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산 화산재 유해성분 추정을 통한 팔당댐 유역 수질영향 평가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Paldang-dam Surface Area through the Estimation of Volcanic Ash Toxic Components from Mt. Baekdu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3, 2014년, pp.237 - 245  

지용근 ((주) SDM 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  이경빈 ((주) SDM 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  최정렬 ((주) SDM 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  김지태 ((주) SDM 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산 분화 시 분출되는 화산재에 의한 수질환경 변화에 대응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화산재 성분을 추정하고, 화산재 퇴적 두께에 따른 수질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백두산 화산재 성분을 추정하기 위해 주요 해외 화산의 마그마분과 백두산의 마그마 성분을 비교하여 유사한 화산을 선정하고, 해당 화산에서 분출한 화산재의 성분을 백두산의 화산재 성분과 유사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화산재 유해성분에 의한 수질 농도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화산재 퇴적 두께에 따른 유해성분 농도의 증감을 분석한 후,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과 비교함으로서 수질환경에 대한 영향 유무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알루미늄, 카드뮴, 불소, 철, 납, 마그네슘, 염소와 스트론튬 등이 취수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카드뮴, 불소, 철, 납, 마그네슘의 경우에는 수질관리 및 화산분출 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canic ash components of Mt. Baekdu were estimated to response the change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affected by Mt. Baekdu volcanic ash ejected during eruption. Then the change of water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sedimentation of volcanic ash components were analysed. To estimate volcan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백두산 분화 시 발생하는 화산재 피해를 저감하고, 국내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 관리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관리기준 수립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울을 포함하는 수도권 지역의 주요 수원인 팔당댐 유역에 대해 화산재 퇴적에 따른 오염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 번째, 백두산 화산의 마그마 성분을 분석하여 유사한 화산을 선정하고, 선정된 화산에서 분출되는 화산재의 성분을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화학 물질 농도에 대한 유해성분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백두산 분화 시 발생하는 화산재 피해를 저감하고, 국내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 관리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관리기준 수립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울을 포함하는 수도권 지역의 주요 수원인 팔당댐 유역에 대해 화산재 퇴적에 따른 오염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화산 폭발 시 발생할 수 있는 환경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질환경 관리기준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백두산 화산재 성분을 추정하였으며 성분에 따른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팔당댐 저수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 03으로 가장 컸으며, 그 이유로는 다른 지역의 취수원에 비해 저수면적이 크지만 상대적으로 저수용량이 작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1). 본 연구에서는 오염 잠재력이 가장 큰 팔당댐을 대상으로 화산재에 의한 수질환경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산폭발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유럽이나 남미, 일본의 경우와 달리 화산폭발의 안전지대로 여겨져 왔으나, 최근 백두산의 분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화산폭발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백두산은 대규모 분화 이력을 가지고 있어, 과거의 폭발적인 대규모 분화가 재현될 경우 사회·경제적 파장과 함께 심각한 환경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화산재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확산된 화산재는 미량이라도 전기와 물 공급 및 수송 네트워크, 상·하수도 시설 등의 사회 인프라 시설의 운영 및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Blong, 1984; Johnston et al., 2000).
화산폭발로인해 발생되는 에어로졸, 염산과 불화수소산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화산폭발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아황산가스는 천천히 황산(H2SO4) 미세입자의 에어로졸로 변해 태양복사에너지를 반사시키고 지구열을 흡수시킴으로서 지구를 냉각시킨다. 또한 에어로졸은 성층권의 염소, 질소화합물과 반응하여 오존층을 파괴시키고 염산과 불화수소산은 대기 중 수증기에 용해되어 산성비를 통해 지표면 및 지표수를 오염시키는 등 대기, 수질, 토양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long, R. (1984). Volcanic Hazards: A Sourcebook on the Effects of Eruptions. Academic Press, Australia. p. 424. 

  2. Cronin, S.J., Hedley, M.J., Neall, V.E., and Smith, R.G. (1998). "Agronomic impact of tephra fallout from the 1995 and 1996 Ruapehu volcano eruptions, New Zealand." Environmental Geology, Vol. 34, No. 1, pp. 21-30. 

  3. Cronin, S.J., Platz, T., Charley, D., and Turner, M. (2003). The June 2003 eruption of Lopevi volcano, Vanuatu. Geological Society of New Zealand Miscellaneous Publication 116A, 42. 

  4. Johnston, D.M. (1997a). Physical and social impacts of past and future volcanic eruptions in New Zealand, Unpublished Ph.D. thesis, University of Canterbury, Christchurch, p. 288. 

  5. Johnston, D.M. (1997b). The impacts of recent falls of volcanic ash on public utilities in two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stitute of Geological Nuclear Sciences Science Report 97/5, p.21. 

  6. Johnston, D.M., Houghton, B.F., Neall, V.E., Ronan, K.R., and Paton, D. (2000). "Impacts of the 1945 and 1995-1996 Ruapehu eruptions, New Zealand : an example of increasing societal vulnerabilit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Vol. 112, pp. 720-726. 

  7. Johnston, D.M., Stewart, C., Leonard, G.S., Hoverd, J., Thordarsson, T., and Cronin, S. (2004). Impacts of volcanic ash on water supplies in Auckland: part 1. Institute of Geological and Nuclear Sciences Science Report 2004/25. 

  8. Kienle, C.F. (1980). Evaluation of eruptive activity at Mt. St. Helens, Washington-March through June, 1980. 

  9. Lee, S.H., Jang, E.S., and Lee, H.M. (2012). "A case analysis of volcanic ash dispersion under various volcanic explosivity index of the Mt. Baegd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33, No. 3, pp. 280-293. (in Korean) 

  10. Moen, W.S, and McLucas, G.B. (1980). Mount St. Helens ash : Properties and possible uses. Washington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Division of Geology and Earth Resources. Report of Investigation 24. p.60. 

  11. MSF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0). 2010 Macroeconomic Stability Report. (in Korean) 

  12. NIMR(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1). Volcano Eruption Scenario of Mt. Baek-du. (in Korean) 

  13. NDMI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2010). Analysis of Volcanic Ash Dispersion Due to Eruption of Mt. Baek-Du. (in Korean) 

  14. Scott, W.E., and McGimsey, R.G. (1994). "Character, mass, distribution, and origin of tephra-fall deposits of the 1989-1990 eruption of Redoubt volcano, southcentral Alaska."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Vol. 62. pp. 251-272. 

  15. Smithsonian Institution. (2000). "Copahue." Bulletin of the Global Volcanism Network, Vol. 25, No. 6, pp. 7-10. 

  16. Stewart., C., Johnston, D.M., Leonard, G.S., Horwell, C.J., Thordarson, T., and Cronin, S.J. (2006). "Contamination of water supplies by volcanic ashfall: A literature review and simple impact modelling."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Vol. 158, pp. 296-306. 

  17. Weniger, B.G., Gedrose, M.B., Lippy, E.C., and Juranek, D.D. (1983). "An outbreak of waterbirne Giardiasis associated with heavy water runoff due to warm water and volcanic ashfall."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73, pp. 868-872. 

  18. Witham, C.S., Oppenheimer, C., and Horwell, C.J. (2004). "Volcanic ash-leachates: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sampling method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Vol. 141, pp. 299-32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