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해만과 주변해역 저층 영양염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Nutrients Variation in Bottom Layer of Jinhae Bay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0 no.6 = no.65, 2014년, pp.627 - 639  

최태준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권정노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임재현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김슬민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안환경의 영양염 순환에서 저층에서의 영양염 재생산(regeneration)은 주요한 영양염 공급원 중 하나이다. 진해만 저층 영양염의 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2004년부터 2012년까지 9년간 진해만 내 14개 정점의 수질자료를 분석하였다. 저층의 용존무기질소, 인산염인, 규산염규소는 계절적 변동성을 나타내었고, 하계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특히, 빈산소 수괴(hypoxia) 형성 시기의 평균 영양염 농도는 정상산소상태(normoxia) 시기에 비해 약 2배 더 높게 나타났다. 하계 진해만의 저층 용존무기질소, 인산염인, 규산염규소의 농도는 재생산에 의해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공간적 농도 분포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용존무기질소와 인산염인은 마산만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는 반면 규산염규소는 마산만 뿐만 아니라 진해만 중심부에서도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영양염에 비해 규산염규소는 전 계절 동안 저층에서의 재생산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계열 분석 결과 9년간 용존무기질소의 농도는 약 $14{\mu}M$에서 $6{\mu}M$로 뚜렷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용존무기질소의 감소로 인해 진해만 저층의 Si/N 비는 약 1에서 3으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spect of the nutrients cycling in coastal environment, regeneration in bottom layer is one of major source of nutrients. We analyzed the bottom water quality at the 14 stations during 9 years from 2004 to 2012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at bottom layer in Jinhae Bay. Conc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발틱해 일차 생산에 주요한 공급원인 저층 영양염의 특성과 장기적인 변동성에 대해 밝히고 있다. 본 연구는 2004~2012년간 진해만 저층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저층 영양염의 시간적, 공간적 변동을 살펴봄으로서 생지화학적 순환 과정의 특성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앞서 소개한 연구들에 비해서는 짧은 기간 동안의 변동에 대한 분석이나 진해만 저층 수질관리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2002; Danielsson, 2014).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발틱해 일차 생산에 주요한 공급원인 저층 영양염의 특성과 장기적인 변동성에 대해 밝히고 있다. 본 연구는 2004~2012년간 진해만 저층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저층 영양염의 시간적, 공간적 변동을 살펴봄으로서 생지화학적 순환 과정의 특성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해만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현장에서 생산된 유기물 질은 어떻게 되는가? 진해만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현장에서 생산된 유기물 질은 많은 부분이 수중에서 분해되지 않고 가라앉아 퇴적 층에 쌓이게 된다(Park et al., 2012).
진해만은 어떤 지역인가? 우리나라 남해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진해만은 가덕도 수로 서쪽에 위치하고 있고, 행암만, 마산만, 진동만, 원문만, 고현만 등으로 구성된 폐쇄적 지역이다(Kim et al., 2012).
진해만은 영양염을 포함한 오염물질의 유입이 많고 유기물질 부하량이 큰 배경은? , 1991; Hyun et al., 2011), 북측의 마산만은 인접한 대도시로부터 오염물질 유입 등 담수의 영향을 크게 받는 반폐쇄성 해역이다(Son et al., 2011; Hyun et al., 2011). 또한 진해만의 서측인 진동만, 고성연안 주변은 수하식 굴양식장이 밀집된 지역이며, 남측인 원문만, 고현만은 주거도시와 조선사업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이다(Son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k, S. H. and Y. O. Kim(2010), The study of summer season in Jinhae Bay - Short-term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and horizont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vol. 28, No. 3, pp. 115-124. 

  2. Belias, C., M. Dassenaks and M. Scoullos(2007), Study on the N, P and Si fluxes between fish farm sediment and seawater. Results of simulation experiments employing a benthic chamber under various redox conditions, Marine Chemistry, Vol. 103, No. 3-4, pp. 266-275. 

  3. Canfield, D. E., B. Thamdrup and E. Kristensen(2005), Aquatic Geomicrobiology, Elsevier Academic Press,48:640 

  4. Cho, H. S., D. I. Lee, Y. H. Yoon, M. O. Lee and D. M. Kim(2004), Tempor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of the western Chinhae Bay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7, No. 1, pp. 13-21. 

  5. Cho, K. J., M. Y. Choi, S. K. Kwak, S. H. Im, D. Y. Kim, J. G. Park and Y. E. Kim(1998), Eutrophica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Masan-Jinhae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3, No. 4, pp. 193-202. 

  6. Conley, D. J., C. Humborg, L. Rahm, O. P. Savchuk and F. Wulff(2002), Hypoxia in the Baltic Sea and basin-scale changes in phosphorus biochemistry,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6, No. 24, pp. 5315-5320. 

  7. Cowan, J. L. W., J. R. Pennock and W. R. Boynton(1996), Seasonal and inter annual patterns of sediment-water nutrient and oxygen fluxes in Mobile Bay, Alabama(U.S.A): regulating factors and ecological significance,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141, pp. 229-245. 

  8. Danielsson, A.(2014), Influence of hypoxia on DSi concentrations in the Baltic Proper (Baltic Sea), Boreal environment research, 19:00-00. 

  9. Gundersen, K.(1981), The distribution and biological transformations of nitrogen in the Baltic S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12, No. 6, pp. 199-205. 

  10. Han, M. S., S. W. Kim and Y. O. Kim(1991), Influence of discontinuous layer on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in Masan Bay, Korea,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4, No. 6, pp. 459-471. 

  11. Herbert, R. A.(1999), Nitrogen cycling in coastal marine ecosystems, FEMS Microbiology Review, Vol. 23, No. 5, pp. 563-590. 

  12. Hong, G. H., K. T. Kim, S. J. Pae, S. H. Kim and S. H. Lee(1991), Annual cycles of nutrients and dissolved oxygen in a nutrient-rich temperate coastal bay, Chinhae Bay, Korea,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6, No. 3, pp. 204-222. 

  13. Hori, Y., S. Mochizuki and N. Shimamoto(2008),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oloration of cultivated Porphyra thalii and long-term change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northern part of Harima-Nada, eastern Seto Inland Sea, Japan,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Fisheries Oceanography, Vol. 72, No. 2, pp. 107-112 

  14. Hyun, B. G., K. Shin, D. S. Kim, Y. O. Kim, H. M. Joo and S. H. Baek(2011), Understanding of phytoplankton community dynamics through algae bioassay experiment during winter season of Jinhae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6, No. 1, pp. 27-38. 

  15. Kemp, W. M., P. A. Sanipou, J. Garber, J. Tuttle and W. R. Boynton(1992), Seasonal depletion of oxygen from bottom waters of Chesapeake Bay: roles of benthic and planktonic respiration and physical exchange processe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85, pp. 137-152. 

  16. Kim, S. Y., Y. H. Lee, Y. S. Kim, J. H. Shim, M. J. Ye, J. W. Jeon, J, R. Hwang and S. H. Jun(2012),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al in the hypoxic Season at Jinhae bay in 2010,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Vol. 6, No. 2, pp. 115-129. 

  17. Kwon, J. N., J. Lee, Y. Kim, J. H. Lim, T. J. Choi, M. J. Ye, J. W. Jun and S. Kim(2014),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Jinhae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Vol. 17, No. 4, pp. 324-332. 

  18. Lee, J. S., K. H. Kim, S. S. Kim, R. H. Jung, K. Y. Kim, J. S. Park, P. Y. Lee, Y. S. Lee, W. J. Choi, Y. C. Park, P. J. Kim, W. C. Lee, J. N. Kwon, K. H. Uhm, J. I. Choi, K. A. Jeon and J. H. Han(2004), The assessment of trophic state and the importance of benthic boundary layer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9, No. 4, pp. 179-195. 

  19. Lee, P. Y., J. S. Park, C. M. Kang, H. G. Choi and J. S. Park(1993), Studies on oxygen-deficient watermass in Chinhae Bay,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Vol. 48, pp. 25-38. 

  20. Lehtoranta, J. and A. S. Heiskanen(2003), Dissolved iron: phosphate ratio as an indicator of phosphate release to oxic water of the inner and outer coastal Baltic Sea, Hyrdobiologia, Vol. 492, No. 1-3, pp. 69-84. 

  21. Matsuoka, S., S. Yoshimatsu, A. Ono, K. Ichimi, M. Fujiwara, K. Honda and K. Tada(2005) Discoloration of nori(Porphyra)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eastern Bisan Seto, Bulletin on coastal oceanography, Vol. 43, No. 1, pp. 77-84. 

  22. Middelburg, J. J. and L. A. Levin(2009), Coastal hypoxia and sediment biogeochemistry, Biogeosciences Discussions, Vol. 6, No. 2, pp. 3655-3706. 

  23. MLTM(201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arine environment standard methods, p. 495. 

  24. Nishikara, T., Y. Hori, S. Nagai, K. Miyahara, Y. Nakamura, K. Harada, M. Tanda, T. Manabe and K. Tada(2010), Nutrient and phytoplankton dynamics in Harima-Nada, eastern Seto Inland Sea, Japan during a 35-year period from 1973 to 2007, Estuaries and Coasts, Vol. 33, pp. 417-427. 

  25. Nishikara, T., Y. Hori, S. Nagai, K. Miyahara, Y. Nakamura, K. Harada, K. Tada and I. Imai(2011), Long tine-series observations in population dynamics of the harmful diatom Eucampia Zodiacu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Harima-Nada, eastern Seto Inland Sea, Japan during 1974-2008, Plankton and Benthos Research, Vol. 6, No. 1, pp. 26-34. 

  26. Park, J. H., Y. S. Cho, W. C. Lee, S. J. Hong, H. C. Kim and J. B. Kim(2012), Comparison of material flux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 marine finfish and abalone cage farms, Southern Coast of Korea; In-situ and Laboratory Incubation Exam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 18, No. 6, pp. 536-544. 

  27. Rabalais, N. N., R. E. Turner, D. Justic, Q. Dortch, W. J. Wiseman and B. K. S. Gupta(1996), Nutrient changes in the Mississippi River and system responses on the adjacent continental shelf, Estuaries, Vol. 19, No. 2, pp. 386-407. 

  28. Richard, M., P. Archambault, G. Thouzeau and G. Desresies(2007), Summer influence of 1 and 2 yr old mussel cultures on benthic fluxes in Grande-Entree lagoon, Iles-de-la-Madeleine(Quebec, Canada),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338, pp. 131-143. 

  29. Scoullos, M., C. Zeri, M. Dassenakis and E. Kaberi(1987), Study of nutrients' behavior under extreme oxidative condition, B' Hellenic Symposium of Fisheries and Oceanography, Athens 11-15 May, 1987(in Greek) 

  30. Son, M., S. H. Baek, H. M. Joo, P. G. Jang and Y. O. Kim(2011),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and water pollution in Gwangyang Bay and Jinhae Bay,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Vol. 29, No. 3, pp. 162-170. 

  31. Son, M., B. G. Hyun, D. S. Kim, H. W. Choi, Y. O. Kim and S. H. Baek(2012),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spring and summer stratified water-column at Jinhae Bay,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Vol. 30, No. 3, pp. 219-230. 

  32. Son, M., D. S. Kim and S. H. Baek(2014),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and nutrient limitation during spring season in Jinhae Ba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5, pp. 3345-3350. 

  33. Sorensen, J.(1978), Capacity for denitrification and reduction of nitrate to ammonia in a coastal marine sediment,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 35, No. 2, pp. 301-305. 

  34. Tada, K., M. Fujiwara and T. Honjo(2010), Water quality and nori(Porphyra)culture in the Seto Inland Sea, BUNSEKI KAGAKU, Vol. 59, No. 11, pp. 945-955. 

  35. Villnas, A., J. Norkko, K. Lukkari, J. Hewitt and A. Norkko(2012), Consequences of increasing hypoxic disturbance on benthic communities and ecosystem functioning, PloS one, Vol. 7, No. 10, pp. e44920. 

  36. Waldeback, M., E. Rydin and K. Markides(1988), Use of accelerated solvent extraction for determination of ecological important phosphorus in lake sedi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alytical Chemistry, Vol. 72, No. 4, pp. 257-266. 

  37. Yang, D. B. and J. S. Hong(1988), On the biogeochemical characteristic of surface sediments in Chinhae bay in September 1983,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1, No. 4, pp. 195-2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