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수용접부 폭에 따른 용접잔류응력의 변화 및 재분배 거동 평가
Investigation into Variations of Welding Residual Stresses and Redistribution Behaviors for Different Repair Welding Widths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38 no.2, 2014년, pp.177 - 184  

박치용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 ,  이휘승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  허남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보수용접부 폭 변화에 따른 이종금속 맞대기 용접부(Dissimilar metal butt weld) 용접잔류응력의 분포 및 동종금속용접/기계적 하중에 의한 재분배 거동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5가지 다른 보수용접부 폭을 고려한 상세 2차원 유한요소 열해석 및 응력해석을 수행하였다.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보수용접에 의한 용접잔류응력 분포를 평가하였으며, 동종금속용접 및 기계적 하중에 의한 응력 재분배 특성을 평가하였다. 보수용접에 의해 배관 내면에서는 큰 인장 용접잔류응력이 축방향과 원주방향에 대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수용접부 폭이 특정값 이상이 되면 용접잔류응력 분포가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종금속용접과 기계적 하중을 고려하면 인장잔류응력값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그 경향은 보수용접부 폭에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ariations in welding residual stresses in dissimilar metal butt weld due to width of repair welding and re-distribution behaviors resulting from similar metal welding (SMW) and mechanical loading. To this end, detailed two-dimensional axi-symmetric finite ele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 배관 이종금속 맞대기 용접부를 대상으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보수용접부의 폭 변화가 이종금속 맞대기 용접부의 용접잔류응력 분포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5가지의 보수용접부 폭을 고려하였으며, 특히 추가적인 동종금속용접(Similar Metal Weld, SMW)과 기계적 하중(수압시험 및 정상운전하중)이 보수용접에 의해 발생한 과도한 인장 용접잔류응력의 재분배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PWSCC에 의한 균열 성장량 평가 시 실제 운전 조건을 반영한 실제 건전성 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원자로 배관 이종금속 맞대기 용접부에서 보수용접부 폭이 용접잔류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5가지의 다른 보수용접부 폭을 고려하였다.

가설 설정

  • 해석 시 적용된 요소는 4절점 축대칭 요소(4-nodes axisymmetric element, DCAX4 for temperature analysis and CAX4 for stress analysis in ABAQUS element library)이다. 즉, 2차원 축대칭 해석을 수행했기에 보수용접은 배관의 전체 원주에 대해 수행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종금속용접은 무엇을 위해 수행되는가? 이에 따라 용접잔류 응력은 원자력기기의 건전성과 관련하여 주요하게 다뤄지는 하중 인자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저합금강(Low alloy steel)으로 제작된 기기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제작된 배관의 연결을 위해서 많은 이종금속용접(Dissimilar Metal Weld, DMW)이 수행되며 이 가운데 용접재로 Alloys 82/182 합금을 사용한 경우에는 용접부에서 발생하는 인장 용접잔류응력과 배관 내부를 흐르는 1차 원자로 냉각수(Primary reactor coolant), 그리고 재료 자체의 부식 민감성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1차수 응력부식균열(Primary Wa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PWSCC) 현상이 다수 발생한 바 있다.(1)
용접제로 Alloys 82/182 합금을 사용한 경우 1차수 응력부식균열 현상이 다수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따라 용접잔류 응력은 원자력기기의 건전성과 관련하여 주요하게 다뤄지는 하중 인자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저합금강(Low alloy steel)으로 제작된 기기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제작된 배관의 연결을 위해서 많은 이종금속용접(Dissimilar Metal Weld, DMW)이 수행되며 이 가운데 용접재로 Alloys 82/182 합금을 사용한 경우에는 용접부에서 발생하는 인장 용접잔류응력과 배관 내부를 흐르는 1차 원자로 냉각수(Primary reactor coolant), 그리고 재료 자체의 부식 민감성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1차수 응력부식균열(Primary Wa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PWSCC) 현상이 다수 발생한 바 있다.(1)
실제 원자력기기는 복잡한 용접이력을 경험하기에 정확하게 보수용접부의 용접잔류응력을 예측하기 어려움에 따라 어떤 요인들이 평가되었는가? 그러나 용접부에서 발견된 결함 형상에 따라 보수용접부의 폭, 깊이 등의 형상 변수들이 다양하게 변할 뿐만 아니라 실제 원자력기기는 복잡한 용접이력을 경험하기에 정확하게 보수용접부의 용접잔류응력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따라 가압기 안전/방출 노즐 DMW 등에 대해 보수용접 깊이, 보수용접 시작위치 등이 보수용접에 의한 용접잔류 응력에 미치는 영향 등이 평가된 바 있다.(2,3) 또한 Dong 등(4)과 Elcoate 등(5)은 비록 DMW는 아니지만 단일 재료로 제작된 배관 맞대기 외면(outer surface) 보수용접부에 대해 보수용접부의 원주방향 길이가 잔류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바 있으며, Zhang 등(6)은 배관 맞대기 용접부 DMW에서 배관 외면에 부분적으로 작게 보수용접을 수행하면 이에 의한 응력 변화가 거의 없을 수 있음을 보인 바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EPRI, Materials Reliability Program, 2004, "Welding Residual and Operating Stresses in PWR Alloy 182 Butt Welds (MRP-106)," EPRI report. 

  2. Kim, J.S., Lee, S.G., Park, H.B., Jin, T.E. and Kang, S.S., 2009,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Internal Repair Welding Variables on PWSCC of Dissimilar Welds on Pressurizer Safety/Relief Nozzle," Trans. Korean Soc. Mech. Eng. A, Vol. 58, pp. 270-275. 

  3. Lee, S.G., Jin, T.E., Kang, S.S. and Kwon, D.I., 2009, "Residual Stress Analysis for Repair Welding in Dissimilar Metal Weld," Journal of KWJS, Vol. 27, pp. 376-381. 

  4. Dong, P., Hong, J.K. and Bouchard, P.J., 2005, "Analysis of Residual Stresses at Weld Repair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Vol. 82, pp. 258-269. 

  5. Elcoate, C.D., Dennis, R.J., Bouchard, P.J. and Smith, M.C., 2005, "Three Dimensional Multi-Pass Repair Weld Simul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Vol. 82, pp. 244-257. 

  6. Zhang, J., Song, S. and Dong, P., 2011, "Important Residual Stress Features in Reactor Nozzle Dissimilar Metal Welds," ASME Pressure Vessels and Piping Conference, PVP2011-57824. 

  7. Soh, N.H., Oh, G.J., Huh, N.S., Lee, S.H., Park, H.B., Lee, S.G., Kim, J.S. and Kim, Y.J., 2012, "Effects of Finite Element Analysis Parameters on Weld Residual Stress of Dissimilar Metal Weld in Nuclear Reactor Piping Nozzles," Trans. of the KPVP, Vol. 8, pp. 8-18. 

  8. "ABAQUS/Standard User's Manual," Version 6.11-1, Dassault Systemes Corp., 2011. 

  9. Kim, J.S., Kim, J.H., Bae, H.Y., Oh, C.Y., Kim, Y.J., Lee, K.S. and Song, T.K., 2012, "Welding Residual Stress Distributions for Dissimilar Metal Nozzle Butt Welds in Pressurized Water Reactors," Trans. Korean Soc. Mech. Eng. A, Vol. 36, pp. 137-148. 

  10. Song, T.K., Chun, Y.B., Oh, C.Y., Bae, H.Y., Kim, Y.J., Lee, S.H., Lee, K.S. and Park, C.Y., 2009, "Effects of Similar Metal Weld on Residual Stress in Dissimilar Metal Weld According to Safe End Length," Trans. Korean Soc. Mech. Eng. A, Vol. 33, pp. 664-672. 

  11. Song, T.K., Bae, H.Y., Chun, Y.B., Oh, C.Y., Kim, Y.J., Lee, K.S. and Park, C.Y., 2008, "Effect of Preemptive Weld Overlay on Residual Stress Mitigation for Dissimilar Metal Weld of Nuclear Power Plant Pressurizer," Trans. Korean Soc. Mech. Eng. A, Vol. 32, pp. 873-881. 

  12. Song, T.K., Bae, H.Y., Chun, Y.B., Oh, C.Y., Kim, Y.J., Lee, K.S. and Park, C.Y., 2008, "Estimation of Residual Stress Distribution for Pressurizer Nozzle of Kori Nuclear Power Plant Considering Safe End," Trans. Korean Soc. Mech. Eng. A, Vol. 32, pp. 668-677. 

  13. Brickstad, B. and Josefson, B.L., 1998, "A Parametric Study of Residual Stresses in Multi-Pass Butt-Welded Stainless Steel Pipe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Vol. 75, pp. 11-25. 

  14. Limpus, C.R., Dijamco, D.G., Bax, R. and Cofie, N.G., 2007, "Effect of Size of Butt Weld Repairs on Weld Overlay Residual Stresses," ASME Pressure Vessels and Piping Conference, PVP2007-266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