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융합을 통한 기술혁신으로 경제적 성과와 고용창출 성과를 제고시키려는 정부차원의 노력이 도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융합이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지, 산업융합의 효과가 전산업에 어느 정도 파급되고 있는지, 산업융합 유발효과가 가장 큰 산업은 무엇인지에 대한 정량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융합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산업별 산업융합 비중), 전산업에 어느 정도의 파급효과를 내었는지(산업별 파급효과), 특정산업을 진흥할 때 산업융합 유발효과가 어느 정도인지(산업별 산업융합 유발효과)를 특허인용관계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산업융합 여부는 국제특허분류-산업연관분류 연계표 및 특허의 인용관계를 활용하여 판단하였다. 산업융합 즉, 산업간 기술융합(예: 전자기기부분품-자동차)이 전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특허인용정보를 활용한 산업융합연관표를 작성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산업융합이 전산업에 끼친 파급효과와 특정 산업을 진흥시켰을 때 나타나는 산업융합 유발효과를 예측하여 보았다. 산출결과의 정확도와 의미는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나 산업별 산업융합의 진행 정도, 파급효과 및 유발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산업융합연관표를 작성하여 처음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산업융합을 통한 기술혁신으로 경제적 성과와 고용창출 성과를 제고시키려는 정부차원의 노력이 도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융합이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지, 산업융합의 효과가 전산업에 어느 정도 파급되고 있는지, 산업융합 유발효과가 가장 큰 산업은 무엇인지에 대한 정량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융합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산업별 산업융합 비중), 전산업에 어느 정도의 파급효과를 내었는지(산업별 파급효과), 특정산업을 진흥할 때 산업융합 유발효과가 어느 정도인지(산업별 산업융합 유발효과)를 특허인용관계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산업융합 여부는 국제특허분류-산업연관분류 연계표 및 특허의 인용관계를 활용하여 판단하였다. 산업융합 즉, 산업간 기술융합(예: 전자기기부분품-자동차)이 전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특허인용정보를 활용한 산업융합연관표를 작성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산업융합이 전산업에 끼친 파급효과와 특정 산업을 진흥시켰을 때 나타나는 산업융합 유발효과를 예측하여 보았다. 산출결과의 정확도와 의미는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나 산업별 산업융합의 진행 정도, 파급효과 및 유발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산업융합연관표를 작성하여 처음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Recent efforts of government to improve economic performance and increase employment through industrial convergence are being promoted actively. However, unfortunately, we have little of quantitative study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rate of industrial convergence progressed?, and (2...
Recent efforts of government to improve economic performance and increase employment through industrial convergence are being promoted actively. However, unfortunately, we have little of quantitative study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rate of industrial convergence progressed?, and (2) what is the rate of total effects of industrial convergence spreaded?, and (3) which is the No. 1 industry in the magnitude of inductive effect of industrial convergence? In this study, we have measur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the following questions using patent citation; (1) how is industrial convergence progressed?, and (2) how much has industrial convergence a effect on all industry?, and (3) what is the rate of the inductive effect of industrial convergence? In doing so, decision about industrial convergence has been made using patent citation and the effect of industrial convergence is drawn from convergence I/O table which made by patent citation.
Recent efforts of government to improve economic performance and increase employment through industrial convergence are being promoted actively. However, unfortunately, we have little of quantitative study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rate of industrial convergence progressed?, and (2) what is the rate of total effects of industrial convergence spreaded?, and (3) which is the No. 1 industry in the magnitude of inductive effect of industrial convergence? In this study, we have measur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the following questions using patent citation; (1) how is industrial convergence progressed?, and (2) how much has industrial convergence a effect on all industry?, and (3) what is the rate of the inductive effect of industrial convergence? In doing so, decision about industrial convergence has been made using patent citation and the effect of industrial convergence is drawn from convergence I/O table which made by patent cit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를 통하여 산업융합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전산업에 어느 정도의 파급효과를 나타내었는지, 산업융합 유발효과는 어떻게 될지를 특허정보 및 산업융합연관표를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방법론과 산출결과의 정확도 및 의미는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나 산업융합이 전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개별산업을 진흥시켰을 때 나타나는 산업융합 유발 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산업융합연관표는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 중분류에 맞추어 작성하였기 때문에, 향후 산업연관표와 연계하여 분석하면 산업간 기술융합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고용창출 효과 등의 연구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안 방법
(2012)). 본 연구에서는 특허인용관계를 활용하여 산업융합연관표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융합 정도, 산업별 파급효과, 산업융합 유발 효과의 정량적 측정을 시도하였다.
78개 산업에 해당하는 IPC 서브클래스는 지식재산연구원(2009)의 부록에 제공한 "IPC 코드-산업연관분류 코드 연계표"를 활용하고 이 당시 반영되지 않은 최근 IPC 코드에 대해서는 특허청에서 지속적으로 갱신하여 발표하고 있는 “산업부문별 특허분류표”를 참조하여 수정․보완하였다.
(2012)도 특허의 인용관계를 통해 융합을 측정하지만 융합측정의 수준은 IPC클래스 보다는 세분화된 미국 특허분류를 사용하고 IT 및 BT 일부 기술에 한정하여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재산연구원의 IPC코드-산업연관분류 코드 자료를 보완․활용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연구개요에 설명하였고, 산업연관표의 응용을 산업융합으로 확장하여 산업융합의 정도, 파급효과, 유발효과 연구에 적용하였다.
<표 4>는 해당 특허분류에서 메인그룹 및 서브그룹 정보를 제거하여 동일한 IPC 서브클래스를 갖는 특허 정보를 통합하는 작업을 예로 보여주고 있다. 인용특허의 경우 특허번호의 정보만을 주기 때문에 인용특허의 특허번호를 이용하여 특허분류를 찾은 다음 인용_IPC의 서브클래스 통합을 시행하였다.
중간에 “-”코드가 있는 것이 산업간 융합이 있는 것이며, 일련번호 15번을 예로 설명하면, 43-44, 44-44, 43-62, 44-62, 43-63, 44-63 등 6개의 조합이 가능하며 44-44 조합은 비융합으로 나머지 5개는 융합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작성한 MakeIO_Table() 함수를 사용하였으며, 총 9,446건의 특허를 인용 및 피인용 관계를 이용하여 조합가능한 모든 산업융합유형 수(3,081가지)×전체 산업분류 수(78개)로 처리한 후 산업융합 유형별로 정리한 것이다.
<표 8>은 산업융합 전체와 전산업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별 산업융합연관표를 종합하여 작성한 통합 산업융합 연관표 중 일부를 예시한 것이다. 투입구조(표측)의 3,081개 산업융합유형을 78산업으로 축약하되 융합부문과 비융합부문으로 구분하여 산업융합의 파급효과 및 유발효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다.
대상 데이터
지식재산연구원(2010)은 산업연관표를 응용한 산업간 지식재산연관표를 작성하고 분석함으로써 지식의 산업간 연관관계 및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지식의 파급효과를 측정한 바 있다. 분석용 데이터는 2005년 기준 78개 산업분류별 산업연관표와 85~05년 한국의 보유특허 및 인용가중치를 적용한 보유특허를 사용하였다. 또한, J.
연구에 사용한 데이터는 특허인용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미국특허청(USPTO)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대상 특허는 출원년도가 2008년이고 출원인 국적이 한국인 경우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데이터는 특허인용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미국특허청(USPTO)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대상 특허는 출원년도가 2008년이고 출원인 국적이 한국인 경우로 하였다. 특허 자료수집는 FOCUST 웹서비스3)를 이용하였다.
성능/효과
먼저, 산업융합이 어느 정도 전개되고 있는지를 특허 인용관계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2008년의 경우, 42.7%가 산업융합에 의한 특허였으며 57.3%는 비융합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전자기기부분품 산업(43번, 36.
다음으로 산업융합의 산업별 파급효과를 측정한 결과, 영상, 음향 및 통신기기 산업(44)은 산업융합 효과에 의해 전체 특허의 8.8%가 생산되어 가장 높은 산업융합 효과를 보고 있으며, 그 다음은 전자기기부분품 산업(43)으로 7.8%였다. 반면 자동차 산업(48)은 0.
마지막으로 특정산업을 진흥시켰을 때 산업융합이 어느 정도 나타나는지 산업융합 유발 효과를 예측하여 본 결과, 전자기기부분품 산업(43) 특허가 1건 증가하였을 때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직간접적으로 동산업과 융합된 전산업에서 총 1.88건의 특허가 유발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동산업 자체 분을 제외하면 순수 유발효과는 0.34건 정도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연구결과 산업별로 융합 정도가 큰 차이를 보였고, 산업융합 전체에 의해 받는 파급효과도 차이가 났으며, 산업간 융합이 전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다를 뿐 아니라 유발효과도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산업융합 정책 수립시 일괄적인 적용이 아닌 산업간 차이를 고려한 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융합유형을 산업별로 종합하여 유발효과를 본 결과, 석유제품(23) 산업이 2.8건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업융합이 전산업에 끼치는 파급효과는 특수목적용 기계(41)가 5.2건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후속연구
연구결과 산업별로 융합 정도가 큰 차이를 보였고, 산업융합 전체에 의해 받는 파급효과도 차이가 났으며, 산업간 융합이 전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다를 뿐 아니라 유발효과도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산업융합 정책 수립시 일괄적인 적용이 아닌 산업간 차이를 고려한 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방법론과 산출결과의 정확도 및 의미는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나 산업융합이 전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개별산업을 진흥시켰을 때 나타나는 산업융합 유발 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산업융합연관표는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 중분류에 맞추어 작성하였기 때문에, 향후 산업연관표와 연계하여 분석하면 산업간 기술융합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고용창출 효과 등의 연구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허 데이터의 특징은?
특허 데이터는 기술의 연관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특허 인용정보를 활용하면 기술의 연관 관계를 통해 산업융합 현상을 측정할 수 있다(지식재산연구원(2010), J. Kim et al.
특허정보 및 산업융합연관표를 활용하여 산업융합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전산업에 어느 정도의 파급효과를 나타내었는지, 산업융합 유발효과는 어떻게 될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결과 산업별로 융합 정도가 큰 차이를 보였고, 산업융합 전체에 의해 받는 파급효과도 차이가 났으며, 산업간 융합이 전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다를 뿐 아니라 유발효과도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산업융합 정책 수립시 일괄적인 적용이 아닌 산업간 차이를 고려한 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허인용정보를 활용한 지식의 파급효과 및 산업간 기술융합 현상 분석 등 다양한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는 이유는?
특허인용정보를 활용하면 기술간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지식의 파급효과 및 산업간 기술융합 현상 분석 등 다양한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다. 이원영 외(2004)는 특허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산업간 연계구조를 분석하였으며, 고병렬 외(2005)는 기술-산업의 연계구조와 특허 분석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