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T 탐사자료를 이용한 제주도 지역의 전도성 퇴적층 분포 연구
Distribu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Sedimentary Layer in Jeju Island Derived from Magnetotelluric Measurements 원문보기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17 no.1, 2014년, pp.28 - 33  

이춘기 (극지연구소) ,  이희순 ((주)지오룩스) ,  오석훈 (강원대학교) ,  정호준 ((주)휴먼앤어스) ,  송윤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이태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제주도 서부 중산간(해발고도 400 ~ 900 m) 지역에서 획득된 자기지전류(MT) 탐사자료와 제주도 중산간 전역에서 획득되었던 기존 MT 탐사 자료의 1차원 역산을 통하여 서귀포층과 U층으로 대표되는 퇴적층에 해당하는 저비 저항층의 분포형태를 살펴보았다. 저비저항층의 상부경계는 제주도 표고와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하부경계는 표고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즉, 저비저항층은 제주도 중앙부에서 두꺼운 렌즈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그 하부의 기반암은 중앙부에서 오목한 형태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표고와의 상관성을 고려하는 크리깅을 수행하여 제주도의 지전기 구조 모델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한라산의 화도를 따라 3차원 형태의 저비저항 이상체가 존재할 가능성과 시추공 자료와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3차원 모델링과 다른 지구물리탐사나 물리검층 자료와의 복합해석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ighly conductive layer using the one-dimensional inversions of the new magnetotelluric (MT) measurements obtained at the mid-mountain (400 ~ 900 m in elevation) western area of Jeju Island and the previous MT data over Jeju Island, Korea. The conductive 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전도도가 비슷한 특징을 보이는 U층과 서귀포층을 합친 전도성 퇴적층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U층과 서귀포층을 포함한 전도성 퇴적층의 분포는 제주도 기반암의 형태를 직접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수의 해침 등 수리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 정보정을 수행한 역산 파라미터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 보기 위하여 제주도의 지형과 역산 파라미터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제주도 기반암 위에 위치한 퇴적층의 형상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첫번째 층과 두번째 층의 파라미터들과 표고(E1)와의 상관관계를 Fig. 4에 도시하였다. 역산으로부터 얻어진 깊이(D1과 D2)와 표고(E1)를 이용하여 실제 경계면의 해발고도(각각 E2=E1-D1, E3=E1-D2) 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획득되었던 기존 MT 탐사자료와 최근 새롭게 얻어진 MT 탐사자료로부터 1차원 역산을 통하여 제주도 하부 퇴적층의 형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귀포층과 U층이 주를 이루는 퇴적층에 해당하는 저비저항층의 상부경계는 표고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분포하고 있다.
  • 그러나, 제주도는 면적이 매우 넓은 섬이어서 많은 측점의 분포에도 불구하고, 제주도의 층상구조를 명확히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제주도 서부는 비교적 많은 MT 측점이 분포하여 자세한 심부구조 연구에 효과적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서부의 중산간 지역에 집중적으로 MT 탐사를 수행하고, 기존의 제주도 MT 자료를 함께 이용하여 제주도의 층상구조를 자세히 밝히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제주도 하부 기반암까지의 지하 층서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각 측점에서 1차원 지하구조를 가정하고 역산을 통하여 지하 모델을 도출하였다(Weaver and Agarwal, 1993). MT 탐사자료에서 주된 전기적 특성을 보이는 서귀포층과 U층으로 대표되는 퇴적층은 경사가 매우 완만한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다(Koh, 199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제주도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화산섬으로 많은 지질학적, 지구물리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곳이다. 제주도의 저지대에서는 지하수 개발 시추공의 시추코아에 대한 지질 검층을 통해 서귀포층의 분포 상태가 파악되었으며 몇몇의 온천탐사 심부시추공의 시추코아로부터 U층의 깊이와 두께가 산출되었다 (Koh, 1997).
제주도의 저지대에서 확인한 것은 무엇인가? 제주도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화산섬으로 많은 지질학적, 지구물리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곳이다. 제주도의 저지대에서는 지하수 개발 시추공의 시추코아에 대한 지질 검층을 통해 서귀포층의 분포 상태가 파악되었으며 몇몇의 온천탐사 심부시추공의 시추코아로부터 U층의 깊이와 두께가 산출되었다 (Koh, 1997). 2000년대에 들어서는 시행된 해수 침투 감시 심부 관측정의 설치에 따라 서귀포층의 분포가 보다 명확히 알려지게 되었다(Koh et al.
본 논문에서 알아낸 1차원 전도층의 분포 형태는 어떤 해석이 가능한가? 이러한 1차원 전도층의 분포 형태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 U층과 서귀포층이 퇴적되기전 고제주화산암체의 함몰로 생성된 퇴적 분지의 형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제주도중앙부의 기반암내의 화도(vent) 부근을 따라 전도성 이상체가 존재할 경우 전도성 이상체의 3차원 효과에 의해 이와 같은 1 차원 역산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Fig.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rdichevsky, M. N., Vanyan, L. L., and Dmitriev, V. I., 1989, Methods used in the U.S.S.R to reduce near-surface inhomogeneity effects on deep magnetotelluric sounding, Phys. Earth Planet. Inter., 53, 194-206. 

  2. Cleveland, and William, S., 1979, Robust Locally Weighted Regression and Smoothing Scatterplot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4, 829-836. 

  3. Goovaert, P. 1997, Geostatistics for Natural Resources Evaluation, Applied Geostatistics Series. xiv +, New York, Oxford. 

  4. Jones, A., 1988, Static shift of magnetotelluric data and its removal in a sedimentary basin environment, Geophysics, 53, 967-978. 

  5. Koh, G. W., 1997,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and hydrogeologic implications of the Seoguipo Formation in Cheju Island, Ph. 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325p. 

  6. Koh, G. W., Park, J. B., Kang, B. R., Kim, G. P., and Moon, D. C., 2013, Volcanism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9, 209-230. 

  7. Kwon, B.D., Lee, H., Jung, G., and Jung, S., 1995, Investigation of subsurface structure of Cheju Island by gravity and magnetic methods, Econ. Environ. Geol., 28, 395-404. 

  8. Lee, H., 1994, Geophysical study of subsurface structure of Cheju Island,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72p. 

  9. Lee, T. J., Lee, S. K., Lee, C. K., Park, I. H., Song, Y., and Uchida, T., 2008, Two-dimensional Magnetotelluric Surveys for investigating possible deep geothermal regime in the midmoutain area of Jeju Island, The Korean Society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45, 315-325. 

  10. Lee, T. J., Nam, M. J., Lee, S. K., Song, Y., and Uchida, T., 2009. The Jeju dataset: Three-dimensional interpretation of MT data from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Korea. J. Appl. Geophys., 68, 171-181. 

  11. Likelybrooks, D. W., 1986. Modeling earth resistivity structure for MT data: A comparison of rotationally invariant and conventional earth response functions (abstact), EOS Trans. AGU, 67, 918. 

  12. Nam, M. J., Kim, H. J., Song, Y., Lee, T. J., and Suh, J. H., 2009, Three-dimensional topographic and bathymetric effects on magnetotelluric responses in Jeju Island, Korea, Geophys. J. Int., 176, 457-466. 

  13. Oh, J., Yi, S., Yoon, S., Koh, G. W., Yun, H., and Lee, J. D., 2000, Subsurface stratigraphy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6, 181-194. 

  14. Weaver, J. T., and Agarwal, A. K., 1993, Automatic 1-D inversion of magnetotelluric data by the method of modeling, Geophys. J. Int., 112, 115-123. 

  15. Yang, J., Min, D. J., and Yoo, H. S., 2010. Sea effect correction in magnetotelluric (MT) data and its application to MT soundings carried out in Jeju Island, Korea, Geophys. J. Int., 182, 727-740. 

  16. Yang, J., Lee, C. K., Min, D., Lee, H., and Lee, T. J., 2012, 1-D crustal resistivity structure revealed by sea effect corrected magnetotelluric (MT) data obtained at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Applied Geophysics, 76, 92-1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