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ulti-MW급 풍력발전용 블레이드 설계에 관한 연구 Part II : 구조 건전성 평가
Multi-MW Class Wind Turbine Blade Design Part II : Structural Integrity Evaluation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B, v.38 no.4 = no.343, 2014년, pp.311 - 320  

김범석 ((사)한국선급 신재생에너지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풍력터빈 블레이드는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써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성능, 에너지변환효율, 하중 및 동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요부품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최적의 블레이드 설계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스템 특성이 고려된 공력-구조 통합설계가 중요하며, 국제표준 또는 인증기관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설계평가를 통해 구조건전성의 검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블레이드 설계 인증 시 요구되는 평가항목 및 판정기준에 대한 상세해설과, (사)한국선급의 인증기준에 따른 2 MW 급 블레이드(KR40.1b)에 대한 설계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에 의한 극한 강도, 좌굴 안정성, 한계 허용 팁 변형과 누적 손상 법에 의한 피로 강도 해석결과가 검토되었으며, KR40.1b 블레이드는 모든 평가항목에 대한 구조 건전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tor blades are important devices that affect the power performance, efficiency of energy conversion, and loading and dynamic stability of wind turbines. Therefo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wind turbine system is important for achieving optimal blade design. When a design is complet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선행된 2 MW 급 블레이드(KR40.1b) 공력-구조 최적설계 및 시스템 통합 하중해석 결과를 적용한 블레이드 구조 건전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Multi-MW 급 풍력발전용 블레이드 공력-구조 통합설계(KR40.1b) 및 시스템 통합하중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인증기관(한국선급)의 기술기준에 따른 구조건전성평가를 수행 하였다. 구조건전성 평가를 위해 극한 및 피로강도 해석, 좌굴 안정성 해석, 팁 변형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판정기준을 모두 만족함에 따라 KR 40.
  • 코어 파손은 면 외 방향 전단하중에 의해 코어가 파손되는 것을 말하며, 면재의 주름은 압축하중에 의해 면재가 국부적으로 좌굴되는 현상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샌드위치 구조물의 코어 파손과 면재 주름 파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적의 블레이드 설계결과를 위해 중요한 것은? 풍력터빈 블레이드는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써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성능, 에너지변환효율, 하중 및 동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요부품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최적의 블레이드 설계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스템 특성이 고려된 공력-구조 통합설계가 중요하며, 국제표준 또는 인증기관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설계평가를 통해 구조건전성의 검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블레이드 설계 인증 시 요구되는 평가항목 및 판정기준에 대한 상세해설과, (사)한국선급의 인증기준에 따른 2 MW 급 블레이드(KR40.
풍력터빈 블레이드란? 풍력터빈 블레이드는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써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성능, 에너지변환효율, 하중 및 동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요부품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최적의 블레이드 설계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스템 특성이 고려된 공력-구조 통합설계가 중요하며, 국제표준 또는 인증기관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설계평가를 통해 구조건전성의 검증이 요구된다.
팁-타워 간섭 평가항목에 대한 안전여유가 낮은 블레이드는 다른 항목의 구조 건전성을 만족하기 어려운데 따라서 효율적 블레이드 설계를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가? 경험적으로 팁-타워 간섭 평가항목에 대한 안전여유가 낮은 블레이드는 다른 항목의 구조 건전성을 만족하기 어렵다. 따라서 효율적인 블레이드 설계를 위해서는 빔 이론(Beam Theory)에 의한 팁 변형 평가를 수행하고 적합성 여부를 우선 판정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im, B. S., Kim, W. J., Lee, S. L., Bae, S. Y. and Lee, Y. H., 2013,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Performance Based Optimal Design Software for Wind Turbine Blades," Renewable Energy, 54, pp. 166-172. 

  2. Lee, S. H., Cho, K. S. and Park, J. S., 2009, "Structural Analysis and Verification Test of 3 MW Wind Turbine Blade," KWEA Autumn Conference. 

  3. Gurit, 2012, Product catalogue. 

  4. Korean Register of Shipping, 2008, Technical Guidelines for Wind Turbines. 

  5.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05, IEC 61400-1 Wind turbines - Part1 : Design requirements, 3rd edition. 

  6. Puck, A. and Schurmann, H., 1998, "Failure Analysis of FRP Laminates by means of Physically based Phenomenological Model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58, pp. 1045-1067. 

  7. Korean Register of Shipping, 2008, Technical Guidelines for Wind Turbines, pp.127-128. 

  8. Korean Register of Shipping, 2008, Technical Guidelines for Wind Turbines, pp.104-114. 

  9. Mahmood M., Shokrieh and Roham R., 2006, "Simulation of Fatigue Failure in a Full Composite Wind Turbine Blade," Composite Structures, 74, pp. 334-339. 

  10. Herbert, J. S. and John, F. M., 2005, "Optimized Goodman Diagram for the Analysis of Fiberglass Composites used in Wind Turbine Blades," AIAA-2005-0196. 

  11. Det Norske Veritas (DNV), 2010, Design and Manufacturing of Wind Turbine Blades-offshore and onshore Wind Turbines, DNV-DS-J102, pp.66-7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