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고온 고압 배관용 단조밸브 용접부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단조밸브 제작현장에서 활용할 용접후열처리의 유지시간 및 유지온도를 연구했다. ASTM A182 F92 재료를 단조밸브의 용접부에 해당되는 밸브 끝단부 및 누설방지용접부와 동일한 형상의 두께 1 inch 쿠폰으로 가공하고, 쿠폰을 가스 텅스텐 아크용접(GTAW: Gas Tungsten ArcWelding) 방법으로 완전용입 용접하여 시편을 제작했다.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시편을 $705^{\circ}C$, $735^{\circ}C$, $750^{\circ}C$, $765^{\circ}C$, $795^{\circ}C$ 및 $825^{\circ}C$에서 1시간 유지하여 용접후열처리를 실시(Group 1)하였다. 그리고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시편 3개를 $735^{\circ}C$에서 30분, 1시간 및 2시간으로 달리 유지(Group 2)하여 용접후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다른 유지시간과 유지온도에 따른 경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모재부, 열영향부 및 용착금속부에서 경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에 따라, 1 inch당 1시간 온도를 유지할 경우는 용접후열처리가 $750^{\circ}C{\sim}765^{\circ}C$에서 수행되어야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조밸브 제작규격에서 요구하는 최소 유지온도 보다 $5^{\circ}C$가 높은 $735^{\circ}C$에서 1 inch당 1시간 유지할 경우에 요구된 경도 값을 만족하지 못하여, 요건보다 긴 시간인 1 inch당 2시간 용접후열처리 시 경도 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용착금속부의 조직은 템퍼드-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 고압 배관용 단조밸브 용접부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단조밸브 제작현장에서 활용할 용접후열처리의 유지시간 및 유지온도를 연구했다. ASTM A182 F92 재료를 단조밸브의 용접부에 해당되는 밸브 끝단부 및 누설방지용접부와 동일한 형상의 두께 1 inch 쿠폰으로 가공하고, 쿠폰을 가스 텅스텐 아크용접(GTAW: Gas Tungsten Arc Welding) 방법으로 완전용입 용접하여 시편을 제작했다.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시편을 $705^{\circ}C$, $735^{\circ}C$, $750^{\circ}C$, $765^{\circ}C$, $795^{\circ}C$ 및 $825^{\circ}C$에서 1시간 유지하여 용접후열처리를 실시(Group 1)하였다. 그리고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시편 3개를 $735^{\circ}C$에서 30분, 1시간 및 2시간으로 달리 유지(Group 2)하여 용접후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다른 유지시간과 유지온도에 따른 경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모재부, 열영향부 및 용착금속부에서 경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에 따라, 1 inch당 1시간 온도를 유지할 경우는 용접후열처리가 $750^{\circ}C{\sim}765^{\circ}C$에서 수행되어야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조밸브 제작규격에서 요구하는 최소 유지온도 보다 $5^{\circ}C$가 높은 $735^{\circ}C$에서 1 inch당 1시간 유지할 경우에 요구된 경도 값을 만족하지 못하여, 요건보다 긴 시간인 1 inch당 2시간 용접후열처리 시 경도 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용착금속부의 조직은 템퍼드-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확인되었다.
Coupons which have same figure as weld joint of the forged steel valves and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were manufactured using ASTM A182 F92 material. After welding with GTAW method, the welded specimens have been post-weld heat treated at $705^{\circ}C$, $735^{\circ}C$,
Coupons which have same figure as weld joint of the forged steel valves and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were manufactured using ASTM A182 F92 material. After welding with GTAW method, the welded specimens have been post-weld heat treated at $705^{\circ}C$, $735^{\circ}C$, $750^{\circ}C$, $765^{\circ}C$, $795^{\circ}C$ and $825^{\circ}C$ for 1 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each (Group 1)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welds based on various holding temperature. Indeed, 3 welded specimens were post-weld heat treated for 30 minutes, 1 hour and 2 hour (Group 2) at $735^{\circ}C$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welds based on various holding time. Hardness values were measured at the weld metal, heat affected zone and base metal to observe hardness change depending on the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appropriate holding temperature for PWHT is proved as $750^{\circ}C$ and $765^{\circ}C$ for 1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Indeed, holding for 1 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was insufficient for PWHT effect when the holding temperature was at $735^{\circ}C$. The microstructure of post-weld heat treated weld metal was determined as tempered-martensite structure.
Coupons which have same figure as weld joint of the forged steel valves and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were manufactured using ASTM A182 F92 material. After welding with GTAW method, the welded specimens have been post-weld heat treated at $705^{\circ}C$, $735^{\circ}C$, $750^{\circ}C$, $765^{\circ}C$, $795^{\circ}C$ and $825^{\circ}C$ for 1 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each (Group 1)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welds based on various holding temperature. Indeed, 3 welded specimens were post-weld heat treated for 30 minutes, 1 hour and 2 hour (Group 2) at $735^{\circ}C$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welds based on various holding time. Hardness values were measured at the weld metal, heat affected zone and base metal to observe hardness change depending on the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appropriate holding temperature for PWHT is proved as $750^{\circ}C$ and $765^{\circ}C$ for 1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Indeed, holding for 1 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was insufficient for PWHT effect when the holding temperature was at $735^{\circ}C$. The microstructure of post-weld heat treated weld metal was determined as tempered-martensite structur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5W 강을 재료로 하는 단조밸브는 최근 국내 밸브제작 업체에서 수주하여 용접절차시방서(WPS: Welding Procedure Specification)를 개발하는 등의 초기단계이며, 용접후열처리에 대한 연구도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9Cr-0.5Mo-1.5W 강 단조밸브 용접부의 경도와 조직을 평가하여 적정 용접후열처리 조건을 선정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험을 통해 관찰된 경도변화와 조직 고찰을 통하여 고온∙고압 배관용 9Cr-0.5Mo-1.5W 강 단조밸브 용접후열처리의 유지온도와 유지시간에 따른 특성을 평가하여 규정에 만족하는 용접후열처리 조건을 선정하고자 한다.
노내 용접후열처리 방법으로 단조밸브의 용접후열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제작사의 절차에 따라 고온에서 손상되는 패킹 등을 제거한 후 실시하거나 열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시트부 등의 부품은 고정을 시키고 용접후열처리를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편의 고른 열처리를 목적으로 단조밸브의 용접부와 동일한 형상의 쿠폰과 용접시편을 제작하여 노내 용접후열처리를 실시하였다.
1 규격은 용접부 호칭두께 1 inch 당 1시간 이상 유지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 inch 의 용접부 호칭두께를 가진 시편이 규격보다 짧거나 긴 유지시간 동안 열처리 되는 경우를 평가하기 위해 보다 넓은 폭이 선정되었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9Cr-0.5Mo-1.5W 강인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182 F92 재질의 환봉을 가공하여 고온∙고압용 단조밸브 용접부에 해당되는 밸브 끝단부 및 누설방지 용접부와 동일한 형상의 두께1 inch 쿠폰으로 가공하고, 가스 텅스텐 아크용접(GTAW: Gas Tungsten Arc Welding) 방법으로 완전용입 용접하여 시편을 제작했다.
Group 1에서는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6개의 용접 시편을 705℃, 735℃, 750℃, 765℃, 795℃ 및 825℃에서 각 1시간씩 유지하여 용접후열처리를 실시하였다. Group 2에서는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3개의 용접 시편을 735℃에서 30분, 1시간 및 2시간 유지하여 용접후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Group 2에서는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3개의 용접 시편을 735℃에서 30분, 1시간 및 2시간 유지하여 용접후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상이한 유지시간과 유지온도에 따른 경도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모재부, 열영향부 및 용착금속부에서 경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유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미세조직을 관찰하기 위하여 용착금속부와 모재부의 중심에서 시편을 채취하여 전자현미경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촬영을 하였다.
상이한 유지시간과 유지온도에 따른 경도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모재부, 열영향부 및 용착금속부에서 경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유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미세조직을 관찰하기 위하여 용착금속부와 모재부의 중심에서 시편을 채취하여 전자현미경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촬영을 하였다.
단조밸브의 제작 규격에서는 용접후열처리의 평가를 위해 경도시험을 요구하고 있으며, 본 실험은 단조밸브의 공장제작에 초점을 두었으므로 경도측정 값을 기준으로 하여 용접후열처리를 평가하였다. 경도 측정에 추가하여, 단조밸브 용접부의 용착금속부와 모재부의 조직을 촬영하여 용접후열처리 전과 후의 조직변화와 탄화물 석출을 관찰하였다.
단조밸브의 제작 규격에서는 용접후열처리의 평가를 위해 경도시험을 요구하고 있으며, 본 실험은 단조밸브의 공장제작에 초점을 두었으므로 경도측정 값을 기준으로 하여 용접후열처리를 평가하였다. 경도 측정에 추가하여, 단조밸브 용접부의 용착금속부와 모재부의 조직을 촬영하여 용접후열처리 전과 후의 조직변화와 탄화물 석출을 관찰하였다.
2 HRc(248 HB) 이하의 경도를 요구한다. 하지만 발전소의 효율향상을 목적으로 고온∙고압에서 보다 높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0.85%~1.05%이던 Mo의 함유량을 0.3%~0.6% 수준으로 낮추고, 기존에는 요구되지 않던 W을 1.5%~2% 첨가하여 9Cr-0.5Mo-1.5W 강인 ASTM A182 F92를 개발하였다. 이 강의 기계적 성질은 620 MPa 이상의 인장강도, 440 MPa 이상의 항복강도로 강화되었다.
용접은 ASME Boiler & Pressure Vessel Code Section IX에 따라 자격 인정된 용접사가 수행하였다.
용접부의 길이는 35 mm로서 65 mm(L)×35 mm(W)×25 mm(T)의 블록형상으로 환봉을 가공하여 30°의 개선각을 형성하였다. 용접시편은 쿠폰 두 개를 가스 텅스텐 아크용접 방법으로 완전용입 맞대기 용접하여 제작했다.
KEPIC 규격 MN 원자력기계, ASME Boiler & Pressure Vessel Code Section III와 ASME B31.1 규격 등의 단조밸브 제작규격에서 요구하는 용접후 열처리 온도인 730℃~775℃ 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 되었을 경우도 평가하기 위하여 넓은 온도 폭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70 환봉을 밀링 기계가공하여 용접쿠폰을 제작하고, 가스 텅스텐 아크용접 방법으로 용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용접후열처리의 유지온도와 유지시간에 따른 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Group 1과 Group 2로 나누어 용접후열처리를 실시하였다. Fig.
본 연구에서는 ∅70 환봉을 밀링 기계가공하여 용접쿠폰을 제작하고, 가스 텅스텐 아크용접 방법으로 용접하였다. 주어진 조건에 따라 용접후열처리를 한 후 용접부의 결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방사선 투과검사를 실시하였다. 용접후열처리로 인한 표면 스케일과 표면의 평탄화를 위하여 밀링 기계가공을 한 후 로크웰 C Scale(HRc)로 경도를 측정하였고, 전자현미경 촬영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여러 점의 측정 평균값을 미리 조사하든가 혹은 이미 알고 있다면 그 경향에 따라 측정 구역을 미리 구분한다. 그리고 각 구역에서 그 면적에 대응한 측정점만큼 경도 시험을 하고 그 평균값을 구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실제로 시험편의 경도 값을 대표할 수 있는 경도를 구할 수 있다.
5는 용접시편의 경도 측정 위치를 나타내었다. 용착금속부(Weld Metal), 열영향부(HAZ: Heat Affected Zone) 및 모재부(Base Metal)에서 각각 9개소를 측정하여 평균을 비교하였다.
모재부의 중심부 ①과 용착금속부의 중심부 ②와 같이 시편을 채취하였다. 폴리싱, 에칭 그리고 코팅 단계를 거친 후, 각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2,000배, 10,000배 확대하여 조직 관찰을 하였다.
용접후열처리 유지온도에 따른 용접부 조직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모재부와 용착금속부의 중심을 2,000배와 10,000배 확대하여 전자현미경 촬영을 하였다. Fig.
고온∙고압용 9Cr-0.5Mo-1.5W 강 단조밸브 재료로 개발된 ASTM A182 F92의 용접후열처리를 평가했다. 용접부 호칭두께 1 inch의 단조밸브 용접부 시편을 유지온도와 유지시간을 달리하여 용접후열처리 한 후, 경도시험과 전자현미경 조직촬영을 실시한 결과 경도 기준 27.
최초 침입을 위해 재료 위에 다이아몬드 압입자를 두고 위치를 고정한 후 처음에는 10 kgf의 소하중을 가한 후“SET”값에 위치가 되면 150 kgf의 주하중을 가하여 경도를 측정한다.
대상 데이터
모재는 포스코 특수강에서 제작된 ∅70의 환봉을 사용하였고, 1,060℃에서 노멀라이징 되었고, 765℃에서 템퍼링이 되었다.
용접재료는 미국 A Lincoln Electric Company에서 제작한 ∅2.4의 9CrWV Solid 용접봉을 사용하였고, 용접봉 재료규격은 ASME SFA 5.28:ER90S-G 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고압 배관용 단조밸브에 사용되는 재료 중에 최근 적용되기 시작한 ASTM A182 F92 재질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6은 전자현미경 조직촬영 위치를 나타내었다. 모재부의 중심부 ①과 용착금속부의 중심부 ②와 같이 시편을 채취하였다. 폴리싱, 에칭 그리고 코팅 단계를 거친 후, 각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2,000배, 10,000배 확대하여 조직 관찰을 하였다.
데이터처리
주어진 조건에 따라 용접후열처리를 한 후 용접부의 결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방사선 투과검사를 실시하였다. 용접후열처리로 인한 표면 스케일과 표면의 평탄화를 위하여 밀링 기계가공을 한 후 로크웰 C Scale(HRc)로 경도를 측정하였고, 전자현미경 촬영을 하였다.
이론/모형
용접시편의 경도는 로크웰 경도계 C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경도 값은 임의로 고정된 상태에서 다이아몬드 압입자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성능/효과
이후 기존의 9Cr계 강에서 탄소함량을 감소시키고, Mo의 함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V, Nb 등의 합금원소를 미량 첨가시켜 V(C, N), Nb(C, N) 등과 같은 고온에서 안정한 탄질화물을 형성시킨 개량 9Cr-1Mo 강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높은 온도에서도 우수한 고온강도와 안정성을 가진다. 특히 최근에는 개량 9Cr-1Mo 강의 고온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o, W, V 등과 같은 강한 탄화물 형성 원소의 첨가로 인장강도가 증가하고, 특히 고온에서 더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지니고 있다. 또한 9% Cr의 첨가로 경화능이 좋아져 마르텐사이트로 경화되는 성능이 우수하며, 2.25Cr-1Mo 강 등의 저합금강에 비하여 내부식성과 내마멸성이 향상되었다. 강한 탄화물 형성 원소인 Cr, W, Mo, V 등의 첨가로 고온 크리프 강도 또한 향상되었다.
25Cr-1Mo 강 등의 저합금강에 비하여 내부식성과 내마멸성이 향상되었다. 강한 탄화물 형성 원소인 Cr, W, Mo, V 등의 첨가로 고온 크리프 강도 또한 향상되었다. 그러나, 이 ASTM A182 F92는 강한 탄화물 형성 원소의 첨가로 용접부의 경도가 증가하고 용접부의 결함이 발생되기 쉽다.
79HRc로 측정되었다. 용접부의 모든 부위에서 기준 이하로 경도가 저감되었으며, 알려진 바와 같이 용착금속부, 열영향부, 모재부의 순으로 경도가 측정되었다. 규격에서 요구한 용접부 호칭두께 1 inch 당 1시간 보다 긴 2시간 온도유지 시, 용접 잔류응력이 충분히 완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용접부의 모든 부위에서 기준 이하로 경도가 저감되었으며, 알려진 바와 같이 용착금속부, 열영향부, 모재부의 순으로 경도가 측정되었다. 규격에서 요구한 용접부 호칭두께 1 inch 당 1시간 보다 긴 2시간 온도유지 시, 용접 잔류응력이 충분히 완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첫째,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시편을 750℃~765℃에서 1시간 유지 시 용접부의 경도가 기준 이하로 측정되어, 용접후열처리는 이 구간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시편을 735℃에서 2시간 유지 시 용접부의 경도가 기준 이하로 측정되어, 735℃에서는 용접후열처리가 규격 요건인“1 inch 당 1시간 유지”보다 긴 2시간 유지를 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후속연구
일반적으로 금속재료가 더욱 높은 열을 받을수록 입자가 조대화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조립화되어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전 플랜트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인가?
급속한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전기의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보다 많은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화력 발전소와 원자력 발전소 등 발전 플랜트의 고효율화와 내구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발전 플랜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온∙고압 배관에서 사용가능한 내열재료의 사용을 수반하며, 이 배관의 유체 제어에 사용되는 단조밸브도 또한 내열재료의 사용을 필수로 하고 있다.
발전 플랜트의 고효율화와 내구성 향상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급속한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전기의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보다 많은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화력 발전소와 원자력 발전소 등 발전 플랜트의 고효율화와 내구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발전 플랜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온∙고압 배관에서 사용가능한 내열재료의 사용을 수반하며, 이 배관의 유체 제어에 사용되는 단조밸브도 또한 내열재료의 사용을 필수로 하고 있다.
9Cr-0.5Mo-1.5W 강의 특징은 무엇인가?
5W 강이 개발되어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 강은 9%의 Cr 함유로 경화능이 향상된 반면 취성이 증가해 용접부의 결함이 발생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W과 V 같은 강한 탄화물 형성원소의 함유로 용접부의 경도 증가와 결함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어 용접후열처리의 수행을 필수로 하고 있다. 9Cr0.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