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CF를 활용한 효과적인 장애인 재활보조기기 신청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based on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for Provision of Assistive De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 2014년, pp.377 - 385  

정봉근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이성아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민세동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의료IT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체계인 ICF 코드와 국제표준위원회 재활보조기기 분류체계인 ISO 9999의 코드 매칭을 활용한 재활 보조기기 사용자 맞춤형 정보 지원 시스템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사용성 평가를 조사하였다. 장애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을 분석하여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고 어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개인적 특성과 기기의 장점을 서로 매칭시켜 주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10명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ICF 코드를 활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온라인 의 기존 재활보조기기 신청 방식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으며 신뢰수준 95%를 기본값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프로토 타입 개발에 사용된 원천 기술은 온라인 클라우드 정보 기반 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으며 관련 산업 및 시장의 활성화를 촉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introduce the newly developed mobile application for effective provision of assistive de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By combining of ICF code and ISO 9999 code, more effective way of searching user fit assistive device information and selecting appropri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추가적인 사용성 평가를 통해서 장애 유형별 또는 스마트 기기 및 정보통신 사용 유무 및 빈번 도에 따른 시스템 활용의 수준 차이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프로토타입의 기능 적인 측면과 효율성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동일한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환경이 주어 졌을 때 이에 대한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보다 초점을 맞추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장애인용 재활보조기기 관련 품목 분류 및 지급 체계 등에 관한 이전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국내 상황에 적합한 재활보조기기 품목분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현재 온라인을 통한 지급 신청 및 평가 심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정보통신 보조기기 품목에 대하여 정보화진흥원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는 품목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직접 신청 및 열람이 가능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최종 개발하였다.
  • 재활보조기기 산업기술 분류 중 품목 분류에 대한 국제적 경향을 파악하고 국내에 적합한 서비스 전달에 필요한 데이터 엔트리 프로토타입을 개발해 보았다. 장애인 및 고령자를 위한 기술 및 제품의 개발과 상용화를 통한 경제적 이윤 창출을 위해서는 재활보조기기 용품의 시장 형성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종합적 DB 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과 고령자들이 사용하는 보조기기에는 무엇이 있는가? 장애인과 고령자들이 사용하는 보조기기에는 보청기 및 휠체어 등 의료기기를 포함하여, 점자 키보드, 의사소통 보완대체기기, 각종 소프트웨어와 같은 정보통신 보조기기 프로그램, 그밖에 산소호흡기, 환자 운반용 리프트등 중증 환자 및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품목을 포함하고 있다.
보조 기기와 관련된 분류 체계 기준은 무엇이 있는가? 보조기기와 관련된 분류 체계 기준은 세계표준협회 ISO에서 제정한 ISO 9999, GMDN(Global Medical Device Nomenclature) 국제의료기기용어, SNOMED CT(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 Clinical Terms) 체계화된 의학용어 – 임상 용어집이 대표적이다[1].
미국의 재활보조기기 맞춤형 지원 운영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경우에는 의료, 직업재활, 특수 교육을 통해 주 정부에서 재활보조기기 지급 및 대여에 관한 지원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며, 그밖에 민간 의료보험, 민간 자선단체 등에서 재활보조기기 구입을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00년 교육부 산하 국립 장애, 재활 연구소 NIDRR에서 대분류 10개 품목, 중분류 71개 품목, 소분 494개 품목으로 분류 책정하여 재활보조기기 관련 데이터베이스 Albedata를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의료보험, 연금보험, 산재보험 등 사회보험 시스템과 국비와 지방비로 운영되는 신체장애자복지법, 아동복지법 등에 의한 급여 지급 서비스가 마련되어 있다. 장애인용 재활보조기기의 정보 제공을 위해 일본 Techno-Aids 협회는 1995년 ISO 9999에 근간을 두고 CCTA (Classification Codes of Technical Aids) 분류코드를 제작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World Health Organization. Building bridges between diseases, disabilities and assistive devices: linking the GBD, ICF and ISO 9999, 2010. 

  2.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urable Medical Equipment, Prosthetics, Orthotics, and Supplies (DMEPOS) Quality Standard, 2013 

  3. Lenker JA, Shoemaker, LL., Fuhrer MJ, Jutai JW. Demers L, Tan CH,. DeRuyer F. "Classific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Implications for outcomes research", Technology and Disability, Vol. 24. pp.59-70. 2012. 

  4. Yuk JH, Kim SN.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ng Internet Portal on Assistive Devices Information", Journal of Assistive Technology, Vol. 4, No. 1, pp.11-27, 2010. 

  5. Kim IS, Oh DY, Kong JY, Kwon SJ, Nam SH, Park JY. "The Study of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Managing Quality of Assistive Product",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5, No. 1, pp.121-147, 2011. 

  6.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2001. 

  7. Scherer MJ, Craddock G. "Matching Person & Technology (MPT) assessment process," Technology and Disability, Vol. 14, No. 3, pp.125-131. 2002. 

  8.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Korea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Products and Information based on Human, Activity, Assistive technology and Environment, 2012 

  9. Schraner, I., De Jonge D, Layton N, Bringolf J, Molenda A. "Using the ICF in economic analyses of Assistive Technology system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a user standpoint",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30, No. 12-13, pp. 916-926, 2008. DOI: http://dx.doi.org/10.1080/09638280701800293 

  10. Kaikkonen A, Kallio T, Kekalainen A, Kankainen A, Cankar M. "Usability Testing of Mobile Application: A comparison between laboratory and field testing", Journal of Usability Studies, Vol. 1, pp. 4-16, 2005. 

  11. Lee SH, Jung BK, Park SY. "Korean Translation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2.0",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7, pp. 3284-3292,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7.3284 

  12. Rhee KM, "A survey study on the demand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Vol. 8, No. 4, pp. 427-49, 2007. 

  13. Holzinger A, Searle G, Nischelwitzer A. "On some aspects of improving mobile applications for the elderly", Universal Access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 Coping with Diversity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 4554, pp. 923-932, 2007. DOI: http://10.1007/978-3-540-73279-2_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