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r3+ 또는 Selenium 첨가 배양액으로 재배한 치커리의 항산화활성 및 α-glucosidase저해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Effects of Chicories Grown in Hydroponics Added with Cr3+ or Selenium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9 no.1, 2014년, pp.53 - 59  

최준혁 (계명대학교식품가공학과) ,  박윤희 (계명대학교식품가공학과) ,  이성규 (계명대학교식품가공학과) ,  이소희 (계명대학교식품가공학과) ,  유미희 (계명대학교식품가공학과) ,  이무상 ((주)신일) ,  박순화 ((주)신일) ,  이인선 (계명대학교식품가공학과) ,  김현정 (계명대학교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3+}$ 및 Se을 첨가하여 수경 재배한 치커리 3종의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양액만으로 재배한 치커리보다 양액에 Se이나 $Cr^{3+}$을 첨가한 치커리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FRAP 환원능이 증가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ABTS 라디칼 소거능도 증가하였다. 특히 Se을 첨가한 치커리보다 $Cr^{3+}$을 첨가한 치커리에서 더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r^{3+}$을 첨가한 CLER 및 CLE의 경우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커리 추출물의 수경재배 과정에서 양액에 $Cr^{3+}$, Se의 첨가는 치커리의 항산화 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증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ichorium intybus L.(CLE), Cichorium intybus L. var. folisum 'treviso' (CLET), Cichorium intybus L. var. folisum 'rosaitaliana' (CLER) in hydroponics added with $Cr^{3+}$ or Selenium (Se)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애용되고 있는 엽채류 중 맛이 쌉싸름 하고 식이섬유소가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쌈채소 중의 하나인 치커리 3종(Cichoriumintybus L., Cichoriumintybus L. var. folisum ‘treviso’, Cichoriumintybus L. var. folisum ‘rosaitaliana’)에 대해 Cr3+ 및 Se이 각각 첨가된 양액으로 수경재배한 다음, 이들 치커리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검토해 보았다.
  • 이에 Cr3+ 및 Se을 첨가하여 엽채류를 재배한 다음 항산화 활성과 함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에 널리 분포된 크롬의 농도는? Se의 하루 섭취량은 60~75 μg으로, 부족할 경우 두뇌와 심장 근육에 이상을 유발시키며, 유방암이나 대장암 등의 암 발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14). 또한 크롬 (Cr)은 토양에 약 250 μg/kg의 농도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식물에는 100~500 μg/kg 정도 함유되어 있다15). 특히 Cr3+은 유기복합체에 결합되어 식물에 축적된 형태로 존재하며 사람과 동물의 필수영양소로, 손상된 포도당 내성 혹은 당뇨병 환자에게 혈당, 인슐린, 지방 대사를 개선시키며,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치료 및 동맥경화증 예방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6).
인체에 Se이 부족하면 어떤 악영향이 있는가? Se은 동물, 인간 및 미생물 등에 있어서 필수 영양소로서, 식물체에 의해 토양으로부터 selenate (SeO42−)나 selenite(SeO32−)의 무기화합물 형태로 흡수되어 glutathione peroxidase의 구성인자인 selenomethionine와 selenocysthionine과 같은 유기화합물로 전환되면서 흡수율이 증가하고 강력한 항산화작용을 한다11,12). Se의 하루 섭취량은 60~75 μg으로, 부족할 경우 두뇌와 심장 근육에 이상을 유발시키며, 유방암이나 대장암 등의 암 발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14). 또한 크롬 (Cr)은 토양에 약 250 μg/kg의 농도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식물에는 100~500 μg/kg 정도 함유되어 있다15).
α-glucosidase을 이용한 경구혈당강하제는 어떤 원리로 혈당 상승을 막아주는가? 한편 α-glucosidase는 소장점막의 미세융모막에 존재하는 효소로서 다당류의 탄수화물을 단당류로 분해하는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에 필수적인 효소로써 경구혈당강하제로 사용되고 있다19). 소장내의 점막에서 α-glucosidase의 활성을 저해하면 다당류의 분해를 방해하여 소장에서 glucose의 흡수를 지연시켜 주어 식후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막아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Y. S.: Nitrate Content and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s in edible part of organic farming vegetables.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71-476 (1998). 

  2. Jolly D. H., Schutz H. G., Diaz-Knauf K. V. and Johal J.: Organic food 3. Consumer attitudes and use. Food Technology, 42, 60-65 (1989). 

  3. Lee S. Y., Kim H. J. and Bae J. H.: Growth,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of Sedum sarmentosum in soil and hydroponic cultivation. Kor. J. Hort. Sci. Technol., 29, 195-200 (2011). 

  4. Yun H. K., Seo T. C., Park D. K., Choi K. Y., and Jang Y. A.: Effect of selenium source and concentrations on growth and quality of endive and Pak-choi in deep flow culture. Kor. J. Hort. Sci. Technol., 22, 151-155 (2004). 

  5. Cha B. C., Kim M. D. and Ryu H. S.: Effect of vitamin C, germanium oxide and selenium treatment on the during cultivation of sprouts. Korean J. Food & Nutr., 24, 226-232 (2011). 

  6. Cheong Y. H., Han M. J., Sung S. J., Seo D. C., Kang J. G., Sohn B. K., Heo J. S. and Cho J. S.: Effects of selenium supplement on germination sprout growth and selenium uptake in four vegetables. Korean J. Environ. Agric., 28, 179-183 (2009). 

  7. Woo N., Song E. S., Kim H. J., Seo M. S. and Kim A. J.: The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prouts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0, 356-362 (2007). 

  8. Kim S. J., Zaidul I. S., Suzuki T., Mukasa Y., Hashimoto N., Takigawa S., Noda T., Matsuura-Endo C. and Yamauchi H.: Comparison of phenolic compositions between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Fagopyrum) sprouts. Food Chem., 110, 814-819 (2008). 

  9. Martinez-Villaluenga C., Penas E., Ciska E., Piskula M.K., Kozlowska H., Vidal-Valverde C. and Frias J.: Time dependence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during germination of different cultivars of broccoli and radish seeds. Food Chem., 120, 710-715 (2010). 

  10. Conor R.: Selenium. A new entrant into the functional food arena.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9, 114-118 (1998). 

  11. Danielle R. E. and David E. S.: Plants, selenium and human health.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6, 273-279 (2003). 

  12. Gunnar G. N., Umesh C. G., Michel L. and Tomas W.: Selenium in soil and plant and its importance in livestock and human nutrition. Adv. Agron., 37, 397-460 (1985). 

  13. Young V. R.: Selenium. A case for its essentiality in man. N. Engl. J. Med., 304, 1228-1230 (1981). 

  14. Sahin K., Tuzcu M., Orhan C., Sahin N., Kucuk O., Ozercan I. H., Juturu V. and Komorowski J. R.: Anti-diabetic activity of chromium picolinate and biotin in rats with type 2 diabetes induced by high-fat diet and streptozotocin. Br. J. Nutr., 110, 197-205 (2013). 

  15. Choi K. Y., Yun H. K., Kim Y. C., Seo T. C. and Seo H. D.: Effect of selenium treatment in the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Se accumulation of Pak-choi and Lettuce. Kor. J. Hort. Sci. Technol., 21, 41-41 (2003). 

  16. Wade M. J., David B. K., Carlisle J. S., Klein A. K. and Valoppi L. M.: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of toxic metals. Occup. Med., 8, 575-597 (1933). 

  17. Schwarz, K. and Mertz, W.: Chromium (III) and the glucose tolerance factor. Arch. Biochem. Biophys., 85, 292-295 (1959). 

  18. Rodney C. R. and Roger B. M.: Use of Antioxidant Nutrient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J. Am. Coll. Nutr., 20, 363-369 (2001). 

  19. Paul R., Jamie H., Phuong O. T. and Vincent P.: ${\beta}$ -Cell glucose toxicity, lipotoxicity and chronic oxidative stress in type 2 diabetes. Diabetes, 53, 5119-5124 (2004). 

  20. Folin O. and Denis W.: On phosphotungstic-phoso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912). 

  21. Nivea M., Sampietro A. and Vattuone M.: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lis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00). 

  22. Benzie I. F. F. and Stain J. 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9 (1996). 

  23. Locatelli M., Gindro R., Travaglia F., Coisson J. D., Rinaldi M. and Arlorio M.: Study of the DPPH-scavenging activity: Development of a free software for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data. Food Chem., 114, 889-897 (2009). 

  2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99). 

  25. Matsui T., Ueda T., Oki T., Sugita K., Terahara N. and Matsumoto K.: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on of natural acylated anthocyanins 1. Survey of natural pigments with potent inhibitory activity. J. Agric. Food Chem., 49, 1948-1951 (2001). 

  26. Holasova M., Fiedlerova V., Smrcinova H., Orsak M., Lachman J. and Vavreinova S.: Buckwheat. The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in functional foods. Food Res. Int., 35, 207-211 (2002). 

  27. Osawa T.: Novel natural antioxidant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 In post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 material in the tropics. In Uritani I, V. V. Garcia, E. M. Mendoza (ed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 pp. 241-251 (1994). 

  28. Lee S. G., Yu M. H., Lee S. P. and Lee I. S.: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s from avoca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69-275 (2008). 

  29. Kang Y. H., Park Y. K., Oh S. R. and Mood K. D.: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1995). 

  30. Wang M. F., Shao Y., Li J. G., Zhu N. Q., Rngarajan M., Lavoie E. J. and Ho C. T.: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ivia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