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과 사회경제적 요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한국과 다른 OECD 국가들과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Other OECD Countri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icide and Socioeconomic Factor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1, 2014년, pp.45 - 56  

강은정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  이수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t the macro level and suicide mortality rate of Korea w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OECD countries. Methods: We created OECD panel data of 29 OECD countries from 1985 to 2006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살에 임박한 개인의 정신건강 상태가 자살에 가장 근접한 관련 요인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비정상적인 정신 상태에 이르게 하는 근본 요인은 사회경제적 환경 요인이라는 Durkeim (1951)의 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자살원인을 규명함에 있어서 사회경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살이 어떤 사회경제적 요인들과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고, 또한 우리나라에서의 자살과 사회경제적 요인들과의 관계가 우리나라를 제외한 다른 OECD 소속 국가들에서의 자살과 사회경제적 요인들과의 관계와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분석 하여 우리나라 자살예방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국가를 분석 단위로 자살 사망률과 관련된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OECD 국가들의 패널 자료 분석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본 연구는 성별, 연령별로 구분해서 비교하였다는데 차이가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살 원인이 OECD 다른 나라들과 어떤 점에서 다른지를 분석하고자 자살과 관련된 사회 경제적 요인들과 자살사망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기초 분석에서는 1인당 GDP, 경제성장률, 실업률, 여성 경제활동율, 출생률, 알코올 소비량, 65세 이상 인구 비율 등의 변수와 자살사망률과의 관련성을 이변량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과 관련된 개인적인 요인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자살과 관련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국가자살예방전략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핵심요소들 가운데 하나이다(World Health Orgnization [WHO], 2012). 지금까지 밝혀진 자살과 관련된 개인적인 요인에는 과거의 자살시도, 정신장애, 알코올 사용장애, 무망감, 고립감, 사회적 지지의 결여, 학대의 경험, 급성 정서적 문제, 만성통증을 포함한 만성질환 등의 요인이 포함된다(WHO, 2012). 기타 환경적 요인으로는 정신적 질환에 대한 오명, 정신건강 및 약물중독 서비스에 대한 접근 제한, 언론 등을 통한 자살행동에 대한 노출, 치명적 자살수단에 대한 접근성과 같이 자살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회문적 요인들과 함께 개인 및 거시적 수준에서의 사회경제적인 요인들이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살이란 무엇인가? 자살은 어떠한 수단과 방법으로 행위자가 자신의 죽음을 초래할 의도를 가지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를 말한다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9). 2011년 자살사망자는 전년 대비 2.
알코올이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알코올이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은 두 가지로 설명된다. 첫째는 급취 (acute intoxication)로서 알코올 소비에 따라 심리적인 스트레스와 충동적 행동이 강화되고 반면에 자기 통제력은 약화됨으로써 자살 경향을 촉발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알코올의 장기적인 사용으로 말미암아 정신건강 문제와 사회와의 분리와 같은 자살을 조장하는 요인들을 초래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Landberg,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dreasson, S., Romelsjo, A., & Allebeck, P. (1991). Alcohol, social factors and mortality among young men.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6, 877-887. 

  2. Akechi, T., Iwasaki, M., Uchitomi, Y., & Tsugane, S. (2006). Alcohol consumption and suicide among middle-aged men in Japan.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8, 231-236. 

  3. Burr, J. A., McCall, P., & Powell-Griner, E. (1994). Catholic religion, divorce and suicide: The mediating effect of divorce. Social Science Quarterly, 75, 300-318. 

  4. Chen, J., Choi, Y. J., & Sawada, Y. (2009). How is suicide different in Japan? Japan and the World Economy, 21, 140-150. 

  5. Durkeim, E. (1951). Suicide: A study in sociology. New York, NY: Free Press. 

  6. Gibbs, J. P., & Martin, W. T. (1964). Status integration and suicide: A sociological study. Eugene, OR: University of Oregon. 

  7. Kim, HS. (2002).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1), 159-172. 

  8. Klatsky, A. L., & Armstrong, M. A. (1993). Alcohol use, other traits, and risk of unnatural death: A prospective study.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7, 1156-1162. 

  9. Koo, J., & Cox, W. M. (2008). An economic interpretation of suicide cycles in Japan. Contemporary Economic Policy, 26(1), 162-174. 

  10. Landberg, J. (2009). Per capita alcohol consumption and suicide rates in the US, 950-2002.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s, 34(4), 453-459. 

  11. Lester, D. (1993). Testing Durkheim's theory of suicide in nineteenth- and twentieth-century Europe.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Clinical Neuroscience, 243, 54-55. 

  12. Lin, S-J. (2006). Unemployment and suicide: Panel data analysis. The Social Science Journal, 43, 727-732. 

  13. Merton, R. (1957).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Glencoe, IL: Free Press. 

  14. Morrell, S.. Taylor, R., Quine, S., & Kerr, C. (1993). Suicide and unemployment in Australia 1907-1990.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6, 749-756. 

  15.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9). 2008 Statistics of Death Causes. Daejeon, Korea: Author. 

  16.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2). 2011 Statistics of Death Causes. Daejeon, Korea: Author. 

  17. Noh, Y. H. (2006). Economic analysis of suicide: An approach using Korean Si-Do panel data. Economic Research, 54(3), 177-200. 

  18. Noh, Y. H. (2009). Does unemployment increase suicide rates? The OECD panel evidence.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30, 575-582. 

  19. Pearson, J. L., & Conwell, Y. (1995). Suicide in late-lif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research.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7, 131-136. 

  20. Platt, S. (1984). Unemployment and suicidal behaviour: a review of the literatur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 93-115. 

  21. Ross, R. K., Bernstein, L., Trent, L., Henderson, B. E., & Paganini-Hill, A. (1990). A prospective study of risk factors for traumatic deaths in a retirement community. Preventive Medicine, 19, 323-334. 

  22. Skog, O. J. (1985). The collectivity of drinking cultures. A theory of the distribution of alcohol consumption.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0, 83-99. 

  23. Stack, S. (2000). Suicide: A 15-year review of the sociological literature, part ii: Modern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0, 163-176. 

  24. StataCorp. (2009). Stata Statistical Software: Release 11. College Station, TX: StataCorp LP. 

  25. Suh, D. W. (2003). Current status of suicide in Korea and the role of Mental Health Center. Paper presented at the Second Workshop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 Workers, Seoul, Korea. 

  26. Varnik, A., Wasserman, D., & Eklund, G. (1994). Suicides in the Baltic countries. Scandinavian Journal of Social Medicine, 22, 166-169. 

  27. Weyerer, S., & Wiedenmann, A. (1995). Economic factors and the rate of suicide in Germany between 1881 and 1989. Psychological Report, 76, 1331-1341. 

  28. Wiedenmann, A., & Weyerer, S. (1994). Testing Durkheim's theory of suicide: Additional results from Germany.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Clinical Neuroscience, 244, 284-286.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Public Health Action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 Framework.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nization. 

  30. Wu, W-C., & Cheng, H-P. (2010). Symmetric mortality and asymmetric suicide cycles. Social Science & Medicine, 70, 1974-1981. 

  31. Yoo, G. Y., & Noh, Y. H. (2007).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suicide using national-level panel data. Korea Economic Research, 18, 59-78. 

  32. Zhang, J., Ma, J., Jia, C., Sun, J., Guo, X., Xu, A., & Li, W. (2010). Economic growth and suicide rate changes: A case in China from 1982 to 2005. European Psychiatry, 25, 159-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