과 고압나트륨등(HPS)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원들은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적색과 청색의 비율이 적어 광 이용효율이 낮고 열의 방출과 수명이 짧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프리지아란 무엇이며 외적인 형태는 어떠한가? 프리지아(Freesia hibrida)는 붓꽃과 프리지아속에 속하며 8-12개의 소화가 상향 수상꽃차례로 피고 구근은 변형된 줄기가 비대하여 형성된 원추형의 인피구경이며, 정식 후 잎이 분화되는 기간에 줄기 아랫부분이 비대화되면서 신구가 형성된다(Kawa and De Hertogh, 1992; RDA, 2008). 프리지아는 가을정식 후 4-7주 사이에는 화아 분화가 이루어지며(Heide, 1965) 개화기 이후 구근은 비대가 시작될 무렵 휴면에 들어가 봄 철 수확시기가 될 때쯤이면 깊은 휴면상태가 되고(Kaneko and Imanishi, 1985; RDA, 2008), 여름 동안 고온에 노출되면 자연스럽게 휴면이 타파되며 가을철 저온에 의해 맹아와 화아의 형성이 유도된다(Kosugi, 1953; Lee et al.
LED 광과 백열등, 메탈할라이드 등으로 보광을 함으로써, 꽃눈분화 이후부터 개화가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광질에 따른 장일처리가 프리지아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프리지아 '이본느'를 가지고 매일 오후 5시에서 8시까지 150일 동안 LED(청색, 녹색, 적색, 청색:녹색:적색 혼합)광과 백열등, 메탈할라이드등으로 보광을 함으로써, 꽃눈분화 이후부터 개화가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광질에 따른 장일처리가 프리지아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엽분열기부터 화뢰형성기까지 초장은 광원별 장일처리에 의해 큰 변화는 없었고 엽수는 메탈할라이드등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화뢰 발달기 때 엽 내 엽록소 함량은 메탈할라이드등에서 가장 높았다. LED 청색광과 녹색광에서 개화기가 빨랐는데 특히 녹색광 처리에서 가장 빨라 무처리와 메탈할라이드등에 비해 6-8일 정도 단축되었다. 포장 내 개화기간은 LED 적색광에서 가장 짧아 일시 수확에는 효과적이었다. 메탈할라이드 등에서 절화중, 소화의 길이와 폭 등 절화특성이 우수하였다. 구근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LED 적색광에서는 구폭과 구중이, 백열등 처리에서는 구고와 구중이 감소하였고, 구근 내 전분함량은 모든 시험구 사이에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개화촉진은 LED 녹색등에서 효과적이었고 개화품질은 메탈할라이드등 처리에서 우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 S.G., J.H. Kim, S.J. Park, J.C. Kim. 2008. Influence of forcing cultivation time on cut flower, root quality, and yield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Cv. Taeback). J. Medical CropSci. 16:421-426. 

  2. Barnes, C. and B. Bugbee. 1992. Morphological responses of wheat to blue light. J. Plant Physiol. 139:339-342. 

  3. Blom, T.J. and B.D. Piott. 1992. Assimilative lighting with highpressure sodium lamps reduces freesia quality. HortScience 27:1267-1268. 

  4. Campbell, R.J., K.N. Mobly, R.P. Marini, and D.G. Pfeiffer. 1990. Growing conditions alter the relationship between SPAD-501 values and apple leaf chlorophyll. HortScience 25:330-331. 

  5. De Lint, P.J.A.L. 1969. Flowering in freesia: Temperature and corms. Acta Hortic. 14:125-131. 

  6. Di Benedetto, A.H. 1991. Light environment effects of chlorophyll content Aglaonema Commuratum. J. Horticultural Sci. Bio. 66:283-289. 

  7. Doorduin, J.C. and G.A.M. Zwinkels. 1990. Assimilation lighting for freesia. Positive effects in every respect. Vakblad voor de Bloemisterij 45:42-43. 

  8. Garner, W.W. and H.A. Allard. 1920. Effect of the relative length of day and night and factors of the environment on growth and reproduction in plants. J. Agr. Res. 18:553-606. 

  9. Gilbertson-ferris, T.L. and H.F. Wilkins. 1978. Flower production of freesia hybrid seedlings under night interruption lighting and short day influence. J. Amer. Soc. Hort. Sci. 103:587-591. 

  10. Heo, J.W., C.W. Lee, D. Chakrabarty, and K.Y. Paek. 2002. Growth responses of marigold and salvia bedding plant as affected by monochromatic or mixture radiation provided by a light-emitting diode (LED). Plant Growth Regulat. 38:225-230. 

  11. Heo, J.W., C.W. Lee, and K.Y. Park. 2000. Flowering and growth of 'Dixie White' cyclamen miniature influenced by control of light quality and day length using light-emitting diode. Annual Res. Rpt. 5:160-165. 

  12. Heide, O.M. 1965. Factors controlling flowering in seed-raised freesia plant. J. Hort. Sci. 40:267-284. 

  13. Jung, E.Y. 1997. Effect of leaf-cutting on chlorophyll content, photosynthetic rate and growth by leaf order of phaseolus vulgaris plant. M.S. Thesis Kunghee Univ., Seoul, Korea. 

  14. Kaneko, E. and I. Imanishi. 1985. Changes in the depth of dormancy in freesia corms during growth and storage. J. Jap. Soc. Hort. Sci. 54:388-392. 

  15. Kawata, J. 1973. Year-round production of freesia in Japan. Jap. Agr. Res. Quart. 7:257-262. 

  16. Kawa, L. and A. De Hertogh. 1992.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floral development in freesias. HortScience 27:1133-1134. 

  17. Kim, B.S., K.C. Cho, I.T. Hwang, S.C. Hong, H.G. Kim, G.Y. Gi, B.K. Yun, J.G. Kim, and J.H. Lee. 2009a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LED) on the flowering of Dendranghema grandiflorum cv. 'Baekma'. Kor. J. Hort. Sci. Technol. 27(Suppl. II):119-120. (Abstr.) 

  18. Kim, M.J., X. Li, J.S. Han, S.E. Lee, and J.E. Choi. 2009b. Effect of blue and red LED irradi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aponin contents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 J. Medicinal. Crop Sci. 17:187-191. 

  19. Kosugi, K. 1953. Studies on flower-bud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in the freesia. I. On the time of flower-bud differentiation and process of flower-bud development. J. Jpn. Soc. Hort. Sci. 22:61-63. 

  20. Kwon, J.H., J.S. Park, Y.I. Kang, and H.G. Choi. 2011. Effect of LED light source and intensity on growth and quality of greenhouse grown tomato. Kor. J. Hort. Sci. Technol. 29 (Suppl. II):74. (Abstr.) 

  21. Lee, H.S., S.J. Kim, W.G. Shin, and B.C. Yoo. 2006.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characteristic and flower color change of new Guinea impatiens 'Fishlimp 149'. J. Bio-Environ. Cont. 15:406-411. 

  22. Lee, J.G., S.S. Oh, S.H. Cha, Y.A. Jang, S.Y. Kim, Y.C. Um, and S.R. Cheong. 2010. Effects of red/blue light ratio and short-term light quality conversion on growth and anthocyanin contents of baby leaf lettuce. J. Bio-Environ. Cont. 19:351-359. 

  23. Lee, J.J., C.S. Kim, S.Y. Jin, and J.C. Kim. 2009. Effect of different intensity of light treatment on growth and flowering in freesia "Yvonee" and "Shinygold". 2009 Plant Sci. Conf. p. 221. 

  24. Lee, J.J., J.S. Jeong, and J.C. Kim. 1998. Effect of high-temperature storage and ethylene on breaking dormancy of freesia corms. J. Kor. Soc. Hort. Sci. 39:789-793. 

  25. Lee, J.W., J.H. Kim, S.D. Kim, Y.J. Kim, S.D. Kim, and K.Y. Paek. 2011a. Effect of LED as light quality on growth and flowering of oncidium. Kor. J. Hort. Sci. Technol. 28(Suppl. II):153. (Abstr.) 

  26. Lee, S.W., S.D. Lee, S.Y. Sim, H.I. Chung, S.K. Kim, and J.W. Lim. 2011b. Variation of photosynthetic rate of lettuce in different microclimatic conditions for plant factory. Kor. J. Hort. Sci. Technol. 29:(Suppl. II):40. (Abstr.) 

  27. Lim, H.H., M.H. Kim, and K.W. Kim. 2007.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flower bud development and flowering in perennial Korean native plants. Flower Res. J. 15:72-77. 

  28. MaCreedy, R.M., J. Guggolz, V. Silveria, and H.S. Owns. 1950. Determination of starch and amylose in vegetables. Anal. Chem. 22:1156-1158. 

  29. Mansour, B.M.M. 1968. Effect of temperature and light on growth, flowering and corm formation in freesia. Ph.D. Thesis Wageningen Agricultural Univ., Netherlands. 

  30. Mita, T. and H. Shibaoka. 1983. Change in microtubules in onion leaf sheath cells during bulb development. Plant Cell Physiol. 24:109-117. 

  31. Morris, D.L. 1948.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arbohydrate with for maximum color formation among different carbohydrates and Dreywood's anthrone reagent. Science 107:254-255. 

  32. Nam, S.Y., S.M. Park, and B.Y. Yi. 2010. Effect of globe growth and chromogenic on day and night temperature and the LED light treatment of export grafted cactus (Chamecereus silvestrii f. variegate) cultivar. 'Hee-Mang'. Kor. J. Hort Sci. Technol. 28(Suppl. II):115. (Abstr.) 

  33. Oh, J.Y., B.J. Lee, W.I. Kim, Y.B. Kim, and G.M. Shon. 2011. Effect of various intensity of radiation an element of light (LED) and treatment time on growth and photosynthetic rate of lettuce plug seedling. Kor. J. Hort. Sci. Technol. 29(Suppl. II):66. (Abstr.) 

  34. Okamoto, K., T. Yangi, S. Tanaka, T. Higuchi, Y. Ushida, and H. Watanabe. 1996. Development of plant growth apparatus using blue and red LED as artificial light source. Acta Hort. 440:111-116. 

  3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8. Freesia. RDA, Suwon, Korea. 

  36. Senger, H. 1984. Blue light effects in biological systems.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37. Wheeler, R.M., C.L. Mackowiak, and J.C. Sager. 1991. Soybean stem growth under high-pressure sodium with supplemental blue lighting. Agron. J. 83:903-9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