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 탐색
Feasibility Exploration of Social Cooperatives as a Community Social Work Practice Model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1 no.3, 2014년, pp.91 - 119  

조미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토대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 사회적 배제와의 투쟁 전략으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복지법인이나 사회적기업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기관일 뿐인가? 사회복지부문은 협동조합의 속성에서 비롯되는 효과를 사회통합의 기제로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기존의 사회복지기관은 정부와 이용자 사이의 중간 매체로서 기능했다면, 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이해당사자와 협동의 관계 속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관점에서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feasibility of social cooperatives as a strategy of struggle to social exclusion in the social services area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Is social cooperatives on the Fundamental Act on Cooperatives a new type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s comparing the soc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토대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뢰, 배려, 협동 등의 가치를 잃어가고 있는 지점에 사회적협동조합을 대입해보면, 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이라는 조직의 등장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어떠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사회적협동조합이라는 조직의 등장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어떠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복지법인이나 사회적 기업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기관일 뿐인가? 사회복지부문은 협동조합의 속성에서 비롯되는 효과를 사회통합의 기제로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기존의 사회복지기관은 정부와 이용자 사이의 중간 매체로서 기능했다면, 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이해당사자(타 기관, 이용자, 후원자, 서비스 제공인력 등)와 협동의 관계속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 않을까? 이상의 질문을 통해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을 조형하려는 관점에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사회적협동조합은 다양한 서비스 공급기관 중하나인가?

  • 일례로 일본 워커즈 코프 노동자협동조합에서 개호보험을 포함하여 정부로 부터 지원되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제공하는 모델과 유사할 것이다.31) 사회적협동조합에서는 사회복지사들 스스로 지역 사회에 고용되어 일하는 형태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관련법들의 개정이나 기관 보조금 형태로 지원되는 지자체의 예산 집행방식의 변경 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의식이 생각하는 사회적협동조합에 관한 가능성은? 황의식(2013)에 의하면, 사회적협동조합은 ‘협동조합은 이용자 중심기업’ 이라는 전통적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부족하지만, 복지서비스 부문에서 ‘시장이 없는 곳에서 시장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는 측면에서 가능성이 있다. 김형미(2011)는 ‘당사자형 복지’ 라는 측면에서 사회적협동조합 모델은 복지서비스의 일방적 수혜자나 이용자가 아니라 당사자의 눈높이에서 서비스 개선의 제안자가 되고 경영에도 참가할 수 있는 시스 템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김찬호가 이야기한 사회적협동조합 모델의 가능성은? 김형미(2011)는 ‘당사자형 복지’ 라는 측면에서 사회적협동조합 모델은 복지서비스의 일방적 수혜자나 이용자가 아니라 당사자의 눈높이에서 서비스 개선의 제안자가 되고 경영에도 참가할 수 있는 시스 템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김찬호(2011)는 돌봄, 문화, 생태, 교육 등의 지역을 기반으로 한 일거리들은 이윤을 목적으로 하기엔 비효율적인 노동이고, 제도적인 규격 속에서는 그 본질이 변질되기 쉽기 때문에 ‘시장과 공공 부분만으로는 담보하기 어려운 노동과 서비스의 질’이 협동조합을 통해 가능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장종익(2013)은 인구의 고령화와 여성의 경제적 진출에 따라 사회복지서비스 수요가 증가한 반면에 기존의 공공부문을 통한 ‘서비스제공방식의 비효율성이 노정’ 되면서 사회적협동조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보았다.
ICA가 정의한 협동조합이란? 1) 지난 21개월 동안 월 평균 200~300개의 협동조합이 설립된 것이다. 국제협동조합연맹(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 이하 ICA로 약칭)의 정의에 의하면, 협동조합은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관리하는 사업체(enterprise)를 통하여 조합원 공동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필요와 욕구, 그리고 염원을 충족시키고자 자발적으로 연대한 사람들의 자치조직(association)’이다(김형미, 2013). 협동조합은 시장에 대응하여 활동하는 사업체 조직이며, 동시에 시민의 결사체 조직으로서,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과도 다르고 비영리활동단체와도 다른 특성을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공정원. (2013). 사회서비스 전달체계로서 협동조합의 의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협동조합연구, 31(2), 49-66. 

  2. 김신양. (2013). 협동조합을 통한 지역복지 활성화방안. 복지동향, 176, 56-61. 

  3. 김용득, & 황인매. (2013). 사회(복지)서비스 주체들의 추동과 전망-이용자, 종사자, 제공기관, 정부의 지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1), 139-167. 

  4. 김정섭. (2013). 농촌 지역사회의 자율성과 협동조합: 홍동면 사례 연구, 농촌사회, 23(2), 173-223. 

  5. 김정섭, 마상진, & 김미복. (2012).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의 시사점과 농업.농촌 정책의 과제. 정책연구보고서, 9-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김정섭, & 조미형. (2013). 농어촌의 지역사회복지와 협동조합: 체계와 생활세계를 가로질러. 농어촌복지연구, 11, 1-25. 

  7. 김찬호. (2011). 지속가능한 지역사회와 협동조합. 생협평론, 5, 7-19. 

  8. 김형미. (2011). 협동조합운동과 복지. 생협평론, 4, 32-42. 

  9. 김형미. (2013). 농촌과 협동조합운동. 2013 국립목포대학교 복지사회연구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13. 

  10. 김형용. (2013). 지역사회기반 서비스와 사회복지관-사회서비스 공급체계에 대한 비판과 대안 찾기-.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1), 169-195. 

  11. 박태영. (2012).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639-668. 

  12. 오세웅. (2013). 일본의 사회복지법인에 의한 사회공헌사업과 지역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4, 247-273. 

  13. 이상무, 장종익, 정관영, & 양희택. (2013). 사회복지서비스기관들의 협동조합으로 의 전환가능성에 대해 조사, 한국협동조합연구, 31(1), 10-127. 

  14. 이철선. (2013). 고용복지 대안수단으로서 사회적 협동조합의 가능성 진단. 보건복지포럼, 2013. 3, 65-79. 

  15. 이혜경. (2009). 복지국가의 재편과 사회적 기업: 한국의 선택. 2009년도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WORKSHOP 자료집, 3-24. 

  16. 전형수. (2012). 협동조합기본법에서 본 사회적협동조합의 문제점. 한국협동조합연구, 30(1), 61-78. 

  17. 조미형. (2011). 제도적 환경변화에 대한 사회복지관의 인식과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1), 103-132. 

  18. 채종헌, & 최준규. (2012).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4(3), 195-225. 

  19. 황의식. (2013). 협동조합의 기본 이해. KREI협동조합연구회 세미나(2013.2.26.). (미간행물) 

  20. 장종익. (2013). 협동조합(운동)의 이론과 실제. KREI협동조합연구회 세미나 (2013.4.22.). (미간행물) 

  21. 히라노 타카유키. (2012). 일본의 지역복지 정책 및 방법. 김영종.박유미 역, 서울:학지사.(original work published 2008) 

  22. Alerlof. G. (1970). The market for Lemons: Quality uncertainty and the market mechanism.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84, 488-500. 

  23. Fulton, M., & Ketilson, L. (1992). The Role of Cooperatives in Communities: Examples from Saskatchwon. Journal of Agricultural Cooperation, 7, 15-42. 

  24. Reimer, B. (2004). Social exclusion in a comparative context. Sociologia Ruralis, 44(1), 76-94. 

  25. Zeuli, K., & Radel, J. (2005). Cooperatives as a Community Development Strategy: Linking Theory and Practice. The Journal of Regional Analysis and Policy, 35(1), 43-54. 

  26. 기획재정부 협동조합홈페이지 http://www.cooperatives.go.kr/e_condition.html (2014.1.9. 조회)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