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1990년대 초반 이후 국내 시설 원예작물 재배면적은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농가당 재배면적은 협소하여 생산성 증대를 위한 생력관리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시설하우스에서는 해충들이 다발생하고 방제가 어려워 많은 양의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어 생력재배를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과도하고 부적절한 살충제의 사용은 저항성 해충의 출현과 농약중독이라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 재배 온실에서 무인 연무방제기를 이용한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의 효율적 방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무인 연무방제기를 가동시키는 동안 시설 내 측창과 출입구가 완전히 폐쇄된 조건하에서는 시설 내 상대습도가 높게 유지되었고(>95%) 관행방제 약제처리구와 유사한 방제 효과를 보였다(방제가 61.0~94.1%). 반면 무인 연무방제기 가동 시간 동안 측창과 출입구를 50% 정도 개방한 조건에서는 시설 내 상대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았고(<95%) 측창과 출입구가 모두 폐쇄된 온실 조건보다 방제 효율이 낮았다(방제가 36.0~54.4%).
The area of greenhouse horticulture has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the early 1990s in Korea. However, area per farmer still very small and diverse pest species occurs in greenhouse abundantly because of its protected condition. To manage pests, farmers use many pesticides frequently. Incessant and improper use of chemicals provoked pesticide resistance in pest and poisoning of farm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iciencies of automatic dry fog sprayer for controlling two aphid species, Aphis gossypii and Myzus persicae, in greenhouse horticulture. When doors and side windows were completely closed in automatic dry fog sprayer treatment greenhouse, aphids were controlled similar level with conventional spraying method (percent control: 61.0~94.1%). However, when half of the doors and side windows of the greenhouse were opened, aphids were controlled poorly (percent control: 36.0~54.4%).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시설 채소 및 과채류 재 배지 | 시설 채소 및 과채류 재 배지에서 발견된 해충상은? |
응애류, 아메리카잎굴파리, 꽃 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온실가루이,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목화바둑명나방, 검은 무늬 밤나방 등
시설하우스는 그 특성상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고 겨울에도 가온하는 농가가 많아 다양한 해충이 높은 밀도로 발생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실제로 시설 채소 및 과채류 재 배지에서 해충상을 조사한 결과 응애류, 아메리카잎굴파리, 꽃 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온실가루이,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목화바둑명나방, 검은 무늬 밤나방 등(Cho, 2003; Jeon and Kim, 2006; Moon et al., 2008; Paik et al. |
관행시설 재배 농가 | 관행시설 재배 농가를 조사한 결과 1년 간 농약 사용횟수와 종류는? |
연 평균 11회, 34종의 농약을 사용
이러한 해충 방제를 위해 농가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다. 오이, 토마토 등 9개 작물에 대하여 관행시설 재배 농가를 조사한 결과, 연 평균 11회, 34종의 농약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중 절반가량이 살충제였다(Lee et al., 2005). |
시설 재배 온실에서 무인 연무방제기 | 시설 재배 온실에서 무인 연무방제기를 이용한 효율적 방제 가능성 조사 결과는? |
무인 연무방제기를 가동시키는 동안 시설 내 측창과 출입구가 완전히 폐쇄된 조건하에서는 시설 내 상대습도가 높게 유지되었고(>95%) 관행방제 약제처리구와 유사한 방제 효과를 보였다(방제가 61.0~94.1%). 반면 무인 연무방제기 가동 시간 동안 측창과 출입구를 50% 정도 개방한 조건에서는 시설 내 상대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았고(<95%) 측창과 출입구가 모두 폐쇄된 온실 조건보다 방제 효율이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 재배 온실에서 무인 연무방제기를 이용한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의 효율적 방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무인 연무방제기를 가동시키는 동안 시설 내 측창과 출입구가 완전히 폐쇄된 조건하에서는 시설 내 상대습도가 높게 유지되었고(>95%) 관행방제 약제처리구와 유사한 방제 효과를 보였다(방제가 61.0~94.1%). 반면 무인 연무방제기 가동 시간 동안 측창과 출입구를 50% 정도 개방한 조건에서는 시설 내 상대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았고(<95%) 측창과 출입구가 모두 폐쇄된 온실 조건보다 방제 효율이 낮았다(방제가 36.0~54.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