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O2/SiO2 박막 코팅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 특성 개선
Improvement of Polycarbonate Properties by Coating of TiO2 and SiO2 Thin Film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5 no.1, 2014년, pp.41 - 46  

원동수 (강원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원규 (강원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 무기계 $SiO_2$ 박막을 바인더로 코팅한 후 광촉매 특성을 갖는 $TiO_2$ 박막을 추가로 형성하여 모재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바인더로 사용되는 $SiO_2$ 박막은 광투과 특성이 우수하며, 상압플라즈마처리를 통한 친수성의 증가로 $TiO_2$ 함유 수용액의 도포성을 향상시켜 균일한 박막을 형성시킬 수 있었다. 약 200 nm이상으로 코팅된 $TiO_2$ 박막은 180~400 nm의 자외선을 차단하여 폴리카보네이트의 황변현상을 억제하고 내열성을 크게 향상하는데 기여하였다. 최외층에 형성된 $TiO_2$ 박막은 자외선의 흡수로 활성화되는 표면산화특성으로 유기 오염물의 분해반응 촉진과 표면의 친수성의 증가에 따른 자기세정특성을 나타내었다. $TiO_2$ 박막과 폴리카보네이트 기재 사이에 $SiO_2$ 박막의 적용은 기재의 부식에 의한 코팅된 $TiO_2$ 층의 박리를 억제하여 구조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perty improvement of polycarbonate coated with a multilayer film composed of an inorganic $SiO_2$ film and a photocatalytic $TiO_2$ film was studied. The $SiO_2$ film as a binder had an excellent light transmission characteristic. After the treatment with at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성향상을 위한 표면처리 방법 중에 TiO2/SiO2 박막 코팅을 통하여 직접적 자외선광 흡수를 통한 황변현상의 억제와 여러 가지 기계적 특성 향상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  박막 코팅을 통하여 직접적 자외선광 흡수를 통한 황변현상의 억제와 여러 가지 기계적 특성 향상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 에너지 변화에 따른 물의 접촉각 변화, 박막의 박리 현상 및 내열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박막 코팅 전의 폴리카보네이트와 자외선을 모두 투과시킨다는 가정하에 석영판의 광투과도를 UV-Visible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4와 같이 석영판은 약 180∼400 nm 영역에서 80% 이상의 광투과도를 나타냈지만, 박막 코팅 전의 폴리카보네이트는 20% 미만의 광투과도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카보네이트 표면에 광촉매 입자를 코팅할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표면에 TiO2를 코팅하여 자외선 흡수에 의한 모재의 열화를 억제하고 표면의 오염 성분을 광 분해시키며 표면의 친수화로 오염물이 빗물 등에 의해 쉽게 세정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5,11,12]. 그러나 표면에 광촉매 입자를 코팅하여 사용할 경우 광 촉매제 효과가 우수할수록 오염물질의 분해뿐만 아니라 코팅 층과 접촉하고 있는 기재표면의 분해력도 증가하여 헤이즈(Haze)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TiO22 코팅 층이 박리되는 현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성향상을 위한 표면처리 방법 중에 TiO2/SiO2 박막 코팅을 통하여 직접적 자외선광 흡수를 통한 황변현상의 억제와 여러 가지 기계적 특성 향상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어떤 광특성이 나타나는가? 폴리카보네이트는 180∼400 nm 영역의 자외선을 80% 이상 흡수하는 광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자외선 흡수는 태양광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황변현상을 일으켜 화학적 물리적 특성의 열화를 가져온다.
폴리카보네이트가 낮은 경도와 낮은 내 스크래치성 등의 단점을 가진 것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는 자동차 부품과 같은 산업용 및 생활용 재료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낮은 경도, 낮은 내 스크래치성과 자외선에 대한 열화 등의 취약한 물성들이 다양한 응용성을 구축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4,5].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열 표면처리, 화학적 표면처리, 전기화학적 표면처리, 플라즈마 표면처리, 표면 박막 코팅 및 커플링제 처리 등과 같은 표면처리 공정들이 개선방법으로 제시되었다[6,7]. 재료적인 측면에서 물리적 화학적 반응에 기인하는 재료의 부식, 촉매반응, 마찰, 마모, 경도, 피로, 입자 혹은 전자기파의 방출 및 흡수와 같은 특성은 모제보다는 표면 및 계면에서 주로 일어나므로 표면처리가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8-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T. Tatsuma, S. Tachibana, and A. Fujishima, Remote oxidation of organic compounds by UV-irradiated $TiO_2$ via the gas phase, J. Phys. Chem. B, 105, 6987-6992 (2001). 

  2. A. Fujishima, T. N. Rao, and D. A. Tryk,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is, J. Photochem. Photobiol. C, 1, 1-21 (2000). 

  3. K. Guan, Relationship between photocatalytic activity, hydrophilicity and self-cleaning effect of $TiO_2/SiO_2$ films, Surf. Coat. Technol., 191, 155-160 (2005). 

  4. A. Hozumi and O. Takai, Effect of hydrolysis groups in fluoro- alkyl silanes on water repellency of transparent two-layer hard coatings, Appl. Surf. Sci., 103, 431-441 (1996). 

  5. A. Moustaghfir, E. Tomasella, A. Rivaton, B. Mailhot, M. Jacquet, J. L. Gardette, and J. Cellier, Sputtered zinc oxide coatings : structural study and application to te photoprotection of the polycarbonate, Surf. Coat. Technol., 180/181, 642-645 (2004). 

  6. W. Jia and X. Chen, Effect of polymer-filler interactions on PTC behaviors of LDPE/EPDM blends filled with carbon blacks, J. Appl. Polym. Sci., 66, 1885-1890 (1997). 

  7. S. J. Park and J. S. Kim, Modifications produced by electrochemical treatments on carbon blacks :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Carbon, 39, 2011-2016 (2001). 

  8. E. T. Kang, K. L. Tan, K. Kato, Y. Uyama, and Y. Ikada, Surface modification and functionalization of polytetrafluoroethylene films, Macromolecules, 29, 6872-6879 (1996). 

  9. J. R. Chen and T. Wakida, Studies on the surface free energy and surface structures of PTFE film treated with low temperature plasma, J. Appl. Polym. Sci., 63, 1733-1739 (1997). 

  10. D. K. Hwang, J. H. Moon, Y. G. Shul, K. T. Jung, D. H. Kim, and D. W. Lee, Scratch resistant and transparent UV-protective coating on polycarbonate, J. Sol-Gel. Sci. & Technol., 26, 783-787 (2003). 

  11. H. Yaghoubi, N. Taghavinia, and E. K. Alamdrari, Self cleaning $TiO_2$ on polycarbonate : Surface treatment, photocatalytic and nanomechanical properties, Surf. Coat. Technol., 204, 1562-1568 (2010). 

  12. H. Anma, Y. Yoshimoto, M. Tanaka, H. Takatsuma, and Y. Hatanaka, Preparation of ZnO thin films deposited b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for application to ultraviolet-cut coating, Jap. J. Appl. Phys., 40, 6099-6103 (2001). 

  13. J. F. Rabek, Polymer Photodegradation-Mechanisms and Experimental Methods, Chapman Hall, Cambridge (199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