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적 기법을 통한 플렉서블 OLED 봉지막의 파괴특성 연구
Fracture Analysis of a $SiN_x$ Encapsulation Layer for Flexible OLED using Electrical Methods 원문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13 no.4, 2014년, pp.15 - 20  

김혁진 (삼성 디스플레이) ,  오승하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김성민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김형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racture analysis of $SiN_x$ layers, which were deposited by low-temperature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LT-PECVD) and could be used for an encapsulation layer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was performed by an electrical method. The specimens of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누설 전류의 측정을 통한 크랙의 발생을 탐지하는 방법으로써 효과 검증을 실시하고자 시료의 조건에 따라 유의차 있는 크랙의 발생 수준 확인 목적으로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봉지막의 두께를 세 가지 조건으로 증착한 후 동일한 굽힘 반경에서 최초 누설 전류 변화가 확인되는 반복 굽힘 횟수를 측정하여 봉지막 두께에 따른 크랙 발생 시점의 굽힘 횟수 경향성을 확인하 였다.
  • 막두께의 증감을 통한 내부 응력의 변동으로 봉지막의 파괴 특성이 변화하는 점이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파괴 분석 방법으로도 반영 되는지 검증한 것이다. 막두께 외에도 봉지막의 파괴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들, 예를 들면 막 종류, 성막 조건, 굽힘 반경, 온습도 등의 환경 인자에 따른 유의차를 누설 전류의 증가가 발생되는 굽힘 횟수를 측정하면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  따라서 육안으로 판단이 어려운 크랙의 발생을 용이하게 탐지하고 장기간의 투습 평가를 진행하지 않더라도 굽힘에 의한 크랙의 발생 유무, 발생 정도 등을 쉽고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반복적인 굽힘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미세한 크랙들은 봉지막의 화학적 결합이 끊어진 상태로 전자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되므로 굽힘에 따른 봉지막의 누설 전류 측정을 통해 봉지막의 파괴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이러한 전기적 분석을 이용하면 봉지막의 여러 특성들을 변경하고 개선해가면서 투습 특성을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적 절약을 할 수 있고 정량적인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이 현상은 동일한 경향을 보이는 다른 상부 전극의 반복 평가에서도 재현성이 확인되었으며, 추가적으로 크랙과 누설 전류의 관련성을 확실히 확인하기 위해서 반복되는 굽힘 횟수의 증가에도 크랙의 발생이 없는 영역의 상부 전극의 누설 전류 증가를 평가하였다. 반복 굽힘 500회, 1000회 평가 후에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영역의 누설 전류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고 재현 실험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Fig.
  • 최종적으로 우리는 위의 두 가지 개선방안을 모두 적용하여 ITO 100Å / Pt 100Å / ITO 100Å의 하부 전극 구조 최적화를 완료하였고, 봉지막의 굽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Fig.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LED 패널의 봉지막은 어떻게 발전해왔는가? OLED 디스플레이에서의 봉지막은 여러 단계의 발전을 이루어 왔다. 초기부터 현재까지는 금속캔이나 유리를 이용한 봉지막을 형성하고 있으며[1], 근래에는 OLED 패널의 유리 두께와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부 유리를 없애고 박막을 이용하는 박막 봉지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육안으로 판단이 어려운 크랙의 발생을 쉽게 탐지하고 장기간의 투습 평가를 진행하지 않더라도 굽힘에 의한 크랙의 발생 여부, 발생 정도 등을 쉽고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이 필요한 이유는? 특히 최근 기술 방향인 플렉서블 제품의 경우 사용자 환경에 따라 반복되는 굽힘 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박막으로 이루어진 OLED 봉지막에 반복적인 굽힘을 가하면 박막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며 미세한 크랙들이 발생되고 이를 통한 수분과 산소의 침투는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제품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 중에 하나이다. 현재 박막의 크랙 발생은 육안을 통해 관찰하거나 크랙에 의한 투습도의 변화를 Ca 테스트 등의 방법으로 확인하고 있으며[5] 투습 특성 평가에 많은 시일이 소요되고 평가를 위한 시료를 따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육안으로 판단이 어려운 크랙의 발생을 용이하게 탐지하고 장기간의 투습 평가를 진행하지 않더라도 굽힘에 의한 크랙의 발생 유무, 발생 정도 등을 쉽고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플렉서블 제품의 문제점은? OLED 소자의 특성 상 수분과 산소에 의한 퇴화에 매우 취약하며[2, 3] 이를 방지하기 위해 봉지막은 매우 높은 수준의 수분 방지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 10-6 g/m2 ·day)[4]. 특히 최근 기술 방향인 플렉서블 제품의 경우 사용자 환경에 따라 반복되는 굽힘 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박막으로 이루어진 OLED 봉지막에 반복적인 굽힘을 가하면 박막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며 미세한 크랙들이 발생되고 이를 통한 수분과 산소의 침투는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제품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 중에 하나이다. 현재 박막의 크랙 발생은 육안을 통해 관찰하거나 크랙에 의한 투습도의 변화를 Ca 테스트 등의 방법으로 확인하고 있으며[5] 투습 특성 평가에 많은 시일이 소요되고 평가를 위한 시료를 따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P. Burrows, V. Bulovic, S. Forrest, L. Sapochak, D. McCarty, and M. Thompson, "Reliability and degrad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65, pp. 2922-2924, 1994. 

  2. Y. Sato and H. Kanai, "Stability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s," Molecular Crystals and Liquid Crystals, vol. 252, pp. 435-442, 1994. 

  3. L. Do, E. Han, Y. Niidome, M. Fujihira, T. Kanno, S. Yoshida, et al., "Observation of degradation processes of Al electrodes i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s by electroluminescence microscopy, atomic force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Auger electron spectroscopy,"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76, pp. 5118-5121, 1994. 

  4. J. S. Lewis and M. S. Weaver, "Thin-film permeation-barrier technology for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Selected Topics in Quantum Electronics, IEEE Journal of, vol. 10, pp. 45-57, 2004. 

  5. N. Kim,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infilm encapsulation for organic electronics," 2009. 

  6. G.-F. Wang, X.-M. Tao, and R.-X. Wang,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a polymeric nanocomposite anode," Nanotechnology, vol. 19, p. 145201, 2008. 

  7. J.-A. Jeong, H.-K. Kim, and M.-S. Yi, "Effect of Ag interlayer on the optical and passivation properties of flexible and transparent $Al_2O_3/Ag/Al_2O_3$ multilayer," Applied Physics Letters, vol. 93, pp. 033301-033301-3, 2008. 

  8. Y. Leterrier, L. Medico, F. Demarco, J.-A. Manson, U. Betz, M. Escola, et al., "Mechanical integrity of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films for flexible polymer-based displays," Thin Solid Films, vol. 460, pp. 156-166, 2004. 

  9. A. Roberts, B. Henry, A. Sutton, C. Grovenor, G. Briggs, T. Miyamoto, et al., "Gas permeation in silicon-oxide/polymer ( $SiO_x$ /PET) barrier films: role of the oxide lattice, nano-defects and macro-defects," Journal of Membrane Science, vol. 208, pp. 75-88, 2002. 

  10. Z. Chen, B. Cotterell, W. Wang, E. Guenther, and S.-J. Chua, "A mechanical assessment of flexible optoelectronic devices," Thin Solid Films, vol. 394, pp. 201-205,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