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폐기물, 생활폐기물의 용출특성 분석과 BMP test를 통한 최종메탄(CH4) 및 황화수소(H2S) 수율 산정
Estimation of Ultimate Methane and Hydrogen Sulfide Yields for C&D Waste and MSW Using BMP Test 원문보기

신재생에너지 = New & Renewable Energy, v.10 no.1, 2014년, pp.30 - 40  

정석영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정성엽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장순웅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ffer information about incoming waste in landfill and to evaluate biochemical methane and hydrogen sulfide potentials of landfill wastes. We examined brick, soil, mixed waste (C&D waste and MSW) samples for the study. The leaching experiments showed that BOD,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벽돌, 토사와 혼합폐기물로 조성된 건설폐기물, 생활폐기물을 대상으로 유기물과 Sulfate 함유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용출시험법 연속용출을 실시하였다. 또한, 산분해법(Digestion)을 통하여 Sulfate의 전함량 값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용출실험을 진행한 조건은 무엇인가? 대상 폐기물의 Sulfate 함유량과 분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용출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유기물의 경우 미생물 기질로 사용되는 양과 유출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속 용출을 적용하였다. 유기물의 경우 BOD5와 CODcr를 분석하였다. 용출시험은 국내 용출시험법 폐기물공정시험 기준(2011.01) 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험에 상용하는 폐기물을 100g으로 시료:용매=1:10(W:V)의 비로 2,000mL 삼각플라스크에 넣어 혼합하였다. 사용한 용매는 정제수에 염산 0.01N로 pH를 5.8~6.3가 되도록 하였다. 이후, 상온/상압 조건일 때, 200rpm(진폭4~5cm)의 진탕기를 사용하여 6시간 연속 진탕한 다음 1.0㎛의 유리섬유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적당량 취하여 분석하였다. 폐기 물은 진탕한 다음 크기 53㎛의 체를 이용하여 폐기물과 용출 액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폐기물은 용매를 재주입하여 연속 진탕을 실시하였다. 연속 진탕 기간의 경우 국내 용출시험법 6시간 연속 진탕한 폐기물을 재주입하여 140일간 연속 용출실험을 2회 이상 실시하여 평균값으로 표현하였다.
매립가스의 주요성분은 무엇인가? 매립가스의 주요성분은 이산화탄소(CO2)와 메탄(CH4)이며, 30~40%와 50~65%의 조성으로 나타난다(Zhang 등, 2013).(2) 천연가스에서 메탄은 최소 93%(3) 인 것을 고려할 때, 매립가스의 메탄은 가스의 발열량을 증대하기 위하여 정제공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바이오가스 자원화 사업이 시작된 것은 언제인가? 우리나라는 2000년대부터 매립가스를 중심으로 바이오가스 자원화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전국 222개소의 매립지 중 16개소에서 매립가스 자원화 사업이 실시되고 있다.(1) 매립 가스는 지역난방과 같이 연료로 활용되기도 하며, 대부분 발전시설로 전국적에서 약 73MW의 전력이 매립가스 자원화시설에서 생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The Korea Department of Environment, 2012, "2011 The national waste generation and disposal statu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Environmental information library (http://library.nier.go.kr). 

  2. Yu, M., Gong, H., Chen, Z., Zang, M., 2013,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for siloxanes",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Vol. 1, No. 4, pp. 1182-1187. 

  3.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EPRI), 2006, "Assessment of fuel gas cleanup systems for waste gas fueled power generation", http://www.epri.com/abstracts/Pages/ProductAbstract.aspx?ProductId000000000001012763 (2013.11.27.). 

  4.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 (OSHA), "Safety and Health Topics Hydrogen Sulfide Hazards", https://www.osha.gov/SLTC/hydrogensulfide/hazards.html (2013.11.27). 

  5. Lee S., Xu Q., Booth M., Townsend T.G., Chadik P., Bitton G., 2006, "Reduced sulfur compounds in gas from construction and demolition debris landfills", Waste Management, vol. 26, No. 5, pp. 526-533. 

  6. Son O.S., Kim J.C., Kim K.J., Park K.N., Kim K.H., Lim B.A., Kim S.Y., Lee O.K., 2007, "The Analysis of Odor Compounds Emitted From Landfill Site",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Excerpt Collection of Congress & Exhibition, pp. 151-154. 

  7. Plaza C., Xu Q., Townsend T., Bitton G., Booth M., 2007, "Evaluation of alternative landfill cover soils for attenuating hydrogen sulfide from construction and demolition (C&D) debris landfill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84, No. 3, pp. 314-322. 

  8. Postagate, J.R., 1984, "The Sulphate Reducing Bacterial, 2nd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9. Hao J.O., Jin M.C., Li H., 1996, "Sulfate reducing bacterial, Critical Review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26, No. 1, pp. 155-187. 

  10. Xu Q., Townsend T., Bitton G., 2011, "Inhibition of hydrogen sulfide generation from disposed gypsum drywall using chemical inhibitor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191, No. 1-3, pp. 204-211. 

  11. Nielsen P.H., Bio-film dynamics and kinetics during high-rate sulfate reduction under anaerobic conditions, 1987,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vol(53), issue(1), pp. 27-32. 

  12. Ren N.Q., Chua H., Chan S.Y., Tsang Y.F., Sin N., 2007, "Effects of $COD/SO_4^{2-}$ Ratios on anacidogenic Sulfate-Reducing Reactor",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vol. 46, No. 6, pp. 1661-1666. 

  13. Li Y.Y., Fang H.H.P., Interactions between methanogenic, 1996, "Sulfate-reducing and syntrophic acetogenic bacteria in the anaerobic degradation of benzoate", Water Research, vol. 30, No. 7, pp. 1555-1562. 

  14. Bhattacharya S. K., Uberoi V., Dronamraju M. M., 1996, "Interaction between acetate fed sulfate reducers and methanogens", Elsevier Science, Vol. 30, No.10, pp. 2239-2246. 

  15. Tchobanoglous, G., Theisen, H., and Vigil, S. A., 1993, "Integrated Solid Waste Management: Engineering Principles and Management Issues", Mc-Graw Hill, pp. 381-417. 

  16. Owen W. F., Stuckey D. C., Healy J. B., Jr. Young L. Y., McCarty P. L., 1979, "Bioassay for monitoring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and anaerobic toxicity", Water Research, Vol. 13, No. 7, pp. 485-492. 

  17. Song J.H., Kim S.G., Lee J.K., Go T.H., Lee T.Y., 2010, "Estimation of Ultimate Methane Yields and Biodegradability from Urban Stream Sediments Using BMP Test", Korean Geo Environmental Society, Vol. 11, No. 2, pp. 33-42. 

  18. Son S.H., 2004, "Applicability of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as a stabilization assessment index of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s", Master's thesis, Anyang University, pp. 4-6. 

  19. Trankler J.O.V, Walker I, Dohmann M., 1996, "Environmental impact of demolition waste an overview on 10 years of research and experience", Waste Management, Vol. 16, No. 1-3, pp. 21-26. 

  20. Jang Y. C., Timothy Townsend, 2001, "Sulfate leaching from recovered construction and demolition debris fines",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vol. 5, No. 3, pp. 203-217. 

  21.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 1997, "Efficiency survey of the landfill gas processing facility installation", pp. 35-116. 

  22.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 2004, Report on potential gas production of waste, pp. 130-131. 

  23. Owens, J. M., Chynoweth, D. P., 1993,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components", Water Science & Technology, Vol(27), issue(2), pp.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