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 chemical oxygen demand($COD_{sed}$) in freshwater sediments has been measured by the potassium permanganate method used for marine sediment because of the absence of authorized analytical method. However, this method has not been fully verified for the freshwater sedimen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석방법(Plumb, 1981)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하천 및 호소 퇴적물에 대하여, 기존의 과망간산칼륨법 및 중크롬산칼륨법을 수정한 CODsed 분석 방법을 정립하고, 이들을 이용한 측정치의 정확성, 신뢰성 및 회수율(recovery) 분석을 통하여, 두가지 분석방법의 적합성 여부를 제시하며, 국내 주요 하천 및 호소의 퇴적물에 대한 CODsed 분석을 수행하여 국내 하천 퇴적물 관리기준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담수퇴적물의 CODsed를 CODMn법과 CODCr 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방법간의 상관관계와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설 설정

  • 모래(20~30 mesh(535~864 μm))와 점토(20~25 μm)를 대상으로 CODMn법은 농도 100,000 ppm, CODCr 법은 농도 10,000 ppm의 glucose를 각각 주입하였으며, 실 퇴적물 내에는 CODMn법과 CODCr 법 모두 농도 100,000 ppm의 glucose를 주입하여 시험하였다. 매질의 CODsed는 단일시료로 분석할 때와 동일하게 산화된다고 가정하여 주입되는 glucose의 농도를 바탕으로 회수율을 계산하였다. 실퇴적물은 적정범위 검증에 이용된 호소/하천 퇴적물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크롬산칼륨법의 문제점은? CODsed 측정은 국내와 일본(Hosokawa와 Miyoshi, 1981)의 경우 과망간산칼륨법이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윤, 2000; 국토해양부, 2010), 대부분 해외 국가의 경우 중크롬산칼륨법을 이용하고 있다. 과망간산칼륨법은 적용범위가 넓어서 안정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산화력이 낮아서 전체 유기물질 농도를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김, 2007), 중크롬산칼륨법은 산화력이 강하나 유기물 이외의 철이나 염소이온 등의 방해인자를 제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Plumb, 1981). 특히, 퇴적물은 다양한 유기물질과 중금속 및 각종 염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CODsed 분석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과망간산칼륨법의 장단점은? CODsed 측정은 국내와 일본(Hosokawa와 Miyoshi, 1981)의 경우 과망간산칼륨법이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윤, 2000; 국토해양부, 2010), 대부분 해외 국가의 경우 중크롬산칼륨법을 이용하고 있다. 과망간산칼륨법은 적용범위가 넓어서 안정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산화력이 낮아서 전체 유기물질 농도를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김, 2007), 중크롬산칼륨법은 산화력이 강하나 유기물 이외의 철이나 염소이온 등의 방해인자를 제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Plumb, 1981). 특히, 퇴적물은 다양한 유기물질과 중금속 및 각종 염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CODsed 분석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퇴적물내 유기물질은 무엇에 좌우되는가? 퇴적물내 유기물질은 침식(erosion), 분해(deposition), 확산(diffusion), 생물교란(bioturbation) 및 지하수 흐름 등에 의해 수질에 일정부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Ewald 등, 1997; Lick, 2006). 이는 퇴적물과 끊임없이 물질교환이 이루어지는 하천 및 호소수계의 환경조건(pH, 산화환원전위(ORP) 등)에 좌우된다(이 등, 2009). 퇴적물내 유기물질의 거동에 의한 하천/호소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퇴적물 산소요구량(Sediment oxygen demand, SOD)(Miskewitz 등, 2010), 완전연소 가능량(Loss on ignition, LOI)(Heiri 등, 2001),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Niemirycz 등, 2006; Schumacher, 2002) 등에 의해 평가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Ewald, G., Berglund, O., Svensson, J. M., 1997, Effect of oligochaete bioturbation on sediment accumulation of 2,2',4,4'-tetrachlorobiphenyl, Ecotoxicol. Environ. Safety, 36, 66-71. 

  2. Fishman, M. J., Friedman, L. C., 1989, Techniques of Water-Resources Investigation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Chapter A1: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Inorganic Substances in Water and Fluvial Sediments, TWRI 5-A1, USGS, Reston, USA. 

  3. Heiri, O., Lotter, A. F., Lemcke, G., 2001, Loss on ignition as a method for estimating organic and carbonate content in sediments: reproducibility and comparability of results, J. Paleolimnol., 25, 101-110. 

  4. Hosokawa, Y., Miyoshi, E., 1981, Analytical technic and measurement of sediment COD, PARI Technical note 0368, Marin hydrodynamics Division Environment Puriffication Laboratory, Japan. 

  5. Kim, D. H., 2007, Study on the sediment quality in bottom water (I),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18, 98-102. 

  6. Kim, J. G., Cho, E. I., 1999, The determining factors and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emical oxygen demand in Jinhae bay, J. Environ. Sci., 8, 189-195. 

  7. Lee, J., Kim, S., Song, J., Lee, T., 2009, Evaluation of organic sediments qualities for the urban streams in the Busan city, J. Korean Soc. Environ. Eng., 31, 975-982. 

  8. Lick, W., 2006, The sediment-water flux of HOCs due to "diffusion" or is there a well-mixed layer? If there is, does it matter?, Environ. Sci. Technol., 40, 5610-5617. 

  9. Lim, C. H., 2011, Estimation of BOD from the measurements of TOC and ammonia,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ju, Korea. 

  10.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0, Marine Environment Process Experiment Standard, Sejong, Korea. 

  11. Miskewitz, R. J., Francisco, K. L., Uchrin, C. G., 2010, Comparison of a novel profile method to standard chamber methods for measurement of sediment oxygen demand, J. Environ. Sci. Health A, 45, 795-802. 

  12. Niemirycz, E., Gozdek, J., Koszka-Maron, D., 2006, Variability of organic carbon in water and sediments of the Odra river and its tributaries, Polish J. Environ. Stud., 15, 557-563. 

  13. Park, S. K., Shin C. K., Ryu, J. K., 1997,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D results and experimental methods, Korean J. Sanitation, 12, 19-29. 

  14. Park, S., Yi, Y. M., Yoon, H. S., Sung, K., 2012, Retention properties of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in wetland soils and coastal sediments, Korean Wetlands Soc., 14(2), 265-275. 

  15. Plumb, R. H., 1981, Procedures for handling and chemical analysis of sediment and water samples.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Corps of Engineers Technical Committe on Criteria for Dredged and Fill Material,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NTIS), Buffalo, New York, USA. 

  16. Schumacher, B. A., 2002,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total organic carbon(TOC) in soils and sediments. Ecological Risk Assessment Support Center.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17. US EPA, 2001, Methods for Collection, Storage and Manipulation of Sediments for Chemical and Toxicological Analyses: Technical Manual, US EPA 823/B-01-002, http://water.epa.gov/polwaste/sediments/cs/upload/collectionmanual.pdf 

  18. Yoon, B., Kim, E., Kim, H., Lee, J., Jung, S., Lee, S., 2006, Comparison of the methods to analyze freshwater sediments, J. Korean Soc. Environ. Eng., 28, 1207-12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