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노인의 연령에 따른 철자 산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Orthographic Retrieval with Age in the Elderly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1, 2014년, pp.119 - 125  

윤지혜 (한림대학교) ,  이은옥 (한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studies have reported an age-related decline in the ability to spell words correct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ioration on retrieving orthographic knowledge in 64 normal elderly Korean persons. The subjects were 64 in total: they were composed of 22 persons in their 50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베껴쓰기의 경우에는 철자 지식을 확인하기 보다는 쓰기에 필요한 구성이나 운동의 측면을 확인할 때 많이 시행되고, 서술하기는 철자 단계 이외의 의미나 구문등과 같은 언어적 변인을 함께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자 지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어를 듣고 받아쓰기를 시행하였다. 단어목록의 경우에는 음소와 자소가 대응되는 규칙단어, 음소와 자소가 대응되지 않는 불규칙단어, 음소와 자소가 대응되지만 의미를 가지지 않는 비단어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50대에서 70대 이후의 한국 정상 성인 및 노인으로 대상을 확장하여 규칙, 불규칙, 비단어쓰기를 모두 시행하고 각 쓰기와 연관되는 통로의 특성을 통하여 한글철자 산출능력을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층의 연령에 따른 철자산출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50대에서 70대 이상의 정상 성인과 노인에게 규칙단어, 불규칙단어 및 비단어 받아쓰기를 시행하였다. 먼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전체 오류빈도가 증가하였으나, 단어 범주에 따라 집단 간 철자 오류의 빈도를 살펴보았을 때는 불규칙단어 범주의 수행력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노인의 철자쓰기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50대, 60대, 70대 이상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규칙, 불규칙, 및 비단어를 듣고 받아쓰도록 한 후, 연령 집단에 따른 각 단어범주의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오반응 유형의 분석을 통하여 정상노인이 한글 철자 산출능력 시의 어휘-의미통로와 음운통로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철자 지식이 활성화 되는 단계를 뇌의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어떻게 되는가? 위의 처리과정을 뇌의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어휘-의미 통로 처리과정의 경우 두정엽(parietal lobule)의 각이랑(angular gyrus)에서 측두엽(temporal lobe)의 방추상회(fusiform gyrus)를 걸쳐 활성화가 일어나게 되며(Hillis, 2002), 음운통로의 처리과정의 경우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 상위변이랑(supramarginal gyrus), 그리고 브로카 영역(Broca’s area)을 포함한 실비안열 주변부(perisylvian)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성화가 일어난다(Roeltgen, Heilman, 1984; Hillis, 2002).
쓰기 활동은 무엇인가? ‘쓰기’활동은 대뇌에 저장된 철자에 대한 지식이 다양한 인지언어적 단계를 거치면서 손의 미세한 움직임을 통하여 산출되는 일련의 과정이다. 여기서 철자 지식이 활성화되는 단계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의 통로로 나뉜다.
정상성인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뇌의 용적의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정상성인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뇌의 용적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후두엽을 제외한 대뇌 피질의 감소는 젊은 성인보다 나이든 성인이 0.35%씩 매년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른 뇌실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Raz, 2005; Buckner et al., 2006, Burda, 2011; Raz et al., 2005). 이렇듯 정상성인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노화에 따른 뇌의 구조적인 변화 즉, 뇌 용적의 감소를 보이고 이러한 뇌 용적의 감소는 철자산출과 관련이 있는 측두두정엽 영역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uckner, R.L., Head, D., & Lustig, C. (2006). Brain changes in aging: A lifespan perspective. In E. Bialystok & F.I.M. Craik(Eds), Life span cognition: Mechanisms of change (pp.27-43).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 Burda, A.N. (2011). Communication and swallowing changes in healthy aging adults. Sudbury, MA: Jones & Bartlett Learning. 

  3. Burke, D.M., & Shafto, M.A. (2004). Aging and language produc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y Science, 13(1), 21-24. 

  4. Burke, D.M.., & Shafto, M.A. (2008). Language and aging. In F.I.M. Craik, & T.A. Salthouse(Eds), The handbook of aging and cognition(3rd ed.) (pp.373-443). New York: Psychology Press. 

  5. Choi, Y.J., Kim, Y.T., Yoon, H.R, & Sung, J.E. (2011). Spelling ability of the final consonants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16(2), 154-170. (최윤정, 김영태, 윤혜련, 성지은 (2011). 낱말 친숙도 및 음운 규칙 적용 유무에 따른 학령기 읽기장애 아동의 받침철자 인 식 및 쓰기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16(2), 154-170.) 

  6. Commodari, E., & Guarnera, M. (2008). Attention and aging.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0(6), 578-584. 

  7. Hillis, A.E., & Caramazza, A. (1981). The Graphemic buffer and attentional mechanism. Brain and Language, 36, 208-235. 

  8. Hillis, A.E. (2002). The Handbook of adult language disorders: Integrating cognitive neuropsychology, neurology, and rehabilitation. New York: Psychology Press. 

  9. Kang, Y.W., Na, D.L., & Han, S.H. (1997).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 K-MMSE. Seoul: Human brain research and consulting.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1997). 정신상태간이검사. 휴브알엔씨) 

  10. Kim, A.H. (2009). Spelling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in korea: focusing on spelling accuracy and error pattern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2(4), 85-113. (김애화 (2009). 초등학교 학생의 철자특성 연구: 철자 발달 패턴 및 오류 유형 분석. 초등교육연구, 22(4), 85-113.) 

  11. Kim, H., Heo, J., Kim, D.Y., & Kim, J. (2009). Screening test for aphasia neurologic-communication disorders; STAND, Seoul: Hakjisa. (김향희, 허지회, 김덕용, 김정완 (2009). 실어증선별검사. 서울: 학지사.) 

  12. Lee, K.E., & Lee, H.W. (2010). The effect of aging on retrieval of orthographic knowledg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3(4), 549-564. (이고은, 이혜원 (2010). 철자 정보 산출에서 노화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인지 및 생물, 23(4), 549-564.) 

  13. MacKay. D.G., & Abrams, L., (1998). Age-linked declines in retrieving orthographic knowledge: empirical,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Psychology and Aging, 13, 647-662.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The aged state. (보건복지부 (2009). 고령자통계.) 

  15. Pae, S.Y., Kim, M.B., & Yoon, H.J. (2012). Korea-language based reading assessment. in press (배소영, 김미배, 윤효진 (2012). 언어기반읽기평가(KOLRA). 출판 준비 중.) 

  16. Raz, N. (2005). The aging brain observed in vivo: Differential changes and their modifiers. In R. Cabeza, Nyberg, L., & Park, D. (Ed.), Cognitive neuroscience of aging (pp.19-57).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7. Seo, S.K. (1998). The vocabulary fluency of modern Korean. Seoul: Yonsei Institute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udies. (서상규 (1998). 현대 한국어의 어휘빈도. 연세대학교 언어정 보개발연구원.) 

  18. Shafto, A.M. (2011). Orthographic error monitoring in old age: lexical and sublexical availability during perception and production. Psychology and Aging, 25(4), 991-1001. 

  19. Stuart-Hamilton, I., & Rabbitt, P. (1997). Age-related decline in spelling ability: A link with fluid intelligence. Education Gerontology, 23(5), 437-441.4. 

  20. Ellis, A.W. (1982). Spelling and writing (and reading and speaking). In Ellis A.W., Normality and pathology in cognitive functions (pp. 113-146). London: Academic Press. 

  21. Roeltgen, D.P. In: Heilman, K.M., Valenstein, E. (2003). Clinical neuropsychology (4th ed). New York: University Press. 

  22. Yoon, J.H., Shin, J.C., Kim, D.Y., Suh, M.K., & Kim, H.. (2006). Korean agraphia subsequent to right hemispheric lesion. Speech Sciences, 13(3), 121-131. (윤지혜, 신지철, 김덕용, 서미경, 김향희 (2006). 우반구 손상 환자의 한글 실서증 특징. 음성과학, 13(3), 121-131.) 

  23. Yoon, J.H, Suh, M.K., & Kim, H. (2010). Language specific dysgraphia in Korean stroke patients. Cognitive and Behavioral Neurology, 23, 247-255. 

  24. Yoon, J.H., Suh, M.K., Jeong, Y., Ahn, H.J., Moon, S.Y., Chin, J., Seo, S.W., & Na, D.L. (2011). Agraphia in korean patients with early onset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3, 1317-1326. 

  25. Yoon, J.H., Kim, H., Na, D.L., & Suh, M.K. (2013). Orthographic knowledge of hangul syllable in Alzheimer's diseas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1), 47-54. (윤지혜, 김향희, 나덕렬, 서미경 (2013).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의 한글 철자 지식. 언어청각장애연구, 18(1), 47-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