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군과 폭주부족군에서 조절반응 변화량의 비교
Comparison on Accommodative Response Changes in the Normal Group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1, 2014년, pp.79 - 85  

곽호원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세희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곽형빈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정상군과 폭주부족군을 대상으로 양안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Nvision-K5001, shin-nippon, Japan)를 이용하여 시교정 상태에 따른 조절 반응량을 측정하여 조절의 변화량을 조사하였다. 방법: 피검자는 등가구면 굴절력 평균이 우안은 $-2.28{\pm}2.03$ D이고, 좌안$-2.18{\pm}2.01$ D인 19~29세(평균연령 $21.59{\pm}2.53$세)의 대학생 74명(남 54명, 여 20명)을 타각적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완전교정과 플러스 렌즈를 임의적으로 +0.25 D, +0.50 D, +0.75 D로 부가한 저교정 상태에서 조절 반응량을 측정하여 그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군과 폭주부족군 모두에서 주시거리가 짧을수록 조절래그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폭주부족군은 정상군보다 조절 반응량의 값이 낮게 나타났으나 조절폭은 조금 크게 나타났다. 정상군에서는 저교정(+0.50 D) 상태와 폭주부족군의 완전교정의 조절 반응량이 비슷한 값을 보였다. 시교정 상태에 따른 주시거리와 조절 반응량의 상관관계는 저교정 정도가 클수록 상관계수가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결론: 근시와 정시안인 경우 장시간 근거리 작업 시 +0.50 D 정도의 저교정은 조절기능에 영향을 주어 안정피로 증상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accommodative changes by measuring accommodative response, appearing on the normal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Group, by using both eyes open-view auto-refractometer (Nvision-K5001, shin-nippon, Japan). Methods: It carried out objective and subjective refractio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근시안과 정시안을 대상으로 양안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시교정 상태(0.00 D +0.25 D, +0.50 D, +0.75 D)에 따른 정상군과 폭주부족군의 주시거리(5.0 m, 1.0 m. 0.5 m, 0.33 m, 0,25 m)에 따른 조절반응량을 조사하여 그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임상에서의 시교정상태와 조절반응량 및 폭주와 조절의 관계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완전교정을 한 후 정상군과 폭주부족군의 조절 반응량은 어떠하였는가? 완전교정을 한 후, 원거리 5 m에서 측정한 값과 각각의주시거리에서 측정한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조절반응량의 값을 구하였다. 정상군일 경우 주시거리 1.00 m에서의 조절반응량은 0.56 D이고, 주시거리 0.50 m에서의 조절 반응량은 1.46 D로 나타났다. 주시거리 0.33 m에서의 조절반응 량은 2.33 D이고, 주시거리 0.25 m에서의 2.95 D로 나타났다. 주시거리가 가까울수록 조절반응량이 커졌으며 조절자극량과 조절반응량의 차이인 조절래그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주부족군은 주시거리 1.00 m에서의 조절반응량은 0.42D이고, 주시거리 0.50 m에서의 조절반응량은 1.21 D로 나타났다. 주시거리 0.33 m에서의 조절 반응량은 2.16D이고, 주시거리 0.25 m에서의 2.86 D로 나타났다(Table 1, Fig 1-A). 주시거리 1.00 m에서 0.25 m까지의 조절폭은 정상군에서 2.39 D인 것에 비하여 폭주부족군에서는 2.44 D 로 더 크게 나타났다.
눈의 조절능력 비중이 커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지식정보산업의 발달로 근거리 업무가 많아진 일상생활에서 눈의 조절능력은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1,2] 독서나 VDT(Visual Display Terminal) 작업 등 근거리 작업에 장시간 노출되면 충혈, 두통, 불편함 등 여러 가지 증상과, 조절과 폭주의 불균형, 조절력의 감소로 근용 안경 착용 시기를 앞당기고, 노안이 빨리 오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근거리 작업에 장시간 노출 될 경우 생기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지식정보산업의 발달로 근거리 업무가 많아진 일상생활에서 눈의 조절능력은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1,2] 독서나 VDT(Visual Display Terminal) 작업 등 근거리 작업에 장시간 노출되면 충혈, 두통, 불편함 등 여러 가지 증상과, 조절과 폭주의 불균형, 조절력의 감소로 근용 안경 착용 시기를 앞당기고, 노안이 빨리 오게 되는 원인이 된다.[3,4,5] 기능적 원인의 조절 부족이나 조절마비는 가입도 렌즈가 중요한 처치법으로 Cooper는 조절 기능이상에서 가입도 렌즈의 치료를 중요한 역할로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Lee JY, Yu DS, Son JS, Cho HG, Moon BY. The diurnal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near work. J Korean Oph Opt Soc. 2011;16(1):75-81. 

  2. Chauhan K, Charman WN. Single figure indices for the steady-state accommodative response. Ophthal Physiol Opt. 1995;15(3):217-221. 

  3. Shin JA, Lee OJ.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ymptoms with near work and binocular function. J Korean Oph Opt Soc. 2007;12(3):125-130. 

  4. Sterner B, Gellerstedt M, Sjostrom A. Accommodation and the relationship to subjective symptoms with near work for young school children. Ophthal Physiol Opt. 2006;26(2):148-155. 

  5. Yoo JS, Yoon JW, Kim JH. Influence of VDT work on accommodative function. Korean Ophth Soc. 1992;33(7):693-697. 

  6. Scheiman M, Wick B.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435-445. 

  7. Cooper J. Accommodative dysfunction, In: Amos JF. Diagnosis and management in Vision care, 1st Ed. Boston; Butterworth-Heineman, 1987;431-454. 

  8. Bergquist U, Knave B. Eye discomforts and work with visual display terminal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4;20(1):27-33. 

  9. Kim JD. Clinical optometry and features more than prescribed, 2nd Ed. Seoul: Shinkwang, 2007;109, 122-128, 228-229. 

  10. Thompson HS. The pupil, In: Hart WM. Adler's physiology of the eye, 9th Ed. St. Louis: Mosby-Year Book, 1992;412-441. 

  11. Sung PJ. Optometry, 5th Ed. Seoul: Daehakseorim, 2005;168, 175-178, 287-288, 294-295, 545-550. 

  12. Rouse MW, Hutter RF, Shiftlett R. A normative study of the accommodative la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ptom Vis Sci. 1984;61(11):693-697. 

  13. Rosenfield M, Ciuffreda KJ, Rosen J. Accommodative response during distance optometric test procedures. J Am Optom Assoc. 1992;63(9):614-618. 

  14. Kim DY. Binocular vision, 1st Ed. Seoul: Shinkwang, 2010;163-167. 

  15. Shin JA. Ocular examination, 2nd Ed. Seoul: Hanmibook, 2007;163-182, 260-261. 

  16. Park HJ. Analysis of correlation of visual function findings. J Korean Oph Opt Soc. 2005;10(4):381-389. 

  17. Benjamin WJ. Borish's clinical refraction, 2nd ed. St. Louis: Butterworth heinemann, 2006;1017-1018. 

  18. Bae SH, Comparison between accommodative change on the full vision correction and low vision correction. J Korean Oph Opt Soc. 2012;17(1):75-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