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도 화성지역에서 시설재배 무화과를 대상으로 총채벌레의 발생현황과 피해특성을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트랩 및 피해과실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를 동정한 결과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Lindeman),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등 3종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들 3종 중 파총채벌레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순으로 나타났다. 총채벌레에 의해 피해를 받은 과실은 비대생장과 착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표면이 거칠고 코르크화 되었다. 실체현미경을 이용하여 피해 받은 과실의 내부를 조사한 결과 피해부위에 회색곰팡이가 발생하였고, 총채벌레의 사체 및 탈피각이 관찰되었다. 무화과 주 수확기에 총채벌레에 의한 과실의 피해율은 7월이 18.2%로 가장 피해가 많이 나타났으며, 이후에는 8월(9.7%), 9월(2.9%), 10월(1.3%)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occurrence and damages by thrips on greenhouse-cultivated fig in Hwaseong, Gyeonggi Province, Korea. We identified the collected species as Thrips tabaci Lindeman,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and F. intonsa Trybom. The density of thrips in the greenh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화성지역의 시설재배 무화과를 대상으로 총채벌레의 발생실태와 피해양상을 조사하여 향후 무화과에 발생하는 총채벌레의 연구 및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화과의 분류학적 위치는? 무화과(Ficus carica L.)는 아열대성 반교목 낙엽활엽수로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며, 전 세계에 약 600여 품종이 분포한다(Park, 2010). 무화과의 원산지는 소아시아의 Carica 지방이며, 주요 생산지는 미국 및 지중해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Vinson, 1999).
무화과원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인 파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3종의 발생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2는 2013년도에 무화과 주요 수확시기인 8월부터 10월까지 황색 끈끈이 트랩을 이용하여 무화과원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 종류별 발생밀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이다. 총채벌레의 발생 밀도는 파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3종 모두 무화과 과실의 수확기 초기인 8월에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으며, 9월부터 발생량은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별 총채벌레의 발생밀도는 파총채벌레가 조사 전 기간 동안 월등하게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꽃노랑총채벌레로 나타났다.
무화과 재배에 있어 문제가 되는 병해는 무엇인가? 무화과 재배에 있어 문제가 되는 병해로는 열매썩음병(Macrophoma sp.) 과실점무늬병(Phoma sp.), 줄기마름병(Phomopsis cinerescens), 역병(Phytophthora citrophthora, P. palmivora), 점무늬병(Pseudocercospora fici-caricae), 더뎅이병(Sphaceloma caricae), 탄저병(Colletotrichum caricae),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등이 보고되어 있다(Cheong, et al, 2013). 또한 해충으로는 굽은가슴넓적밑빠진벌레(Carpophilus hemipterus), Carpophilus freemani, Carpophilus mutilatus, Lepidosaphes conchiformis, Amyelis transitella, Drosophila sp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n, S.J., Cho, M.R., Park, C.H., Kang, T.J., Kim, H.H., Kim, D.-W., Yang, C.Y., 2014. Halo spot symptom induced by oviposition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on grape fruits: molecular diagnosis by a species-specific DNA amplification and microscopic characterization of the symptom. Korean J. Appl. Entomol. 53, 281-286. 

  2. Cheong, S.-S., Choi, I.-Y., Lee, W.-H., 2013. Occurrence of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on common fig in Korea. Kor. J. Mycol. 41, 38-41. 

  3. Cho, M.R., Jeon, S.-W., Kang, T.J., Kim, H.H., Ahn, S.-J., Yang, C.Y., 2013. Pests occurring on cymbidium. Korean J. Appl. Entomol. 52, 403-408. 

  4. Jeong, M.-R., Cha, J.-D., Lee, Y.-E., 2005. Antibacterial activity of Korean fig (Ficus carica L.)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84-93. 

  5. Kang, T.-J., Cho, M.R., Kim, H.-H., Jeon, H.-Y., Kim, D.-S., 2012. Economic injury level of Thrips tabaci (Thysanoptera: Thripidae) on welsh onions (Allium fistulosum L. var) in the early transplanting stage. Korean J. Appl. Entomol. 50, 289-293. 

  6. Kim, S.S., Lee, C.H., Oh, S.L., Jung, D.H., 1992. Chemical components in the two cultivars of Korean figs (Ficus carica L.). J. Korean Agric. Chem. Soc. 35, 51-54. 

  7. Na, H.S., Kim, J.Y., Park, H.J., Choi, G.C., Soo, I.Y., 2013. Comparison of the nutrient components of figs based on their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20, 336-341. 

  8. Park, J.A., 2010.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fig during the ripening. M. 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 press, Korea. 

  9. Park, J.-D., Kim, D.-I., Kim, S.-G., 2002. Seasonal occurrence and damaged aspects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Thysanoptera: Thripidae) by cultural environments and varieties of chrysanthemum. Korean J. Appl. Entomol. 41, 177-181. 

  10. Seo, M.J., Kim, S.J., Kang, E.J., Kang, M.K., Yu, Y.M., Nam, M.H., Jeong, S.G., Youn, Y.N., 2006. Attraction of the garden thrips, Frankliniella intonsa (Thysanoptera: Thripidae), to colored sticky cards in a Nonsan strawberry greenhouse. Korean J. Appl. Entomol. 45, 37-43. 

  11. Toda, S., Komazaki, S., 2002. Identification of thrips species (Thysanoptera: Thripidae) on Japanese fruit tre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the ribosomal ITS2 region. Bull. Entomol. Res. 92, 359-363. 

  12. UC statewide IPM program., 2009. UC IPM pest management guidelines: fig. University of California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Davis, USA. 

  13. Vinson, J.A., 1999. The functional food properties of figs. Cereal Food World. 44, 82-87. 

  14. Wang, C.-L., Lin, F.-C., Chiu, Y.-C., Shin, H.-T., 2010. Species of Frankliniella Trybom (Thysanoptera: Thripidae) from the Asian- Pacific area. Zoological studies. 49, 824-838. 

  15. Woo, G.S., 1976. On the Thysanoptera of Korea. Korean J. Appl. Entomol. 15, 29-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