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빈랑자 추출물의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살충효과
Insecticidal Activity of Areca catechu Ethanol Extract against House Dust Mite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1 no.1, 2014년, pp.43 - 49  

정진순 (세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insecticidal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Areca catechu against the house dust mite, Dermtophagoides pteronysinus, was examined. Ethanolic Areca catechu extract was directly appli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1.0, 0.5, 0.25, 0.125, 0.0625 mg/$40{\mu}l$) and the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빈랑자 에탄올 추출물의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살충효과를 농도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빈랑자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중 살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 칼로이드 성분 중 arecoline 및 정유 성분을 GC/MS 및 TD GC/MS 분석을 통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 그리하여 살충효과를 갖는 천연 염재를 천에 처리하여 집먼지 진드기 등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소재를 연구·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성분으로 알려진 알칼로이드계 천연염재인 빈랑자를 이용하여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살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살충효과를 갖는 천연 염재를 천에 처리하여 집먼지 진드기 등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소재를 연구·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성분으로 알려진 알칼로이드계 천연염재인 빈랑자를 이용하여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살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빈랑자 에탄올 추출물의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살충효과를 농도별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빈랑자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중 살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칼로이드 성분 중 arecoline 및 정유 성분을 GC/ MS 및 TD GC/MS 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 그리하여 살충효과를 갖는 천연 염재를 천에 처리하여 집먼지 진드기 등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소재를 연구·개발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빈랑자 에탄올 추출물의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살충효과를 농도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빈랑자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중 살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 칼로이드 성분 중 arecoline 및 정유 성분을 GC/MS 및 TD GC/MS 분석을 통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빈랑자란 무엇인가? 빈랑자는 필리핀, 말레이시아, 대만, 중국 남부, 인도, 스리랑카 등 따뜻한 지방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는 야자과의 상록교목인 빈랑수의 열매이다[18]. 성분으로는 피리딘 계의 알칼로이드인 arecoline, arecaidine, guvacine, guvacoline 등을 0.
실내 먼지 중에 생식하는 진드기류로 세계적으로도 일반 가정 내 가장 많이 검출되는 종은 무엇인가? Pyroglyhidae과(먼지진드기과)에서는 Dermtophagoides pteronysinus, Dermtophagoides farinae, Euroglyphus maynei 등이 많이 검출된다. Dermtophagoides pteronysinus와 Dermtophagoides farinae는 세계적으로도 일반 가정 내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는 종으로 실내 먼지 중에 생식하는 진드기류의 60−90%를 차지하며 침구, 의자, 소파, 누비, 카펫 등의 섬유제품에서 많이 검출된다[13].
빈랑자 추출물의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무엇인가? 2.의 성분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빈랑자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중 살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recoline[21,32,33]과 α-pinene, cemphene, 2-β-pinene, β-myrcene, γ-3-carene, p-cymene 및 1,8-cineole 의 monoterpene 화합물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여겨진다. monoterpene은 탄소수가 10개인 terpene을 말하며 식물체에 존재하고 정유의 주성분으로 향료 원료로 이용된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 E. M. H. Bronswijk and R. N. Sinha, "Pyroglyphid Mites(Acari) and House Dust Allergy", J Allergy, 1971, 47, 31?52. 

  2. T. Yamaguchi, S. Inatomi, H. Kamo, M. Otsuru, T. Suzuki, and Y. Yoshida, "Clinical Parasitology", Wolfe Medical Publication Ltd., Tokyo, 1981. 

  3. P. W. Heyman, M. D. Chapman, and T. A. E. Platts-Mills, "Antigen Der f 1 from the Dust Mite Dermatophagoides farinae; Structural Comparision with Der p 1 from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and Epitope Specificity of Murine IgG and Human IgG Antibodies", J Immunol, 1986, 137, 2841?2847. 

  4. G. K. Dowse, K. J. Turner, G. A. Stewart, M. P. Alpers, and A. J. Woolcock, "The Association between Dermatophagoides Mites and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Asthma in Village Communities within the Papua New Guinea Highlands", J Allergy Clin Immunol, 1985, 75, 75?83. 

  5. D. J. Buchana and I. G. Jones, "Allergy to House Dust Mites in the Tropics", Brit Med J, 1972, 3, 764. 

  6. J. O. Warner, J. F. Price, J. F. Soothill, and E. N. Hey, "Controlled Trial of Hyposensitization to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in Children with Asthma", Lancet, 1978, 1, 912?915. 

  7. G. Biloitti, A. Passaleva, S. Romagnani, and M. Ricci, "The Environmental Influence on Childhood Asthma", Clin Allergy, 1972, 2, 109-113. 

  8. S. Y. Kim, J. W. Heo, and B. D. Suh, "The Results of Prick Test in Patients with Urticaria", Korean J Dermatol, 1981, 19, 77?85. 

  9. K. Y. Min, Y. Y. Kim, and S. Y. Kang, "An Epidemiologic Study on Inhalant Allergens in Perennial Allergic Rhintis",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1983, 2, 78?85. 

  10. V. S. Beltrani, "The Role of House Dust Mites and Other Aeroallergens in Atopic Dermatitis", Clin Dermatol, 2003, 21, 177?182. 

  11. N. Hewitt, G. L. Barrow, F. Miller, F. Turk, and S. Turk, "Mites in the Personal Environment and Their Role in Skin Disorders", Brit J Derm, 1973, 89, 401?409. 

  12. G. A. H. Helson, "House-dust Mites and Possible Connection with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N Z Med J, 1971, 74, 209. 

  13. 中島照夫, "快適性機能を附與した纖維製品の仕上加工-その 5 纖維製品の防ダニ加工-", 加工技術, 2000, 35, 190?198. 

  14. M. Wink in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Phytochemicals from an Agricultural Perspective, In: Phytochemistry and Agriculture" (T. A. van Beek and H. Breteler Eds.), Proc Phytochem Soc Eur, 1993, 34, 171?213. 

  15. S. Cerolini, P. F. Surai, B. K. Speake, and N. H. C. Sparks, "Phytochemicals in Livestock Production Systems", Ani Feed Sci Technol, 2005, 121, 1?4. 

  16. M. B. Isman, "Leads and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New Botanical Insecticides", Rev Pestic Toxicol, 3, 1995, 1?20. 

  17. C. H. Lee,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2006. 

  18. 한대석, "생약학", 동명사, 1995, p.310. 

  19. I. Inkuchi, H. Okabe, T. Yamauchi, A. Naganstsu, G. Nonaka, and I. Nishioka, "Antithypertensive Substance in Seeds of Areca cachu", Life Sci, 1986, 38, 1375?1382. 

  20. 森田直賢, "藥用植物", 株式會社 主婦の友社, 東京, 1979, p.299. 

  21. 化學大辭典編集委員會, "化學大辭典", 共立出版株式會社, 東京, 1989, 1, p.450B. 

  22. http://en.wikipedia.org/wiki/House_dust_mite 

  23. H. K. Kim,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01. 

  24. S. E. Lee, B. H. Lee, W. S. Choi, B. S. Park, J. G. Kim, and B. C. Campbell, "Fumigant Toxicity of Volatile Natural Products from Korean Spices and Medicinal Plants towards the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L)", Pest Manag Sci, 2001, 57, 548?553. 

  25. B. H. Lee, P. C. Annis, F. Tumaalii, and W. Choi, "Fumigant Toxicity of Essencial Oils from the Myrtaceae Family and 1,8-cineol against 3 Major Stored-grain Insects", J Stored Prod Res, 2004, 40, 553?564. 

  26. J. R. Coats, L. L. Karr, and C. D. Drewes in "Naturally Occurring Pest Bioregulators" (P. A. Hedin Ed.), ACS Symposium Series No. 449, 1991, pp.305?316. 

  27. R. Kotan, S. Kordali, A. Cakir, M. Kesdek, Y. Kaya, and H. Kilic, "Antimicrobial and Insecticidal Activities of Essencial Oil Isolated from Turkish Salvia hydrangea DC ex Benth.", Biochem Syst Ecol, 2008, 36, 360?368. 

  28. E. Shaaya, U. Ravid, N. Paster, B. Juven, U. Zisman, and V. Pisarrev, "Fumigant Toxicity of Essencial Oils against Four Major Stored-product Insects", J Chem Ecol, 1991, 17, 499?504. 

  29. C. Regnault-Roger and A. Hamraoui, "Fumigant Toxic Activity and Reproductive Inhibition Induced by Monoterpenes on Acanthoscelides obtectus, a Bruchid of Kidney Bean(Phaseolus vulgaris L.)", J Stored Prod Res, 1995, 31, 291?299. 

  30. M. V. Maciel, S. M. Morais, C. M. L. Bevilaqua, R. A. Silva, R. S. Barros, R. N. Sousa, L. C. Sousa, E. S. Brito, and M. A. Souza-Neto, "Chemical Composition of Eucalyptus spp. Essencial Oils and Their Insecticidal Effects on Lutzomyia longipalpis", Veterinary Parasitology, 2010, 167, 1?7. 

  31. J. S. Jung,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Coptis japonica Makino, and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by TD GC/MS", Text Sci Eng, 2013, 50, 276?277. 

  32. 生田安喜良, 絲川秀治, 大本太一, 竹谷孝一, 永井正博, 古谷力, 安田一郞, 渡謹三, "天然物醫藥品學", 朝倉書店, 東京, 1987, p.92. 

  33. http://en.wikipedia.org/wiki/Arecoline 

  34. 化學大辭典編集委員會, "化學大辭典", 共立出版株式會社, 東京, 1989, 9, p.285A. 

  35. Y. J. Ahn, S. B. Lee, H. S. Lee, and G. H. Kim, "Insecticidal and Acaricidal Activity of Caravacrol and $\beta$ -Thujaplicine Derived from Thujopsis dolabrata var. hondai Sawdust", J Chem Ecol, 1998, 24, 81?90. 

  36. S. Lee, C. J. Peterson, and J. R. Coats, "Fumigation Toxicity of Monoterpenoids to Several Stored Product Insects", J Stored Prod Res, 2002, 39, 77?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