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복사열이 재실자의 피난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 of the Radiative Heat Flux on the Evacuation of Agent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8 no.1, 2014년, pp.31 - 36  

배승용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  김정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센터) ,  신현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센터) ,  유홍선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건축물의 화재 및 피난안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능위주설계가 법제화됨에 따라 다양한 피난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난해석 프로그램의 경우, 연기농도에 따른 이동속도변화 및 유독가스에 의한 독성효과를 적용함으로써 화재 시 재실자의 피난특성 분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화재에 대한 임의의 설정을 하지 않는 경우 화재주변에서 피난을 하지 않거나 화재 위로 이동을 하는 등의 비현실적인 결과를 예측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화재로부터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피난자가 화재를 피해 이동할 수 있도록 복사열 반발력을 정의하였다. 또한 복사열 반발력을 고려할 수 있도록 Helbing의 이동모델을 개선함으로써 기존 이동모델과 비교하였다. 수치해석결과 모든 피난자가 복사열 반발력에 의해 화재를 우회하여 이동하고, 한계 복사열유동의 최대값인 $2.4kW/m^2$에 도달하지 않는 것을 통해 개선모델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safety assessments with using the various evacuation programs are performe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fire and evacuation safety in the building. Generally, the evacuation programs can simulate the human behavior in fire situation by applying the variation of the movement spe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피난 대상자가 화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음으로써 화원을 우회하여 피난경로를 변경도록 만들어 주는 힘인 복사열 반발력을 정의하였다. 또한 정의한 복사열 반발력을 이용하여 Helbing의 이동모델을 개선하였으며, 임의의 복도 내 화재발생 시 피난 대상자들의 거동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이동모델 및 해석방법(장애물 설정)과 비교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해석 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화재성장은 고려하지 않았다. 성인으로 구성된 200명의 피난 대상자를 좌측 끝에 위치시켰으며, 복도의 중앙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화재를 즉각 감지하고 우측 출구를 향해 피난을 개시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화재로부터 발생하는 복사열과 피난 대상자 사이에 복사열 반발력이 작용한다고 가정하였다. 복사열 반발력의 방향은 피난 대상자 위치에서의 복사열유동(Radiative heat flux) 구배를 이용하여 정의하였다.
  • 8 m의 임의의 복도로 설정하였다. 화재는 소형 소파에서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여 크기를 1.0 MW로 설정하였으며, 복사열 반발력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기발생이 없다고 가정함으로써 피난대상자의 이동속도 변화,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효과는 무시하였다. 또한 해석 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화재성장은 고려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 H. Ahn, "A Study on Establishment of Safety Culture Against Disaster",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Hanyang University (2007). 

  2. S. Bae, K. C. Ro and H. S. Ryou,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Fire Growth on the Evacuating Characteristics in the Carriage Fire", Proceedings of 2009 Autumn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881-886 (2009). 

  3. Y. Choi, "Haeundae Woosin Golden Sweet Fire!", Fire Prevention News (2010). 

  4. Y. J. Jang, C. H. Lee, W. H. Park and W. S. Jung,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assenger Evacuation Results Using CFAST and FLUENT", Proceedings of 2007 Autumn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348-1355 (2007). 

  5. S. Bae, G. H. Ko, C. W. Lee and H. S. Ryou, "A Network-based Smoke Control Program with Consideration of Energy Transfer in Ultra-high-rise Buildings, CAU_ ESCAP", Building Simulation, Vol. 6, No. 2, pp. 173-182 (2013). 

  6. H. S. Hwang, J. H. Choi and W. H. Hong, "Simulation Modeling of High-rise Apartment Evacuation Scenario Comparing with Full-scaled Experime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5, No. 9, pp. 125-132 (2009). 

  7. D. Helbing, I. Farkas and T. Vicsek, "Simulating Dynamical Features of Escape Panic", Nature, 407(6803), pp. 487-490 (2000). 

  8. T. Jin, "Visibility through Fire Smoke", Journal of Fire & Flammability, Vol. 9, pp. 135-155 (1978). 

  9. H. Frantzich and D. Nilsson, "Utrymning Genom tat rok: Beteende Och Forflyttning", Report 3126, Department of Fire Safety Engineering, Lund University, Sweden (2003). 

  10. D. A. Purser, "Toxicity Assessment of Combustion Products",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2nd ed.,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 (1995). 

  11. H. J. Kim, S. Bae, A. Burakov, Y. K. Choi and H. S. Ryou, "Investigation of Effect of Improved on the Evacuation of the Fractional Effective Dose (FED)", Proceedings of 2012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Society for Computationa Fluids Engineering, pp. 227-232 (2012). 

  12. T. Korhonen and S. Hostikka, "Fire Dynamics Simulator with Evacuation: FDS + Evac Technical Reference and User's Guide (FDS 5.4.3, Evac 2.2.1)", VTT Technical Research Centre of Finland (2009). 

  13. T. Jin, "Visibility and Human Behavior in Fire Smok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