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작위 공간 채움 곡선을 이용한 하프토닝의 개선 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of Halftoning using Random Space Filling Curv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 2014년, pp.415 - 421  

조청운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무작위 공간 채움 곡선을 스캐닝 경로로 사용하는 디지털 하프토닝 방법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해 제시한다. 무작위 공간 채움 곡선은 공간 채움 곡선의 자기 유사성으로 인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되었다. 스캐닝 경로에 무작위성을 도입하여 일정한 밝기를 가진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규칙적인 패턴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무작위 공간 채움 곡선을 사용한 하프토닝에도 일부 영역에서 경로를 따라 밝기가 지나치게 밝아지는 결과를 보일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단일 화소로 제한된 확산 방식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식은 효과적으로 오차의 과다 누적을 막아주며 하프토닝에도 개선된 결과를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d problem and improvement of halftoning using random space filling curve. Random space filling curve is developed as a solution for shortcoming which space filling curve has self-similarity. It is used to reduce regular pattern can be occurred in constant brightness area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원인을 시각화 하여 보이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발생 원인에 맞게 단일 화소에 확산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따른 실험 결과를 보였다. 제안된 방법은 하프토닝을 처리하는 경로를 따라 다음 화소에만 오차를 확산하고 다른화소에는 확산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오차가 과다 누적되는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 본 논문에서는 같은 무작위 공간 채움 곡선에 대해서 세 가지 오차 확산 하프토닝을 실험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곡선 경로를 따라가며 하프토닝을 수행한 후 발생한 오차를 아직 처리되지 않은 화소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방법이다.
  • 본 논문에서는 무작위 공간 채움 곡선을 따라 오차를 주변 화소에 확산시키는 디지털 하프토닝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그 원인을 제시하였다. 동일한 패스를 사용하더라도 입력 영상에 따라 누적되는 오차는 차이를 보인다.
  • 그러나 하프토닝의 결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의 원인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원인을 시각화 하여 보이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발생 원인에 맞게 단일 화소에 확산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따른 실험 결과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하프토닝은 무엇인가? 디지털 하프토닝은 여러 비트의 밝기 단계로 표현되는 연속적인 톤의 디지털 이미지를 흑백의 두 단계로만 표현되는 이미지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 기법이다. 오차 확산 방법은 디지털 하프토닝의 한 가지 기법으로 연속 적인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한 픽셀씩 변환하면서 두 영상의 대응되는 픽셀간의 밝기 차이를 주변으로 확산시켜 줌으로써 결과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켜주는 방법이다[1,2,3].
오차확산 방법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법은 무엇인가? 오차확산 방법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법은 Floyd와 Steinberg에 의해 개발된 오차 확산법이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7]. 이미지의 상단에서 아래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형상을 차례로 한 화소씩 스캔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아직 처리되지 않은 네 개의 이웃 화소들에 고정된 비율로 오차를 확산한다.
공간 채움 곡선은 어떤 스캔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이용되는가? 오차 확산법에는 이와 같이 래스터 스캔을 이용하면서 확산되는 범위와 가중치를 다르게 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스캔의 방향으로 특성으로 인해 하프토닝의 결과 영상에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패턴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스캔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계속 방향을 바꾸며 진행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방법이 공간 채움 곡선을 이용한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 E. Bayer, An optimum method for two level rendition of continuous-tone pictures. In IEEE Internatinoal Conference on Communicatinos, Conference Record, pp.11-15, Seattle, Washington, USA, June 11-13, 1973. 

  2. R. A. Ulichney, Digital Halftoning. MIT Press, Cambridge, MA, 1987. 

  3. D. L. Rau and G. R. Arce, Modern Digital Halftoning. CRC Press, 2nd ed., 2008. 

  4. T. Asano, Digital halftoning algorithm based on random space-filling curve. Proceeding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Vol. 1, pp.545-548, 1996. 

  5. T. Asano, Digital halftoning algorithm based on radom space-filling curve. IEICE Trans. Fundamentals, Vol.E82-A, No.3 March 1999. 

  6. K. Inoue and K. Urahama, "Halftoning with minimum spanning trees and its application to maze-like images. Computer & Graphics 33, pp.638-647, 2009. 

  7. R. Floyd and L. Steinberg, An adaptive algorithm for spatial gray scale. SID Symposium, pp.36-37, 1975. 

  8. I. H. Witten and R. M. Neal, Using peano curves for bilevel display of continuous-tone images.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2:47-52, May 1982. 

  9. L. Velho and J. de Miranda Gomes, Digital halftoning with space filling curves. Computer Graphics (SIGGRAPH '91 Proceedings), Vol. 25, No. 4, pp.81-90, July 1991. 

  10. L. Velho and J. Gomes, Stochastic screening dithering with adaptive clustering. Computer Graphics (SIGGRAPH '95 Proceedings), pp.273-276, August 1995. 

  11. T. Wong and S. Hsu, Halftoning with selective rrecipitation and adaptive clustering. Graphics Gems V, pp.302-313, Edited by Alan Paeth, AP Professional, 199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