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삽교호의 오염물질 유달률 산정 조사 및 평가연구
Estim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Pollutant Delivery Rate of Sapkyo Reservoir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5 no.4, 2014년, pp.29 - 36  

이영신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seo University) ,  신상희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Technology) ,  이태호 (Rural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삽교호 지역을 대상으로 오염물질에 따른 구역별 유달률을 산정하고 오염물질 부하량에 따른 유달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삽교호 주변의 주요하천은 남원천, 도고천, 삽교천, 무한천, 곡교천이고 5개 주요하천의 강우 시 유달률과 그 특성을 조사되었다. 그 결과 삽교호 조사 유역 전체의 유달률 BOD는 0.40, 총질소(T-N)는 0.34, 총인(T-P)은 0.08이었고 T-P의 유달률은 다른 수질항목에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유역 전반의 특성을 살펴보면 T-N과 T-P의 유달률은 연중 변화가 거의 없었다. T-N의 유달률은 갈수기 때에 0.2~0.3이었고 홍수기 때에는 0.31~0.39였다. T-P의 유달률은 갈수기에 0.3 이상, 홍수기 때에 0.11의 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연평균 유달률인 0.08과 비슷한 값이다. 본 조사에서 계측한 각각의 유달률은 토지이용과 지형 특성이 유사한 지역의 유달률처럼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live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oad of pollutants by calculating the delivery rate of targeted areas on pollutants in Sapkyo reservoir. The main rivers of Sapkyo reservoir are Namwoncheon, Dogocheon, Sapkyocheon, Muhancheon and Gokgyocheon. Th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4차 강우 시 조사는 2008년 8월 17일∼8월 18일 동안 수행하였으며, 남원천의 경우 18일 오전 1시부터 간헐적인 강우 형태를 보이다 오전 8시에 시간당 25 mm의 폭우를 내리고 10시에 비가 그쳤다.
  • l차 때와 마찬가지로 측정은 1∼2시간 간격으로 하였으며, 총 17~24회 유량측정과 수질 샘플링이 실시되었다.
  • 점오염부하량은 비강우 시 하천 유량과 수질농도의 곱으로 산정하였다. 과업기간이 6월부터 11월까지였기 때문에 갈수기 유량과 수질자료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이 기간 동안의 오염부하량 산정은 비강우 시 3회 측정한 유량 중 최소값을 대표 유량으로 선택하였다. Eq.
  • 그러나 과업기간과 재원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각 조사지점별 강우 시 측정한 한정된 실측자료를 사용하여 단위유출량을 산정하였다(Lee & Shin, 2013).
  • 남원천, 도고천, 삽교천, 무한천, 곡교천의 지점별 월별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 유달률을 산정하고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에 대해서 월별 강우유출률을 적용하여 월별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였다.
  • 유효우량비법은 삽교호 유역과 같이 유량측정망이 없는 미계측 유역에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선행강우와 토양수분상태에 따라 유출율이 달라지는 것을 감안할 수 없어 유출량비법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별 유출율을 유효우량비법에 적용하여 월별 강우 시 비점오염부하량의 유출량을 보정하였다.
  • 오염물질 누출이 있을 때 비점오염원의 평균농도를 잘 나타내는 EMC에 강우 시간의 누적 유량을 곱한 것으로써 총 누가오염부하량(kg)을 산정하였다. EMC는 특정 강우사상 동안 발생한 총 오염물질량(kg)을 총 유출량(m3)으로 나눈 유량가중평균농도값이며, Eq.
  • 유량측정은 강우사상의 변화에 따라 1∼2 시간 간격으로 19~20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 조사기간 동안 기상청의 방재 기상정보시스템과 레이더 영상 예보자료를 수시로 점검하며, 삽교호 유역의 강우 시기와 유량측정 여부를 판단하였다. Fig.

대상 데이터

  • 3차 강우 시 조사는 2008년 7월 23일∼7월 24일 이틀 동안 수행되었다.
  • 조사기간 동안 기상청의 방재 기상정보시스템과 레이더 영상 예보자료를 수시로 점검하며, 삽교호 유역의 강우 시기와 유량측정 여부를 판단하였다. Fig. 2에 4차 강우 시의 2008년 8월 18일 레이더 영상을 나타내었다. 18일 오후 4시 경의 레이더 영상을 나타낸 Fig.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통해 산정한 소유역 말단 부의 유달부하량을 해당 유역의 배출부하량으로 나누는 단순부하량비 기법을 사용하여 유달률을 산정하였다(Lee & Shin, 2013).
  • 본 연구에서는 평상 시와 강우 시 유량, 수질 동시 조사가 각각 3~4회 정도이므로 연간 오염물질 유달부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단위유출부하를 환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즉 일년 동안 연속해서 비점오염원을 실측 조사할 수 없기 때문에 실측 기간에 대해 계산한 값(kg/hr)을 연간으로 환산(tonf/yr)하여 사용하기 위해 유효우량비법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독립변수는 Eq. (5)와 같다.
  • 하천의 수질조사를 위해서는 수질조사 지점의 하천구간을 횡방향으로 3등분하여 각 구간의 중간부 수심 1/3지점에서 시료를 수집한 후 혼합시료를 만들어 냉장 보관하여 분석실로 이동하였다. 하천의 주요 수질분석항목은 BOD, CODMn, SS, N-계열, P-계열이며 분석방법은 수질오염공정시험법을 따랐다(MOE, 200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강우특성은 연중 강우량의 어느 정도가 하절기에 집중되는가? , 2009; Rast & Lee, 1983). 또한 우리나라의 강우특성은 연중 강우량의 약 70 %가 하절기에 집중되기 때문에 농・산간지역의 비점원 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량 역시 강우기에 대량 유출되고 있다. 따라서 유입수계의 수질악화는 유역에서 호소에 유입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발생하며, 그중 에서도 우천 시의 유입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적되고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NIER, 2012; Lee & Shin, 2013).
삽교호의 담수 이후 생겨난 문제점은 무엇인가? 삽교호는 농업용수 공급과 어업자원으로써 매우 중요한 수자원이다. 그러나 담수 이후 부영양화가 지속되어 왔으며, 향후에도 적절한 수질관리 대책을 수립하여 이행하지 않을 경우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이 어려운 상태이다. 강우 시에는 유역으로부터 발생하는 생활, 농업, 축산 오염원 등이 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유입되고 있어 유입하천과 호수의 수질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담수호 개발의 악영향은 무엇인가? 국내의 많은 지역에 국토의 확장과 농지의 확보를 위해 간척사업을 진행하여 간척지 내 용수공급을 위한 하구 담수호를 함께 조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담수호 개발은 흐르는 하천의 흐름을 막아 정체된 수역을 형성함으로써 유입 하천과 연안의 물질순환시스템 변형을 가져와 바다에 열려있는 하구와 달리 상류 유역으로부터 유입된 유기물이 무기물로 분해되고 질소와 인 계열의 무기 영양염류가 누적되는 부영양화 현상이 나타나 수질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Khaleel et al., 1980; Gunes, 2008; Ra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Droc, A. and Zagrorc Koncan, J. (2002), Estimation source of total phosphorous in river basin and assessment of alteratives for river pollution reduc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 28, No. 5, pp. 393-400. 

  2. Fulcher, G. A. (1994), Urban storm water quality from a residential catchment,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146-147, pp. 535-542. 

  3. Gunes, K. (2008), Point and nonpoint sources of nutrients to lakes - ecotechnological measures and mitigation methodologies - case study, Ecological Engineering, Vol. 34, No. 2, pp. 116-126. 

  4. Khaleel, R., Reddy, K. R. and Overcash, M. R. (1980), Transport of potential pollutants in runoff water from land areas receiving animal wastes: a review, Water research, Vol. 14, No. 5, pp. 421-436. 

  5. Lee, Y. S. and Shin, S, H. (2013), Effective reservoir management methods using nutrients leaching characteristic analysis: case study of the hongdong reservoir,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3, No. 2, pp. 95-104 (in Korean). 

  6. Ministry of Environment (2004), Standard methods, No. 2004-188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1205 p. 

  7. Mostaghimi, S., Park, S. W., Cooke, R. A. and Wang, S. Y. (1997), Assessment of management alternatives on a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Water Resource, Vol. 31, No. 8, pp. 1867-1878. 

  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Technical note of total maximum daily load, No. 11-1480523-001967-01 of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06 p (in Korean). 

  9. Rao, N. S., Easton, Z. M., Schneiderman, E. M., Zion, M. S., Lee, D. R. and Steenhuis, T. S. (2009), Modeling watershed-scale effectiveness of agricultural best management practices to reduce phosphorus load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90, No. 3, pp. 1385-1395. 

  10. Rast, W. and Lee, G. F. (1983), Nutrient loading estimates for lake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09, No. 2, pp. 502-517. 

  11. Todd, D. A., Bedient, P. B., Haasbeek, J. F. and Noel, J. (1989), Impact of land use and NPS loads on lake qua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15, No. 3, pp. 633-6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