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X-선 튜브의 고전압 발생장치 제어에 관한 연구
Study on Generator Control for a Small X-Ray Tube 원문보기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의학물리, v.25 no.4, 2014년, pp.248 - 254  

이순혁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과) ,  지윤서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과) ,  최상규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이레나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방사선종양학과 글로벌 탑 5 프로그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국 Xoft 사에서 근접치료 장치(elecronic brachytherapy)를 목적으로 개발된 소형 X-선 튜브를 치과용 영상장비로 사용함에 있어서 고전압 발생장치의 제어용 장치를 개발하고 영상용 제어 방식으로 최적화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사용된 X-선 튜브와 고전압 발생 장치는 각각 Axxent S700과 XF060NZZ485를 사용하였고, AT90CAN128 MCU를 사용하여 제어보드를 제작하였다. 관전압을 50 kV로 고정한 후에 제어 방식에 따라서 필라멘트 전류 제어 방식과 관전류제어 방식으로 나누었다. 필라멘트 제어 방식은 다시 필라멘트 가열 시간에 따라서 5초와 10초의 두 가지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필라멘트 전류 제어 방식에서는 필라멘트 예열 시간이 10초 이상이 되지 않으면 설정된 관전류 값에 도달하기 어려웠고, 관전류가 발생하는 필라멘트 전류도 1,300~1,350 mA로 가변적이었으며, 관전류가 발생된 이후에도 설정된 목표 값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약 5초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하지만 관전류 제어 방식에서는 관전류가 설정된 목표 값에 시간 지연 없이 즉각적으로 도달하였으며 그 때의 필라멘트 전류 값은 1,500 mA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의 X-선 튜브에 고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제어 장치를 개발하였고, 방사선 영상장비로 사용함에 있어서는 관전류 제어 방식이 적합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control system for a small X-ray tube generator and investigate control methods for the X-ray generator. The small X-ray tube was developed for electronic brachytherapy, and thus, the new control method should be investigated, if the small X-ray tube is u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Xoft 사에서 개발된 근접치료 장치용 X-선 튜브를 영상용 장치에 적합하도록 제어 방식을 찾아보는 연구였다. 치료용일 경우에는 관전류가 즉각적으로 올라갈 필요도 없고 관전압과 필라멘트 전류를 올리는데 따른 시간 제약이 없다.
  • 본 연구에서는 X-선 튜브가 구강 내에 위치하는 치과용 강내형 X-선 튜브에 고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제어 장치를 개발하고, 방사선 영상 장치에 적합한 제어 방식을 연구함으로써 치과용 강내형 X-선 영상 장비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찾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치료용으로 제작된 X-선 튜브를 영상용에 적합하도록 고전압 제어 장치를 개발하고 그 제어 방식을 연구하였다. 관전류 제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영상용 X-선 튜브의 제어에서처럼 대기, 준비, 조사 모드의 제어 방식으로 최적화 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용 디지털 방사선 영상장비는 무엇이 있는가? 치과용 X-선 영상 장치도 디지털 영상 센서(sensor)의 개발로 필름을 대치하게 되어 여러 가지 다양한 영상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1-3) 파노라마(panoramic radiography), 세팔로마(cephalometry), 콘빔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등의 치과용 디지털 방사선 영상장비들이 디지털 센서의 개발로 발전되어 왔다. 전하결합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혹은 상보형금속산화반도체(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형태의 디지털 센서는 구강 내에 삽입될 수도 있고 구강 밖에 배치하여 X선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구강 내에 삽입되는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어떤 불편한이 있나? 전하결합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혹은 상보형금속산화반도체(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형태의 디지털 센서는 구강 내에 삽입될 수도 있고 구강 밖에 배치하여 X선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구강 내에 삽입되는 센서의 경우, 현재 그 크기가 작더라도 3×4 cm2 정도로서 대구치 촬영의 경우 목젖 부근까지 근접하기 때문에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X-선의 투과성으로 인해서 원치 않는 부위까지 조사되며 실제 촬영부위보다 더 큰 부위를 조사하게 되어 방사선 피폭선량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구강 내에 삽입되는 센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X-선 튜브 자체를 구강 내에 삽입하고 X-선 센서는 구강 외에 위치시켜서 영상을 촬영하는 강내형(intra-oral) X-선 튜브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4,5) X-선 튜브를 구강 내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초소형의 X-선 튜브가 필요한데, 미국 Xoft 사에서 개발한 Axxent X-선 튜브는 직경이 0.3 cm이고 최대 50 kV의 관전압(tube voltage)과 300 μA의 관전류(beam current) 를 발생시키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전계방출(field emission)방식의 전자 근접치료장치(elecronic brachytherapy)로서 상용화되어 임상에 활용되고 있다.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Wenzel A, Hintze H, Mikkelsen L et al: Radiographic detection of occlusal caries in noncavitated teeth: a comparison of conventional film radiographs, digitized film radiographs and radi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2(5):621-626 (1991) 

  2. Shearer AC, Homer K, Wilson NH: Radiovisiography for imaging root canals: an in vitro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radiography. Quint Int 21(10):789-794 (1990) 

  3. Furkart AJ, Dove SB, McDavid WD et al: Direct digital radiography for detection of periodontal bone lesio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4(5):652-660 (1992) 

  4. Cho SH, Kim DY, Baek KW: Introduction of Dental X-rayImaging with New Concept - intra Oral x-ray Tube. J Inst Electron Engineer Korea 47(SP3):70-80 (2010) 

  5. Cho SH, Kim SY, An SH: Feasibility study of insertable miniature x-ray source for dental imaging. J Korean Soc Radiol 6(1):39-45 (2012) 

  6. Dickler A: Xoft Axxent electronic brachytherapy: a new device for delivering brachytherapy to the breast. Nat Clin Pract Oncol 6(3):138-142 (2009) 

  7. Dickler A, Kirk MC, Sief N et al: A dosimetric comparison of MammoSite high-dose-rate brachytherapy and Xoft Axxent electronic brachytherapy. Brachytherapy 6(2):164-168 (2007) 

  8. Dickler A, Dowlatshahi K: Xoft Axxent electronic brachytherapy. Expert Rev Med Devices 6(1):27-3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