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 부족량 공급 운영 방식에 의한 다목적댐 물 공급의 안정성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Supply for a Multi-purpose Dam by Deficit-Supply Oper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2, 2014년, pp.195 - 206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문장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최시중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물 부족량 공급 운영 방식(deficit-supply)에 의해 다목적댐을 모의 운영하고 그 결과 얻어진 저수량을 기반으로 댐별 물공급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16개 다목적댐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댐별 물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소양강댐, 충주댐, 횡성댐, 안동댐, 임하댐 및 합천댐의 안정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진강댐과 부안댐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부안댐은 신뢰도, 회복도, 취약도에 있어 가장 낮은 수준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물 공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water supply for a multi-purpose dam based on deficitsupply method and reservoir storage is presented. The method is applied to 16 multi-purpose dams and water supply performance is evaluated. As a result, 6 dams (Soyanggang, Chungju, Hoengseong,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통합 물 수급 네트워크에서 다목적댐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댐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운영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물 공급 안정성에 대한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MLTM, 2011)의 물 수급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deficit-supply 방식 및 유효 저수율을 고려한 댐 연계 운영을 통해 16개 다목적댐에 대한 유역별 연계 모의 운영을 수행하였다. 모의 운영 결과를 통해 확보된 댐 저수량을 이용하여 신뢰도(reliability), 회복도(resiliency), 취약도(vulnerability)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였으며, 16개 다목적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 이때 deficit-supply 방식이 이상적인 운영 방식이라는 점은 댐 저수지로의 미래 유입 상황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 하류 물 부족에 대한 공급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운영 방식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유역별 통합 물 수급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deficitsupply 방식의 다목적댐 모의 운영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운영 중에 있는 다목적댐의 물 공급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댐별 물 공급 안정성 평가를 위해 모의 운영을 통해 얻어진 저수지 저수량을 이용하였으며, 저수량을 통해 다목적댐의 물 공급 안정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deficit-supply 방식 및 유역의 물 수급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목적댐을 모의 운영하기 위한 운영 규칙을 설정하였다. 모의가 시작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1966년 10월 첫 번째 반순의 댐별 초기 저수량은 상시만 수위에 해당하는 저수량으로 설정하였으며, 홍수기 제한 수위가 설정되어 있는 댐에 대해서는 매년 6월 21일부터 9월 20일(6월 다섯 번째 반순~9월 네 번째 반순)까지의 기간에 대해 홍수기 제한수위를 고려하였다.
  • 두 번째 지표 (Res2)는 연 단위로 저수지 운영 상황을 고려할 때 41개년 중 9월말 저수량이 가장 낮았던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저수량이 상시만수위 대비 저수용량의 몇 %에 해당하는 가를 산정하였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이용하고 있는 회복도 개념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댐 운영 방식을 고려하여 댐별로 저수량의 회복 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고려하였다. 두 가지 지표(Res1과 Res2) 에 대한 산정 관계식은 Eqs.
  • (2012)은 수자원 시스템에 대한 이수안전도 평가는 단일 기준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신뢰도 (reliability), 회복도(resiliency) 및 취약도(vulnerability) 등 여러 가지 지표를 함께 고려하는 다기준 평가 방법이 타당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물 수급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모의 운영된 다목적댐의 저수량을 이용하여 댐의 물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지표는 각각의 지표가 갖는 의미를 고려하여 신뢰도(reliability), 회복도 (resiliency) 및 취약도(vulnerability)로 구분하였으며, 설정된 지표에 대한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수적인 측면에서 댐이나 저수지를 운영하는 방법을 두가지로 분류하면? 이수적인 측면에서 댐이나 저수지를 운영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물 부족량 공급 운영 방식을 의미하는 deficit-supply 방식이며, 나머지 하나는 firm-supply 또는 prime-flow 방식의 댐 운영이다. deficit-supply 방식의 댐 운영은 댐 하류 유역에서 필요로 하는 물 수요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운영 방법으로 하천의 자연유량으로는 물 수요를 공급할 수 없을 경우 발생하는 물 부족량만큼을 댐에서 추가 방류하여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댐별로 설정되어 있는 단위 기간별 계획공급량을 고려하지 않으며, 댐에서 공급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한 지속적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류의 물 부족을 고려하여 댐에서 공급할 수 있는 물을 최대한 방류하는 방식이므로 현실적으로 적용에 한계가 있는 이상적인 형태의 댐 운영 방식이라 할 수 있다. firm-supply 방식의 댐 운영은 댐 하류에서의 물 수요 또는 물 부족 여부에 대한 고려 없이 해당 댐에 설정되어 있는 계획공급량만을 하류로 방류하는 방식의 댐 운영 방법이다. 댐에 설정된 계획공급량을 만족하는 것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게 되며, 저수량이 상시만수위 이상으로 증가하여 여수로를 통해 월류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계획 공급량이 만족되었을 경우 하류로의 추가 방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Fig.
우리나라 강수량의 특징은? 우리나라는 연강수량의 약 70% 이상이 여름철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특성이 있으며, 이용 가능한 수자원의 지역별 편차 또한 크게 나타나는 등 시․공간적인 물 관리여건이 매우 불리한 상황에 놓여있다. 수자원의 공간적인 편중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역상수도를 통한 물 공급을 수행하고 있으며, 다목적댐 등 저류시설을 통해 홍수기 물을 저류하여 나머지 기간 동안 공급할 수 있도록 통합 수자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공간적인 편중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수자원의 공간적인 편중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는 연강수량의 약 70% 이상이 여름철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특성이 있으며, 이용 가능한 수자원의 지역별 편차 또한 크게 나타나는 등 시․공간적인 물 관리여건이 매우 불리한 상황에 놓여있다. 수자원의 공간적인 편중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역상수도를 통한 물 공급을 수행하고 있으며, 다목적댐 등 저류시설을 통해 홍수기 물을 저류하여 나머지 기간 동안 공급할 수 있도록 통합 수자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공간적인 편중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a, H.S., Lee, G.M., and Jung, K.S. (2011). "Assessing appropriateness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water resources planning."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WRA, Daegu, pp. 108-115. 

  2. Chae, S., Kim, J., and Kim, S.K. (2012). "A study on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with coordinated weirs and multi-reservoir operating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8, pp. 839-851. 

  3. Dandy, G.C., Connarty, M.C., and Loucks, D.P. (1997). "Comparison of methods for yield assessment of multiple reservoir systems." Journal of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3, No. 6, pp. 350-358. 

  4. Hashimoto, T., Stedinger, J.R., and Loucks, D.P. (1982).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s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1, pp. 14-20. 

  5. Hsu, S. K. (1995). "Shortage indices for water-resources planning in Taiwan."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1, No. 2, pp. 119-131. 

  6. Kang, M.G., and Park, S.W. (2005). "Assessment of additional water supply capacity using a reservoir optimal operation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8, No. 11, pp. 937-946. 

  7. KICT(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7). Korea 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Linked QUAL2K Manual. 

  8. K-water. (2011). Practical Manual of Dam Operation. 

  9. Labadie, J.W. (2004). "Optimal operation of multireservoir systems: state-of-the-art review." Journal of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0, No. 2, pp. 93-111. 

  10. Lee, D.H., Choi, C.W., Yu, M.S., and Yi, J.E. (2012). "Reevaluation of multi-purpose reservoir yiel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4, pp. 361-371. 

  11. Lee, D.R., Moon, J.W., Lee, D.H., and Ahn, J.H. (2006). "Develop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dex to monitor droughts in a reservoi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9, No. 3, pp. 199-214. 

  12. Lee, G.M., and Lee, Y. (2012). "Analysis of problems on application of water yield appraisal indicators."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WRA, Taebaek, pp. 222-226. 

  13. Lee, G.M., and Yi, J. (2012). "Analysis of emergency water supply effects of multipurpose dams using water shortage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11, pp. 1143-1156. 

  14. Lee, S.H., and Kang, T.U. (2006). "An evaluation method of water supply reliability for a dam by firm yield analysis." Journal of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9, No. 5, pp. 467-478. 

  15. MLTM. (2011).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2011-2020). 

  16. Moy, W.S., Cohon, J.L., and Revelle, C.S. (1986). "A programming model for analysis of the reliabilit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of a water supply reservoi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2, No. 4, pp. 489-498. 

  17. Noh, J. (1998). "A criterion for evaluating capacity of multi-purpose reservoir."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WRA, Muju, pp. 245-250. 

  18. Park, S.S., Lee, D.R., Kim, H.J., and Shin, Y.H. (2001).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bility on multipurpose dam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WRA, Daegu, pp. 533-538. 

  19. Yi, J.E., and Kwon, D.S. (2007). "Effects on conservation and flood control systems according to normal water level change from daechung multi-purpose reservoir." Journal ofKorea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0, No. 1, pp. 1-10. 

  20. Yi, J.E., Lee, G.M., and Cha, K.U. (2012). "Idea on the improvement of water yield evaluation methodology."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12, pp. 51-57. 

  21. Yi, J.E., and Song, J.W. (2002).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for multi-purpose dam using optimization and simulation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2, No. 6-B, pp. 811-8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