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나무 수령과 감꽃 기관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Persimmon Flower according to Tree Age and Floral Organ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3 no.4, 2014년, pp.321 - 328  

김지혜 (강릉원주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  홍세진 (강릉원주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  신일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엄향란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나이셈 평창분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감꽃의 주요 향기성분을 알아보기 위해서 감나무 수령별로 감꽃의 향기성분을 SPME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기관을 꽃과 꽃받침으로 분류하여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감나무 수령별 감꽃의 만개율은 15년생 이상, 10-14년생, 5-9년생 순으로 수령이 오래될수록 초기 만개율이 높았다. 감나무 수령에 따른 감꽃 향기성분 분석 시 동정된 주요 향기 성분은 a-pinene, butene, caryophyllene, cubebene, lavandulol, D-limoneneylangene, ylangene 등의 성분을 얻을 수 있었다. 대부분이 green향, fruit계, floral계의 옅은 향도 포함하고 있었다. 감꽃에 존재하는 휘발성 향기성분의 수는 5-9년생은 30종, 10-14년생은 24종, 그리고 15년생 이상에서는 32종으로 수령이 5년 미만과 15년 이상에서 많은 향기성분이 조사되었다. 감꽃을 꽃받침과 나누어 향기성분을 비교하면 단감 '부유' 품종 중 꽃의 향기 성분은 10개이고 상대적인 총 함량은 26.35%이며, 꽃받침은 향기 성분은 14개이고 상대적인 총 함량은 46.28%로 꽃에 비해서 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떫은감 '둥시' 품종은 꽃에서는 6개의 향기성분이 17.58%, 꽃받침에서는 9개의 향기 성분이 50.27%로, '부유' 품종에 좀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감꽃 향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향기산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flower. VOCs of persimmon flower was collected via SPE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and determined by GC-MS according to tree age and organs such as flower and calyx. The ratio of early 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7%로, ‘부유’ 품종에 좀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감꽃향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향기산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본 연구는 과실만을 생식용으로 이용하는 감나무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서 이용부위 탐색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감꽃에 대한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감나무의 수령별로 감꽃의 개화정도 및 감꽃의 향기성분을 분석하였으며, 꽃부위를 꽃과 꽃받침으로 나누어 각각에 존재하는 휘발성 향기성분의 정성분석을 통해 부위별 향기성분물질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생산되는 감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세계적으로 감의 생산량은 4,317,572톤이며, 이중 중국이 3,290,100톤, 한국이 390,820톤, 일본이 207,500톤으로 전체 생산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FAO, 2011). 국내에서 생산되는 감은 단감과 떫은감으로 분류되는데, 주로 남부지역에서 재배되는 단감은 생식용으로 이용하는 반면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재배되는 떫은감의 경우 과도한 탄닌 성분으로 인해 이용범위가 제한적이다(Kim et al., 2006).
감은 주로 어느 지역에서 재배되는가? 감(Diospyros kaki Thunb.)은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진 감나무과(Ebenaceae)에 속하는 주요 과수이며(Luo and Wang, 2008),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의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감의 생산량은 4,317,572톤이며, 이중 중국이 3,290,100톤, 한국이 390,820톤, 일본이 207,500톤으로 전체 생산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FAO, 2011).
감꽃에 존재하는 휘발성 향기성분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동정된 감꽃의 향기 성분의 수는 5-9년생은 30종, 10-14년생은 24종, 그리고 15년생 이상에서는 32종으로 수령이 5년 미만과 15년 이상에서 많은 향기성분이 조사되었다. 일반적으로 향기성분은 green계, fruit계 그리고floral계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Lawless, 1995; Yang,2010). Green계 향은 풋내를 나타내는데, 감꽃에 존재하는 green계 향기성분은 α-pinene, hexenal, 그리고 1-hexanol 등이 포함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yun, M.S., M.J. Kim, M.K. Kwon, Y.Y. Han, and K.W. Kim. 2007.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the blossom scent in different flowering stages and floral organs of Lilium using an electronic nose. Flower Res. J. 15:1-8. 

  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011. FAOSTAT. http://faostat.fao.org/site/567/DesktopDefault.aspx?PageID567#ancor. 

  3. Heo, I.D., H.J. Seo, and J.D. Kim. 2007. Anti-angiogenic and anti-cell adhesion effect of the Camellia japonica flower extract. J. Life Sci. 17:1152-1156. 

  4. Hong, J.H., H.J. Kim, Y.H. Choi, and I.S. Lee. 20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persimmon, fresh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57-964. 

  5. Jo, Y.J., O.M. Kim, and Y.J. Jeong. 2013. Monitoring of the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oriental melon wine using SPME. Korean J. Food Preserv. 20:207-214. 

  6. Jung, U.J., J.S. Lee, S.H. Bok, and M.S. Choi. 2011. Effects of extracts of persimmon leaf, buckwheat leaf, and chinese matrimony vine leaf on body fat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215-1226. 

  7. Kang, J.M., I.H. Cha, Y.K. Lee, and H.S. Ryu. 1997. Identification of volatile essential oil, and flavor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fraction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I. Identification of volatile essential oil compound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209-213. 

  8. Kim, J.H., S.H. Park, H.G. Mun, I.S. Lee, and J.K. Kim. 2006. Analysis of useful components for freeze-dried persimmon flower powder by cultivar. Korean J. Food Preserv. 13:691-696. 

  9. Kolosova, N., D. Sherman, D. Karison, and N. Dudareva. 2001. Cellular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S-adenosyl-Lmethionine: benzoic acid carboxyl methyltransferase, the enzyme responsible for biosynthesis of the volatile ester methylbenzoate in snapdragon flowers. Plant Physiol. 126:956-964. 

  10. Lawless, J. 1995.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essential oils: The complete guide to the use of oils in aromatherapy and herbalism. Element books Ltd. UK. 

  11. Lee, Y.S., K.I. Seo, and K.H. Shim.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 flower extracts (Castanea crenata).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6:104-109. 

  12. Lee, Y.S., S.J. Kim, and K.J. Kim. 2008.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according to the flowering stages of rose using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Kor. J. Hort. Sci. Technol. 26:501-507. 

  13. Luo, Z. and R. Wang. 2008. Persimmon in China: Domestication and traditional utilizations of genetic resources. Advances in Horticultural Science 22:239-243. 

  14. Mactavish, H.S. and R.C. Menary. 1998. Biosysnthesis of volatiles in brown boronia flowers after harvest: Effect of harvest time and incubation conditions. Annals of Botany 81:83-89. 

  15. Park, H. 1999. Expression mechanism and bioactivity of flower fragrance. Flower Color and Fragrance. 1:49-68. 

  16. Seo, J.H., Y.J. Jeong, and K.S. Kim. 2000.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nnins isolated from astringent persimmon fruits. Korea J. Food Sci. Technol. 32: 212-217. 

  17. Yang, H.J. 2010. The dictionary of flavor terminology. Namyang Culture Publishers, Korea 

  18. Zhuang, X., W.E. Klingeman, J. Hu, and F. Chen. 2008. Emission of volatile chemicals from flowering dogwood (Cornus florida L.) flowers. J. Agri. Food Chem. 56:9570-95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