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거주노인 잔존기능관리: 개념개발연구
Nurses' Management of Nursing Home Residents' Remaining Functional Ability: Concept Development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1, 2014년, pp.57 - 68  

임선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수원여자대학교 간호과) ,  장성옥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김수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백석문화대학교 간호과) ,  김현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최정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박민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Nurses' management of Nursing Home residents' remaining functional ability is phenomena emphasizing as the main practice focus in long term care and has specific meanings within the context of quality of life for fragile and disabled elderly people in nursing homes. This study was condu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관점에서 거주 노인의 남아 있는 기능을 유지ㆍ증진하는데 활용되는 실무지식을 확인하고자 Schwart-Barcott와 Kim (1993)의 개념 개발 방법인 혼종모형(Hybrid model)을 적용하여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거주노인 잔존기능관리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거주노인 잔존기능관리의 차원은 간호실무적 관점에서 숙고와 수행의 접근으로 구성되었고, 속성은 간호학적 관점의 기능관리의 특성을 확인하여 제시하였으며, 유형은 간호사가 관리하여야 할 거주노인의 기능적 특성과 강조 초점을 현장에서 확인하여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간호를 위한 실증적 연구에 선행하는 서술적 연구로 개념분석과정을 거쳐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거주노인 잔존관리의 개념적 정의 및 개념적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혼종모형(Hybrid model)을 이용한 개념개발 연구이다. 혼종모형을 이용한 개념개발방법은 추상성이 높고 현장 적용에 모호함을 보이는 개념의 개발을 위해서 이론적 분석 작업과 더불어 현장작업 단계에서의 분석 작업을 병행함으로 간호학적 관점에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개념을 개발하는 방법이다(Schwartz-Barcott & Kim, 1993).
  • Brandburg, Symes, Mastel-Smith, Hersch와 Walsh (2013)은 거주노인은 모두 개별적 특성을 가지고 다양한 요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개개인의 강점을 파악하고 능력을 인식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으며, Oh (2000)는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신체적, 인지적 기능에 따라 구분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바탕을 기초로 거주노인의 분류를 시도하였고, 현장단계에서 간호사 입장에서 잔존기능관리의 범주가 이루어지고 이에 더하여 잔존기능관리라는 현상이 병합되어, 거주노인의 잔존기능관리의 구분과 특성이 제시되었다. 이는 추후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잔존기능관리의 실무적 과정과 평가의 특성을 제시한다는 면에서 거주노인의 간호중재 평가뿐만 아니라 실무 과정에 대한 평가 역시 확인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낸 점은 중요한 연구 성과로 사료된다.

가설 설정

  • 숙고적 차원의 속성은 (1) 신체적 기능, 정서적 기능, 인지사회적 기능을 사정의 중심축으로 대상자를 구분한다., (2) 변화할 수 있는 것과 변화할 수 없는 것을 구분한다., 그리고 (3) 사정의 초점은 손상된 기능, 중재의 초점은 남아있는 기능, 평가의 초점은 간호사의 자원 즉 기술과 시설의 자원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남아있는 기능의 변화가 된다.
  • 부분적 신체보조와 치매로 인한 간병보조가 필요한 거주노인을 위한 잔존기능관리는 배뇨/배변 관리 및 관절운동 및 활동기능강화를 포함한 신체기능강화와 잔존 인지기능유지를 위한 접근이 주요 특성이 된다.
  • 임종이 가까운 상태의 거주노인의 잔존기능관리는 평화로운 임종을 위한 고통을 줄이는 호스피스 간호와 가족간호가 주요 초점이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대상이 확대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그 범주가 점차 확산되어, 허약노인으로 구분될 수 있는 노인이 입소하게 됨에 따라 노인요양시설평가에는 허약한 노인을 다시 회복시키는 부분이 강조되었고, 요양시설 간호사의 거주노인 잔존기능관리 역량이 관련되게 되었다. 이는 대부분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거주노인의 더 심한 퇴행을 막고, 잔존기능을 유지시켜 남은 여생을 안락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하여 삶의 질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Tu, Wang, & Yeh, 2006).
장애노인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우리나라는 어떠한 제도를 시작하였는가? 허약노인은 상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어 있거나 전반적인 건강수준이 위험에 빠질 수 있는 상태에 있는 자이고, 반면에 장애노인은 이미 기능의 하락으로 정상적인 일상생활동작을 위하여 제3자로부터 실질적인 도움이 필요로 할 수 있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 그 중 장애노인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우리나라는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를 시작하였고, 건강상태와 의존성에 따라 노인을 1, 2, 3등급으로 분류하여, 1, 2 등급은 노인요양시설에서 보험혜택을 받으며 관리 받을 수 있게 되었다(Seonwoo & Oh, 2008).
허약노인이란 무엇인가? OECD 보고서는 허약(frail) 노인과 장애(disabled) 노인의 개념을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허약노인은 상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어 있거나 전반적인 건강수준이 위험에 빠질 수 있는 상태에 있는 자이고, 반면에 장애노인은 이미 기능의 하락으로 정상적인 일상생활동작을 위하여 제3자로부터 실질적인 도움이 필요로 할 수 있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 그 중 장애노인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우리나라는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를 시작하였고, 건강상태와 의존성에 따라 노인을 1, 2, 3등급으로 분류하여, 1, 2 등급은 노인요양시설에서 보험혜택을 받으며 관리 받을 수 있게 되었다(Seonwoo & Oh,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i, M., Gameel, W., & Ayoub, N. S. (2010). Nurse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dying patient in mansoura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Medicine and Biomedical Sciences, 1, 16-23. 

  2. Beck, A. M., Damkjaer, K., & Sørbye, L. W. (2010). Physical and social functional abilities seem to be maintained by a multifaceted randomized controlled nutritional intervention among old (>65 years) Danish nursing home residen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0, 351-355. 

  3. Brandburg G. L., Symes L., Mastel-Smith B., Hersch G. & Walsh T. (2013). Resident strategies for making a life in a nursing home: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9, 862-874. http://doi: 10.1111/j.1365-2648.2012.06075.x 

  4. Chao, S., Lan, Y., Tso, H., Chung, C., Neim, Y., & Jo Clark, M. (2008). Predictors of psychosocial adaptation among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settings. Journal of Nursing Research (Taiwan Nurses Association), 16, 149-158. 

  5. Chung, J. (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ursing service quality indicator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401-413. 

  6. Eun, Y., Ko, S. H., Kim, M. J., Kim, J. S. Park, M. H., Park, O. J., et al. (2007). General Geriatric Nursing. Seoul: Hyunmoonsa. 

  7. Jeon, E. Y., & Suh, B. D. (2004).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6, 38-46. 

  8. Kim, H. S. (2010). The nature of theoretical thinking in nursing (3rd. edition.).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9. Kim, J. A. (2012). Study on exploring strategies on management the residents residual functions in nursing home: SWOT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0. Kim, S. J. (2012). The study on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the senior citizens-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hose living urban area and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Seosan. 

  11. Ko, Y. M., Kim, J. Y., Park, J. E., Park, J. W., Paek, S. H., Lee, K. J., et al. (2006). Eldery care. Seoul: Jungdammedia. 

  12.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2009). The dictionary of special education. Seoul: Hawoo. 

  13. Korean Association of Geriatric Hospitals. (2010). Geriatric Medical treatment Guideline : Geriatric hospitals practice guideline. Seoul: Innosolution. 

  14. Kwon, S. M., & Park, J. S. (2009).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frail and non-frail elderly in a local community. Nursing Science: Keimyung University, 13(1), 73-83.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Standard textbook for care worker. Seoul: Deulsaem.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Health care guidelines for the elderly long term care facility. Retrieved December 5, 2013, from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site/nydev/B0020/ 

  17. Moore, B. S., Newsome, J. A., Payne, P. L., & Tiansawad, S. (1993). Nursing research: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health in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9(11), 7-14. 

  18. Naver Dictionary. (2013). Retrieved December, 5, 2013, from http://krdic.naver.com/search.nhn?dic_wherekrdic&query%EC%9E%94%EC%A1%B4%EA%B8%B0%EB%8A%A5%EA%B4%80%EB%A6%AC 

  19. Oh, E. J.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eutic quality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behaviors of elderly person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setting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 Oh, Y. H., Seok, J. E., Kwon, J. D., Kim, J. S., Park, Y. R., & Im, J. K. (2005). Old person's quality of life a.nd policy implication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1. Park, H. T., Kim, Y. A., & Hwang, H. Y. (2006)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ursing interventions perceived by nurs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 189-195. 

  22. Schwartz-Barcott, D., & Kim, H. S. (2000).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Rodgers, B. L., & Knafl, K. A. (Ed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i. (pp.161-192). Philadelphia: Saunders. 

  23. Seignourel, P. J., Kunik, M. E., Snow, L., Wilson, N., & Stanley, M. (2008). Anxiety in dementia: A crit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Feb, 2008, http://DOI:10.1016. 

  24. Seonwoo, D., & Oh, J. S. (2008). A study of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health and social service system model to maintain independe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older people in rural a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5. Shanas, E., & Maddox, G. L. (1976). Aging Health and the Organization of Health Resources, in Robert Binstock and Ethel Shanas (eds.),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d Co. 

  26. Sul, M. S. (2008). A study of the healthy behavior analysis and healthy-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for elderly peopl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7, 269-281. 

  27. Sung, J. S., & Park, J. S. (2005).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7, 71-78. 

  28. Tak, E. Y. (2012). An analysis on nurses' education needs to manage nursing home residents' residual fun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9. Yang, H. J. (2012). The influence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the healthy lifestyle knowledge of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30. Tu, Y. C., Wang, R. H., & Yeh, S. H. (2006).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mpowerment care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residents within nursing homes in Taiwan: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 673-6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