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 : The writer has come to see that a study of the Theory of Ministerial Fire of JuDanGae presupposes a study of earlier theories of fire. Therefore, I have analyzed and studied the theories of fire presented by medical doctors since "Nae Gyeong(黃帝內經)" Method : To begin with, I have studied ...
Objective : The writer has come to see that a study of the Theory of Ministerial Fire of JuDanGae presupposes a study of earlier theories of fire. Therefore, I have analyzed and studied the theories of fire presented by medical doctors since "Nae Gyeong(黃帝內經)" Method : To begin with, I have studied the concepts of grand fire(壯火) and small fire(少火), imperial fire(君火) and ministerial fire(相火) in "Nae Gyeong", and have construed the meaning of human fire(人火) and dragon fire(龍火) by Wang Bing(王冰), and fatty fire(膏火) by Sohn Sa-mak(孫思邈). Next, I have studied true fire(眞火) by Huh Sook-mi(許叔微) and true yang(眞陽) and pit fire(坎火) by Eom Yong-hwa(嚴用和), Theory on Right Kidney as the Gate of Life and Ministeiral Fire(右腎命門相火說) by Yu Wan-so(劉完素), and the reason why Jang Wan-so(張元素) asserted Theory of Three Burners as Ministerial Fire(三焦相火說). Result : I have understood the influence that the concepts of grand fire and small fire, imperial fire and ministerial fire in "Nae Gyeong"have exercised on the later medical doctors, and have also understood th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Fire that influences the human body. Moreover, I have seen that Fire, as discussed by scholars from Huh Sook-mi and Eom Yong-hwa to Yu Wan-so and Jang Wan-so,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 later development of Theory of the Gate of Life, getting its entire picture in Eum Hwa. Conclusion : Seeing that the theories of Fire presented by medical doctors since "Nae Gyeong" and prior to JuDan-Gae had great influence on the later development of Theory of the Gate of Life, I have come to understand that along with Eum Hwa by Lee Dong-wan, they must precede a study of the Theory of Ministerial Fire of JuDan-Gae.
Objective : The writer has come to see that a study of the Theory of Ministerial Fire of JuDanGae presupposes a study of earlier theories of fire. Therefore, I have analyzed and studied the theories of fire presented by medical doctors since "Nae Gyeong(黃帝內經)" Method : To begin with, I have studied the concepts of grand fire(壯火) and small fire(少火), imperial fire(君火) and ministerial fire(相火) in "Nae Gyeong", and have construed the meaning of human fire(人火) and dragon fire(龍火) by Wang Bing(王冰), and fatty fire(膏火) by Sohn Sa-mak(孫思邈). Next, I have studied true fire(眞火) by Huh Sook-mi(許叔微) and true yang(眞陽) and pit fire(坎火) by Eom Yong-hwa(嚴用和), Theory on Right Kidney as the Gate of Life and Ministeiral Fire(右腎命門相火說) by Yu Wan-so(劉完素), and the reason why Jang Wan-so(張元素) asserted Theory of Three Burners as Ministerial Fire(三焦相火說). Result : I have understood the influence that the concepts of grand fire and small fire, imperial fire and ministerial fire in "Nae Gyeong"have exercised on the later medical doctors, and have also understood th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Fire that influences the human body. Moreover, I have seen that Fire, as discussed by scholars from Huh Sook-mi and Eom Yong-hwa to Yu Wan-so and Jang Wan-so,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 later development of Theory of the Gate of Life, getting its entire picture in Eum Hwa. Conclusion : Seeing that the theories of Fire presented by medical doctors since "Nae Gyeong" and prior to JuDan-Gae had great influence on the later development of Theory of the Gate of Life, I have come to understand that along with Eum Hwa by Lee Dong-wan, they must precede a study of the Theory of Ministerial Fire of JuDan-Ga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특히 李東垣의 陰火는 그의 설명이 간략하고 서로 모순되는 표현까지 있어 이의 해석에 대해서 많은 論爭과 討論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필자는 이에 대한 연구가들의 주장을 종합하였고 저자의 주장도 함께 기술 하였다. 비록 朱丹溪의 相火論을 이해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연구를 시작 하였지만 역대 火의 이론에 대한 변천사를 일별하여 볼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발전한 明淸시대 命門相火學說에 대한 이론적 근원도 살펴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火는 본래 五行의 하나로 火行을 의미하며 또한 물질이 燃燒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경우에 따라서는 陽氣를 나타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인체의 生理와 病理에 관련된 내용과 자연계에서 작용하는 불의 기운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內經』에서 一身에 작용하는 火에 관하여 언급된 내용은 「素問ㆍ陰陽應象大論」에 처음 보인다.
이에 근거하여 醫家들은 경험을 통하여 一身에도 생명, 육체활동을 유지 시켜주는 生理적인 少火가 있고, 勞役과 精神사유 등으로 말미암아 상대적으로 亢盛하게 작용하는 病理적인 壯火가 있다고 認識하기 시작하였으며 君火, 相火를 가지고 인체의 生理와 病理를 설명하기 시작하였다. 이어서 醫家들이 內經에 바탕을 두고서 火에 관하여 어떻게 論하였는지 구체적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제안 방법
먼저 『內經』에 나타난 壯火, 少火, 君火, 相火와 이후 醫家로써 王冰의 ‘人火, 龍火’, 孫思邈의 ‘膏火’, 許叔微, 嚴用和의 ‘眞火’, 劉完素의 ‘右腎命門相火’, 張元素의 ‘三焦相火’, 그리고 마지막으로 李東垣의 ‘陰火’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성능/효과
첫째 그가 腎을 땔나무와 같고 脾는 솥과 같아서 腎火가 능히 脾土를 生한다는 이론은 과거 心火가 生土하여 消化를 시킨다는 이론을 腎火生脾土한다는 이론으로 확대시켜 발전시킨 것이다.
셋째 脾가 穀氣를 生하여 穀氣가 완전해지면 다시 精氣를 생하고 精氣가 충실해지면 腎臟이 튼튼해진다는 즉, 後天之精이 先天之精을 끊임없이 培育, 充養한다는 이론의 뿌리가 된다.
3. 孫思邈은 膏火를 제기하여 精이 氣를 化生하고 情欲을 발동시키는 근원이 됨을 제시하면서 精을 잘 갈무리 하는 것이 攝生을 잘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 膏火는 후세 의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病因에 있어서 주단계의 “陰虛則病, 陰絶則死”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
4. 許叔微의 眞火는 과거 心火가 生土 하여 消化를 시킨다는 이론을 腎火生脾土 한다는 이론으로 확대시켜 발전시켰다. 이는 先天之精이 後天之精을 培育, 充養한다는 이론의 뿌리가 되고 후세에 脾陽은 根於腎陽 한다는 이론과 腎과 命門學說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5. 嚴用和는 許叔微와 마찬가지로 眞火가 溫脾土한다는 이론을 주장하면서 이 眞火를 眞陽, 坎火라고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였고, 病因으로 房勞過度하여 腎虛함으로써 나타나는 임상 증상들을 나열하면서 許叔微의 眞火論을 더욱 구체화 시켰다고 볼 수 있다.
「各家學說」에서는 陰火에 대해 10가지로 정의하고 있고, 최근 중국학자 劉放民, 張星平, 岳姸, 朱文浩, 田雨河등은 陰火의 病理機轉을 통하여 자신들의 견해를 주장하였다. 이에 필자가 陰火에 대한 諸家들의 견해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生理적인 火는 陽火이고 陰火는 病理적인 상태를 나타내며 廣義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陰的인 火’라고 봐야한다고 생각한다.
후속연구
이에 필자는 이에 대한 연구가들의 주장을 종합하였고 저자의 주장도 함께 기술 하였다. 비록 朱丹溪의 相火論을 이해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연구를 시작 하였지만 역대 火의 이론에 대한 변천사를 일별하여 볼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발전한 明淸시대 命門相火學說에 대한 이론적 근원도 살펴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朱丹溪는 어떤 인물인가?
朱丹溪는 金元四大家의 마지막 인물로 그 이전 劉完素, 李東垣, 張子和의 學說을 종합하여 臨床에 활용 하였을 뿐만 아니라 相火論, 陽有餘陰不足論등의 論說을 발표하여 「內經」 이후 의학이론을 정리한 대표적 인물이다. 火는 「內經」에서 五行의 하나로 火行에 속하고, 또 물질이 燃燒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陽氣, 溫熱한 약물의 성질, 열, 그리고 運氣에 있어서 火運之氣 少陰君火, 少陽相火등의 다양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1).
硏究가 선행되지 않고서는 그 전모를 이해할 수 없다고 판단한 이유는 무엇인가?
저자는 朱丹溪의 相火論을 연구하면서 이전까지의 火에 대한 이론에 대한 硏究가 선행되지 않고서는 그 전모를 이해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왜냐하면 朱丹溪의 相火論은 이전 醫家들 특히 金元시대 醫家들의 火에 대한 이론을 집대성한 인물로, 후세 의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필자는 朱丹溪의 相火論에 대한 논문을 내기에 앞서 이전까지 火에 대한 연구를 선행하게 되었다.
火는 어떤 의미로 쓰이고 있는가?
朱丹溪는 金元四大家의 마지막 인물로 그 이전 劉完素, 李東垣, 張子和의 學說을 종합하여 臨床에 활용 하였을 뿐만 아니라 相火論, 陽有餘陰不足論등의 論說을 발표하여 「內經」 이후 의학이론을 정리한 대표적 인물이다. 火는 「內經」에서 五行의 하나로 火行에 속하고, 또 물질이 燃燒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陽氣, 溫熱한 약물의 성질, 열, 그리고 運氣에 있어서 火運之氣 少陰君火, 少陽相火등의 다양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1). 후대로 내려오면서 火는 인체의 生理와 病理病機를 설명하는 용어로서 「內經」에서 나온 ‘壯火, 少火’, ‘君火, 相火’의 이론을 계숭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용어와 이론이 출현하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