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축척 수치지도 기반의 정밀 공간정보 활용방안
Utilization of High-precision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Large-scale Digital Map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2 no.1, 2014년, pp.49 - 54  

박홍기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  박현미 (Department of GIS Engineering, Namseoul University) ,  박진이 (Department of GIS Engineering, Namseoul University) ,  김의명 (Department of GIS Engineering, Namseou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5,000 수치지도는 국토관리, 지자체의 도시정보 체계, 민간분야의 내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업무에 활용이 되는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1/5,000 수치지도는 전국을 대상으로 구축되어 기본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1/,000 수치지도에 비해 도시지역에서 활용하기에는 위치정확도 및 속성정보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공간정보 서비스의 패러다임이 변화되면서 행정업무와 민간 지도 서비스 분야에서는 좀 더 정확한 위치정보와 풍부한 속성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에서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도시시설물의 관리와 다양한 공간분석적인 측면에서 대축척 수치지도 기반의 정밀 공간정보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1,000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정밀 공간정보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축척 수치지도 관련 법제도와 공간정보 관련 법제도를 분석하고 1/1,000 수치지도를 제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공부문의 행정업무와 민간분야에서 기존 공간정보 활용사례를 분석하고 정밀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igital map of 1/5,000 scale provides basic information to be utilized in various businesses, such as in land management, urban information system of a local government, navigation of private sectors and others. 1/5,000 digital map, which contains information of the entire land of South Korea, 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1,000 대축척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기존의 공간정보가 아닌 대축척의 정밀 공간정보를 적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섯 가지 분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타 산업분야에서 대축척 수치지도 기반의 정밀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공간정보 관련 법령 중에서 축척 1/1,000 이하인 지도를 활용하는 법제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치지도의 축척 측면에서 수치지도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수치지도의 축척 측면에서 살펴보면 전국을 대상으로 구축된 1/5,000 수치지도는 다양한 도시계획 업무와 전반적인 기초계획의 수립에서 활용되었으나 도시시설물의 유지관리와 다양한 공간분석적인 측면에서는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1/1,000 수치지도가 활용되고 있다.
수치지도는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 수치지도는 국토관리, 지자체의 도시정보체계(UIS : Urban Information System), 민간분야의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업무에 활용이 되는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정보서비스의 패러다임이 변화되면서 행정업무와 민간 지도 서비스 분야 등에서는 좀 더 정확한 위치정보와 풍부한 속성정보를 원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에서 수치지도의 연구동향은 각각 어떠한가?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국외 미국 지질조사국 (USGS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의 National Map 은 수치표고자료, 고해상도 수치정상영상 자료에 대한 연속성과 다양한 DB를 제공하고 있으며, 영국 OS(Ordnance Survey)의 Master Map는 실제 세계의 2D기반의 래스터 및 벡터형식의 데이터기반 통합지도를 제공하는 등 외국에서는 고정밀 이종 데이터간의 통합서비스를 통한 활용극대화를 추구하고 있다(Lee et al., 2008;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im, E. H. (2010), Direction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Sharing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Vol. 347, pp. 22-3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KRIHS (2011), Study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tandardization.(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Lee, H. J., Yu, Y, G., Ru, J, H. (2008), A Case Study on Production of Next Generation Digital Map,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pp. 335-34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MOLIT (2011),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NGII, 2012, Study of Advancement of the National Base Map.(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OS Master Map, http://ordnancesurvey.co.uk 

  7. Park, J. H., Heo, M., Lee, Y, W., Bae, K, H. (2009),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and Property of Foreign Digital Map, Journal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3, pp. 87-8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USGS National Map, http://nationalmap.gov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