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ndsat TM 영상과 현장조사를 이용한 잣나무림 재적 추정
Stand Volume Estimation of Pinus Koraiensis Using Landsat TM and Forest Inventory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1, 2014년, pp.80 - 90  

박진우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이정수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학술림을 대상으로 조사한 42개 표본점의 재적정보와 Landsat TM 영상으로 추출한 Remote Sensing(RS)정보를 이용하여 잣나무임분의 재적을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 대상 학술림 잣나무림의 ha당 평균재적은 $307.7m^3/ha$, 표준편차$168.4m^3/ha$이며 산출된 잣나무림 재적을 등급화하였다. TM 영상에 3 by 3 majority filtering을 수행하기 전과 후에 각각 11개의 지수를 추출하였으며, 지수별 평균 화소 값을 이용하여 선형 회귀식 도출에 필요한 독립변수를 선정하였다. 11개의 지수는 6개의 DN(밴드값, 열감지밴드인 Band6을 제외), NDVI(정규식생지수), Band Ratio(BR1:Band4/Band3, BR2:Band5/Band4, BR3:Band7/Band4), Tasseled Cap-Greeness(TC G) 1개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필터링 전과 후 모두 NDVI와 TC G가 회귀식에 가장 적합한 지수로 선정되었으며, $R^2$는 필터링 전과 후가 각각 0.736, 0.753로 모두 높았다. 또한, 정확도 비교를 위하여 오차검증을 실시한 결과, RMSE는 필터링 전과 후가 각각 약 $69.1m^3/ha$, 약 $67.5m^3/ha$으로 필터링 후가 낮았으며, bias는 각각 약 $-12.8m^3/ha$, 약 $9.7m^3/ha$으로 필터링 후의 편차가 적어 필터링을 실시한 회귀식이 적합한 모형으로 선정되었다. 필터링 후의 회귀식을 적용하여 추정한 임반별 재적은 총 재적이 약 $160,947m^3$이며, 평균 재적은 약 $315m^3/ha$로 실제 잣나무림의 재적보다 약 1.2배 높게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the stand volume of Pinus koraiensis, by using the investigated volume and the information of remote sensing(RS),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average volume of the research forest per hectare was $307.7m^3/ha$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에서 다양한 식생지수와 밴드비 지수, 분광값을 추출하고 현장조사 자료를 활용한 학술림 잣나무지역의 회귀모형을 도출하고 재적추정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학술림을 대상으로 조사한 현장조사 자료와 Landsat TM 위성영상의 분광특성을 이용해 회귀모델 도출 후 최적의 회귀식을 통한 잣나무 임분의 재적을 추정하고 주제도 작성을 통한 산림의 통계량 산출을 하고자 하였다. 영상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Majority filtering을 실시하였으며, 현장조사에 의한 재적과 위성영상을 이용한 재적의 추정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추정치의 오차(RMSE)와 편차(bias)를 이용하여 필터링 전과 후의 회귀모형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는 회귀모형의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를 어떻게 설정하였는가? 회귀모형 기법은 독립변수를 위성영상의 분광 값과 그 밖의 지수로 선정한 뒤, 종속변수인재적과의 회귀식을 도출한 후, 독립변수간의 유사성을 통해 미조사지점의 재적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각 등급의 재적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영상변환으로 취득된 11개의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는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장 좋은 영상변환지수를 선정하고, 필터링 전과 후 예측모형의 추정오차(RMSE)와 편차(Bias)를 식 (1), 식 (2)와 같이 산출하여 비교하였다(Franco-Lopez et al.
산림경영의 목적은 무엇인가? 산림경영의 목적은 경제원칙에 따라 양질의 목재를 지속적으로 생산하여 산림의 경제적·공익적 기능을 발휘 시키는 것이다(Park et al., 1990).
Landsat TM 영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 사용된 GIS 자료는 학술림 임상도와 임소반도, 임도망도를 사용하였으며, 위성영상은 2009년 5월 25일 촬영된 Landsat TM(row 115/path 34)을 사용하였다. Landsat TM 영상은 1984년 3월 발사된 중해상도 위성으로 탐지면적 185km, 촬영주기 16일, 7개의 밴드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밴드값은 6번 열적외선 밴드를 제외한 6개 밴드의 화소값 DN(Digital Number)을 이용하였다(Jensen,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ung, S.Y., J.S. Yim, H.K. Cho, J.H. Jeong, S.H. Kim and M.Y. Shin. 2009.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for Muju county using biomass conversion table and remote sensing dat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4):409-416(정상영, 임종수, 조현국, 정진현, 김성호, 신만용. 2009. 산림바이오매스 변환표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무주군의 산림바이오매스추정. 한국임학회지 98(4):409-416). 

  2. Crist, E.P. and R.C. Cicone. 1984. A physically-based transformation of thematic mapper data -the TM tasseled cap.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s and Remote Sensing GE-22(3):256-263. 

  3. Franco-Lopez, H., A. R. Ek, and M. E. Bauer. 2001. Estimation and mapping of forest stand density, volume and cover type using the k-nearest neighbors method.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7(3):251-274. 

  4. Franklin, J. 1986. Thematic Mapper analysis of coniferous structure and compo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7(10):1287-1301. 

  5. Fransson, J.E., M. Magnusson and J. Holmgren. 2004. Estimation of forest stem volume using optical SPOT-5 satellite and laser data in combination. Proceedings of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Vol 4, pp.2318-2322. 

  6. Jang, J.Y., H.J. Shin and J.C. Woo. 2004. A study on the stand structure analysis by the changing growth in Korean white pine stand. Journal of Forest Science 20(1):58-68 (장재영, 신현지, 우종춘. 2004. 잣나무 임분의 생장 변화에 따른 임분구조 해석에 관한 연구 - 강원대학교 학술림을 중심으로 -.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1):58-68). 

  7. Jensen, R.J. 2005.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 A Remote Sensing Perspective(3rd Edition). Sigma Press, Seoul, Korea. pp.338-352 (임정호, 박종화, 손홍규 옮김. 2005 원격탐사와 디지털영상처리(제3판). 시그마프레스. 338-352쪽). 

  8. Jeon. E.J. 2008.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growth rates and amounts of volume stocks by forest type and species in Korea. Master Thesis, Univ. of Kookmin, Seoul, Korea. pp.1-3 (전어진. 2008. 우리나라 산림의 임상별.수종별 재적생장량 및 재적생장률 추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쪽). 

  9. Kim, K.M., J.B. Lee, E.S. Kim, H.J. Park, Y.H. Roh, S.H. Lee, K.H. Park and H.S. Shin. 2011. Overview of research trends in estimation of forest carbon stocks based on remote sensing and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236-256 (김경민 이정빈, 김은숙, 박현주, 노영희, 이승호, 박기호, 신휴석. 2011. 원격탐사와 GIS 기반의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에 관한 주요국 연구동향 개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236-256). 

  10.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Forestry Technology Handbook. pp.1480 -1482 (국립산림과학원. 2012. 임업기술핸 드북. 1480-1482쪽). 

  1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Standard Carbon Uptake of Major Tree Species. pp.1-3 (국립산림과학원. 2013. 주요산림수종의 표준 탄소흡수량. 1-3쪽). 

  12. Korea Forest Service. 2009. Table of Volume.Weight and Forest Stand Yield. pp.6-7 (산림청. 2009. 재적.중량표 및 임분수확표. 6-7쪽). 

  13. Korea Forest Service. 2013.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pp.222-224 (산림청. 2013. 임업통계연보. 222-224쪽). 

  14. Kwon, B.K., K. Yamada, T. Niren and M.H. Jo. 2003. A study on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band ratioing data of landsat-T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6(2):80-91 (권봉겸, 山田淳, 仁連孝紹, 조명희. 2003. Landsat-TM의 밴드비 연산데이터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2):80-91). 

  15. Lillesand, T.M., R.W. Kiefer and J.W. Chipman. 1994. Remote Sensing and Image Interpretation. John Wiley, N.Y. pp.368-375. 

  16. Oza, M.P., V.K. Srivastave and P.K. Devaiah. 1996. Estimating tree volume in tropical dry deciduous forest from landsat TM data. Geocarto international 11(4):33-39. 

  17. Park, B.U. 1996. Land cover classification techniques for large area using digital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14(1):39-47 (박병욱. 1996. 수치위성자료를 이용한 광역의 토지피복분류 기법. 한국측량학회지 14(1):39-47). 

  18. Park, H.J., H.S. Shin, Y.H. Roh, K.M. Kim and K.H. Park. 2012. Estimating forest carbon stocks in Danyang using kriging methods for aboveground biom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16-33 (박현주, 신휴석, 노영희, 김경민, 박기호. 2012.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단양군의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지상부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16-33). 

  19. Park, T.S. 1990. Foresty. Hyangmun Press. Seoul. Korea. pp.46-47 (박태식. 1990. 임업경영학. 향문사. 46-47쪽). 

  20. Powell, S.L., W.B. Cohen, S.P. Healey, R.E. Kennedy, G.G. Moisen, K.B. Pierce and J.L. Ohmann. 2010. Quantification of live aboveground forest biomass dynamics with Landsat time-series and field inventory data : a comparison of empirical modeling approach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1053-1068. 

  21. Rouse, J.W., R.H. Hass, J.A. Schell and D.W. Deering.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Proceedings of 3rd Earth Resource Technology Satellite Symposium. pp.48-62. 

  22. Son, Y.M., K.H. Lee and R.H. Kim. 2007.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4):477-482 (손영모, 이경학, 김래현. 2007. 우리나라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한국임학회지 96(4):477-482). 

  23. The Research Forest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0. The research forest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7th management plan repor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p.12-20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부속 학술림. 2010.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부속 학술림 경영계획구 제7차기 경영계획서. 강원대학교 출판부. 12-20쪽). 

  24. Yim, J.S., G.S. Kong. S.H. Kim and M.Y. Shin. 2007. Forest thematic maps and forest statistics using the k-nearest neighbor technique for Pyeongchang -gun, Gangwon-do.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3):259-268 (임종수, 공지수, 김성호, 신만용. 2007. k-NN기법을 이용한 강원도 평창군의 산림 주제도 작성과 산림통계량 추정. 한국임학회지 96(3):259-268). 

  25. Yim, J.S., W.S. Han, J.H. Hwang, S.Y. Chung, H.K. Cho and M.Y. Shin. 2009.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based upon satellite data and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5(4):311-320 (임종수, 한원성, 황주호, 정상영, 조현국, 신만용. 2009. 위성영상자료 및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4):311-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