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한반도 미래 풍력에너지의 시공간적 변동성 전망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future wind energy over the Korean Peninsular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9 no.6, 2014년, pp.833 - 848  

김유미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임윤진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이현경 (기상청) ,  최병철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풍력발전단지의 신규 개발과 안정적인 운영 계획 수립을 위해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풍력에너지의 변동성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IPCC 5차 보고서에서 새롭게 도입된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를 적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하여 2006년부터 2040년까지의 가까운 미래에 대한 풍력에너지(풍력에너지밀도와 잠재전력생산량)의 시 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사용된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지역기후모델 HadGEM3-RA를 이용해 생산된 RCP2.6과 8.5자료이다. 시나리오 생산의 기반이 된 지역기후모델을 과거기간에 대하여 ECMWF의 ERA-interim 재분석자료와 비교분석한 결과, 지역 기후모델은 풍력에너지를 육지에서는 과소, 바다에서는 과대 모의하였다. 그리고 변동성 역시 육지에서 과소, 바다에서는 과대 모의하였다. 미래 풍력에너지는 RCP 시나리오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나지만 육지에서 증가, 바다에서는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고도가 높은 산지 및 해안지역에서 미래 풍력에너지의 변동성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별 풍력에너지밀도 분석결과 제주에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변동성도 크게 증가하였다. 미래 풍력에너지의 변동은 주변 기상장의 변화와 연관 지어 해석이 가능하였으나 큰 변동성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분석된 결과는 미래 에너지 수급 및 활용계획 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ssessment of the current and future climate change-induced potential wind energy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planning and operations of wind farm. Here, the authors analyz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ilities of wind energy over Korean Peninsula in the near future (2006-2040) u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국립기상연구소 HadGEM3-RA 지역기후모델로 산출된 기후변화 시나리오이다. IPCC 5차 평가 보고서는 대표온실가스 농도 시나리오(RCP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미래 기후변화 전망의 불확실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RCP 시나리오는 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량으로 온실가스 농도가 정해진 시나리오이며,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를 RCP8.
  • 본 연구에서는 미래 에너지 수급 및 효율적인 풍력 에너지 활용을 위하여 미래 풍력에너지의 경향성 및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RCP 2.6과 8.5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산출된 HadGEM3-RA 지역기후모델 자료를 활용하여 미래 풍력에너지밀도(WED), 잠재전력생 산량(PEP) 및 이들의 변동성을 통해 미래 풍력에너지의 변동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HadGEM3-RA 모델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미래풍력에너지 변동성 분석에 앞서, HadGEM3-RA를 통해 적분된 기후자료에 대한 특성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00년 제어적분된 HadGEM3-RA의 RCP 2.6과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과거기후 예측 자료와 같은 기간의 ECMWF ERA-interim 자료와 비교 분석을 통해 사용될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검증을 위해 사용된 기간은 1981년부터 2005년까지 25년이다.
  • 본 연구에서는 400년 제어적분된 RC P 2.6과 RCP8.5 시나리오 기반의 10m 고도 풍속을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풍력에너지의 불확실성 범위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림 1에 제시된 영역에 대하여 가까운 미래에 해당하는 2040년까지 기간에 대한 풍력에너지의 공간 변동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래 에너지 수급 및 효율적인 풍력 에너지 활용을 위하여 미래 풍력에너지의 경향성 및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RCP 2.
  • 1999; 이경미 등, 2012). 본 연구에서는 지역기후모델(HadGEM3-R A)의 과거 모의 자료에 대하여 ECMWF의 ERA-interim 재분석자료를 활용하여 연평균 풍력에너지밀도(WED)와 잠재 전력생산량(PEP)에 대한 지역기후모델의 모의성능과 불확실성 범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호비교를 수행하였다. 또한 WED와 PEP의 연평균과 경년변동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풍력발전단지의 최적화된 설계 및 효율적인 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향후 20~30년 후의 미래 풍력에너지 변화의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풍력발전단지의 최적화된 설계 및 효율적인 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향후 20~30년 후의 미래 풍력에너지 변화의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립기상연구소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하여 미래 풍력에너지의 공간 분포 및 경년 변동성을 조사하였으며 지역적으로 나타나는 변화를 기후 변화와 연관지어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지역 분석은 과거 대비 미래 WED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지점을 선택하여 중심으로부터 반경 20km 영역의 값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거 대비 상대적인 WED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과거의 W ED 평균값을 100으로 가정하였고 평균값과의 편차를 5년 이동 평균하였다. 검은선은 과거 (hindcast), 파란선은 RCP2.
  • ρ는 공기밀도, V 평균풍속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밀도의 값을 표준대기밀도 1.225kg m-3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차 에너지 기본계획에 나타난 신재생에너지 목표는? 기후변화의 주요인이 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활용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재생에너지의 공급 비율이 2012년 현재 약 3.18%이며(에너지관리공단, 2013)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35년까지 약 11%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로 2차 에너지 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산업통상자원부, 2014). 이 중 바람은 기상 및 기후와 밀접하게 연관된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이를 활용한 풍력발전은 높은 기술 성숙도와 낮은 발전단가 등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신재생에너 지백서, 2012).
풍력발전단지 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이유는? 18%이며(에너지관리공단, 2013)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35년까지 약 11%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로 2차 에너지 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산업통상자원부, 2014). 이 중 바람은 기상 및 기후와 밀접하게 연관된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이를 활용한 풍력발전은 높은 기술 성숙도와 낮은 발전단가 등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신재생에너 지백서, 2012). 최근에는 육상뿐만 아니라 해상 영역으로 확대하여 정부 주도의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개발이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예, 서남해 2.
풍력발전단지 개발과 운영 계획 수립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풍력발전단지의 신규 개발과 안정적인 운영 계획 수립을 위해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풍력에너지의 변동성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IPCC 5차 보고서에서 새롭게 도입된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를 적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하여 2006년부터 2040년까지의 가까운 미래에 대한 풍력에너지(풍력에너지밀도와 잠재전력생산량)의 시 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