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북지역 논 잡초 발생분포 조사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Gyeongbuk Province in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3 no.1, 2014년, pp.6 - 12  

김상국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과) ,  김학윤 (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조사는 2013년에 경북지역 13개 시 군의 320지점에서 논 잡초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경북지역의 논잡초 조사결과, 27개과(family) 51초종(species)이었고 과별로는 벼과(family) 9초종, 사초과(family) 5초종, 마디풀과(family) 4초종, 국화과(family) 4초종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 잡초종의 생활형태는 일년생잡초 34종, 다년생잡초 17종으로 대부분 일년생잡초였다. 경북지역의 우점잡초는 물달개비(10.80%) > 좀개구리밥(10.74%) > 가막사리(8.77%) > 강피(7.17%) > 올챙이고랭이(6.20%) > 올방개(6.13%) > 벗풀(5.85%) 순이었다. 물달개비, 좀개구리밥, 가막사리, 강피,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의 우점도는 전체 잡초종의 50%이상 차지하였고 TWINSPAN 분석을 통한 지역별 잡초종의 유사성은 여뀌바늘, 올챙이고랭이, 미국외풀, 마디풀, 뚝새풀에 의해 구분되어 추후 경북지역 논 잡초의 발생 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rvey of weed occurrence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 weed species in the paddy field. The 320 sites of the 13 regions in Gyeongbuk Province were investigated from June to July, 2013. In the whole region, 51 weed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34 annuals and 17 perennials. The highest 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10년 주기로 진행하는 전국 논잡초 정밀분포 조사의 일환으로 경상북도 13개 시·군에서 논 320지점을 선정하여 잡초의 발생 분포양상을 파악하여 효과적이면서 생력적인 잡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조사는 2013년에 경북지역 13개 시·군의 320지점에서 논 잡초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북지역의 우점잡초 순위를 설명하시오. 발생 잡초종의 생활형태는 일년생잡초 34종, 다년생잡초 17종으로 대부분 일년생잡초였다. 경북지역의 우점잡초는 물달개비(10.80%) > 좀개구리밥(10.74%) > 가막사리(8.77%) > 강피(7.17%) > 올챙이고랭이(6.20%) > 올방개(6.13%) > 벗풀(5.85%) 순이었다. 물달개비, 좀개구리밥, 가막사리, 강피,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의 우점도는 전체 잡초종의 50%이상 차지하였고 TWINSPAN 분석을 통한 지역별 잡초종의 유사성은 여뀌바늘, 올챙이고랭이, 미국외풀, 마디풀, 뚝새풀에 의해 구분되어 추후 경북지역 논 잡초의 발생 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문제 잡초종을 파악하고 국가 차원에서 잡초 방제 체계를 개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에는 이상기온으로 인해 제초제 사용과 함께 기후변화가 논 발생 잡초종의 변화에 새로운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강수량, 일사량 등의 변화는 식물의 생육 및 분포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인 잡초방제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작물을 재배하는 데 있어 잡초의 발생분포와 잡초종 변화를 미리 파악하여 제초제를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작물의 수량과 품질향상 및 노동력 절감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Hwang et al., 2013).
일년생 잡초 방제용 제초제 사용이 증가된 1981년 발생 잡초 비율은 어떠한가? 손제초에 의존하던 1970년대의 발생잡초의 비율을 보면 화본과 12%, 광엽잡초 50%, 방동사니과 19%, 기타 19%등으로 나타났으며, 일년생과 다년생 잡초의 분포 비율이 7:3으로 일년생 잡초의 분포 비율이 높았고, 마디꽃, 쇠털골,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피, 밭뚝외풀, 가래, 사마귀풀, 올방개 순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뷰타클로르입제와 같은 일년생 잡초 방제용 제초제의 사용이 증가된 1981년에는 화본과 7.4%, 광엽잡초 66.7%, 방동사니과 25.9%로 관찰되었고, 일년생과 다년생 잡초의 분포비율이 4.6:5.4로 오히려 다년생 잡초의 분포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초종별로는 물달개비, 올미, 가래, 벗풀, 너도방동사니, 마디꽃, 사마귀풀, 밭뚝외풀, 올방개, 여뀌바늘 순으로 우점하였고, 그 중에서 특히 올방개, 올미, 너도방동사니, 가래, 벗풀 등 다년생 잡초의 발생이 뚜렷하였다(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Springer, Wien-New York. p. 865. 

  2. Hill, M.O. 1973. Reciprocal averaging; an eigenvector method of ordination. J. ecology 61: 237-249. 

  3. Hwang, K.S., Won, O.J., Park, S.H., Eom, M.Y., Suh, S.J. et al. 2013.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Weed Turf. Sci. 2(4): 341-347. (In Korean) 

  4. Kim, C.S., Lee, J.R., Won, T.J., Seo, Y.H., Kim, E.J. et al. 2012. Fact-finding survey on occurrence of paddy field weed and the use of paddy field herbicide at farmer's level in Korea. Weed Turf. Sci. 2(1): 6-12. (In Korean) 

  5. Kim, D.S. and Park, S.H. 2009. Weed of Korea second edition revised and enlarged. Rije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s. Seoul, Korea. 

  6. Kim, K.U. and Shin, D.H. 2007. The principles of weed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ess. Daegu, Korea. pp. 80-81. 

  7.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8. Kim, S.C. 1983. Status of paddy weed flora and community dynamics in Korea. Korean J. Weed Sci. 3(2):223-245. (In Korean) 

  9. Lee, I.Y., Lee, H.K., Kim, C.S and Lee, J. 2012. Special lecture of weed and herbicide. Korean J. Weed Sci. 32(2):24-25. (In Korean) 

  10. Oh, Y.J., Ku, Y.C., Lee, J.H and Ham, Y.S. 1981.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paddy field in Korea. 1981. Korean J. Weed Sci. 1(1):21-29. (In Korean) 

  11. Park, J.E., Lee, I.Y., Moon, B.C., Kim, C.S., Park, T.S. et al. 2002.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lora in paddy rice field. Korean J. Weed Sci. 22(3):272-279. (In Korean) 

  12. Park, J.E., Lee, I.Y., Moon, B.C., Kim, C.S., Park, T.S. et al. 2001.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lora in paddy rice field. Korean J. Weed Sci. 21(4):327-334. (In Korean) 

  13. Park, K.H., Oh, Y.J., Ku, Y.C., Kim, H.D., Sa, J.K. et al. 1995. Changes of weed community in lowland rice field in Korea. Korean J. Weed Sci. 15(4):254-261. (In Korean) 

  14. Raunkiaer, C. 1937.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