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의 전문적 치료 현황
A Practice Pattern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5 no.1, 2014년, pp.6 - 13  

정경희 (계요의료재단 계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안동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정유 (마음과 마음 정신과의원) ,  김현정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  방양원 (계요의료재단 계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areer paths and practice pattern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in South Korea. Methods : A survey on demographic data, work environment, opinion on fellowship training program, and current practice patterns was conducted in 76/223 (34.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가 배출된 이후 진료 형태 및 유형, 비의사와 치료적 관계, 그리고 소아청소 년 수련 현황과 당면과제에 대하여 최초로 시행된 것이다.
  • 우리나라의 소아청소년정신과가 양적으로 질적으로 많은 발달을 해왔으나 그동안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의 인력, 진 료 현황, 소아청소년정신과 수련에 대한 의견을 조명하는 체 계적 조사가 없었다. 이 연구는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 인구 의 특성, 진료양식, 현재 일자리를 선택하게 한 우선순위, 일 에 대한 만족도, 비의사 전문가(paramedical profession)와의 치료적 관계나 역할, 소아청소년정신과 수련현황과 당면과제 에 중점을 두었다.

가설 설정

  • 비록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는 필수적인 약물처방을 가장 잘 제공하지만 진료의 분열은 환자와 가족에게 최선이 될 수 없다. 25) 환자에 대한 치료계획을 세울 때 증상의 선행적, 촉진 적, 그리고 지속적 요소와 증상의 의미와 영향을 넓은 시각 으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이른 시기의 처방이나 부적절한 약 물처방을 하는 경향이 커질 것이다.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 는 생물정신사회적-발달학적인 통합적인 시각을 가지고 치료 에 접근해야 하며 소아청소년의 발달에 있어서 장애가 되는 증상에 초점을 두고 신중하게 치료적 개입을 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 정신과 의사의 역할은?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들은 많은 소아청소년과 그 가족의 정신건강에 대한 예방, 평가, 진단 및 치료를 하는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아 정신과 의사는 진료실에서 직접 환자를 치료하는 것뿐만 아 니라 학교나 지역사회 정신보건 기관 또는 아동관련 정신건강 기관에 자문과 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들은 소아정신건강분야에서 고 도의 행정과 지도자 역할을 하도록 기대가 커지고 있는 실정 이다.
소아청소년의 정신건강 장애에는 무엇이 있나? 소아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대한 과 거 연구에서 보면, 한국아동의 10% 이상이 정서-행동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3) 또한 2005년 ‘서울시 소 아청소년 정신장애 유병률 조사’ 결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적 대적 반항장애, 품행장애를 포함하는 행동장애 25.71%, 불 안장애 23.02%, 틱 장애 3.89%, 기분장애 1.95%로 정신장애 로 진단되는 소아청소년이 1/4 수준으로 나타났다. 4) 실제로 10 대 청소년 자살은 2006년에는 10만 명당 3.
우리나라에서 소아청소년정신의학이 정신의학에서 독립적 인 분야로 탄생하게 된 배경은? 우리나라에서 소아청소년정신의학이 정신의학에서 독립적 인 분야로 탄생하게 된 것은 1980년 서울대학교에서 전임의 수련과정을 시작하여 소아정신과 분과전문의를 국내에 배출 하면서였다. 1986년에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가 정식으 로 출범하였고, 1996년에 대한소아청소년정신과 수련심사위 원회가 발족되어 한국 소아청소년정신과 분과 전문의제도가 수립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ong KE. Kor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a review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3;14:139-149. 

  2. Hong KE. An epidemiological survey of behavior problem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 Seoul J Psychiatry 1985;9:48-63. 

  3. Min SK, Oh KJ, Kim HJ, Lee H, Shin YJ, Lee KY, et al. Model development of school mental health service: 2 model development of school mental health service in Korean urban communitie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7;36:826-840. 

  4. Cho SC, Go BJ, Kim BN, Kim JW, Shin MS, Yoo HI, et al. The 2005 Seoul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survey. Seoul: Seoul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Center;2006. 

  5. Statistics Korea. 2006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2006. 

  6. Statistics Korea. 2011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2011. 

  7. Kwon SJ, Park TW, Park SH, Yang JC, Chung YC, Chung SK. Prevalence of school bullying and related psychopatholog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2;23:143-153. 

  8. McCarthy M, Abenojar J, Anders T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for the futur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Psychiatr Clin North Am 2009;32:213-226. 

  9. Hubbard WK. Estimation methodology for children with a serious emotional disturbance (SED). Fed Req 1997;62:52139. 

  10. Ahn DH, Jung SA, Kim SH, Song WJ, Lee MS. Mental heal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ed familial-social factors in health promoting school. J Korean Soc School Health 2008;21:1-12. 

  11. Stubbe DE, Thomas WJ. A survey of early-career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professional activities and perception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2;41:123-130. 

  12. Stubbe DE. Preparation for practice: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graduates’ assessment of training experience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2;41:131-139. 

  13. Hendren RL. Casting a wide net to nurture mentally healthy children.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8;47:123-128. 

  14. Thomas CR, Holzer CE 3rd. The continuing shortage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6; 45:1023-1031. 

  15. Kim WJ;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Task Force on Workforce Need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workforce: a critical shortage and national challenge. Acad Psychiatry 2003;27:277-282. 

  16. Beresin EV.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residency training: current issues and controversie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7;36:1339-1348. 

  17. Sarvet BD, Wegner L. Developing effective child psychiatry collaboration with primary care: leadership and management strategies. Child Adolesc Psychiatr Clin N Am 2010;19:139-148. 

  18. Winters NC, Pumariga A; Work Group on Community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Work Group on Quality Issues. Practice parameter on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care in community systems of car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7;46:284-299. 

  19. Zachik AA, Naylor MW, Klaehn RL.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leadership in public mental health,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ncies. Child Adolesc Psychiatr Clin N Am 2010;19:47-61. 

  20. Heneghan A, Garner AS, Storfer-Isser A, Kortepeter K, Stein RE, Horwitz SM. Pediatricians' role in providing mental health c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do pediatricians and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agree? J Dev Behav Pediatr 2008;29:262-269. 

  21. Zito JM, Tobi H, de Jong-van den Berg LT, Fegert JM, Safer DJ, Janhsen K, et al. Antidepressant prevalence for youths: a multi-national comparison.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06;15:793-798. 

  22. March J, Mulle K, Stallings P, Erhardt D, Conners C. Organizing an anxiety disorders clinic. In: March J, editor.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Guilford;1995. p.420-435. 

  23. Bridge JA, Salary CB, Birmaher B, Asare AG, Brent DA. The risks and benefits of antidepressant treatment for youth depression. Ann Med 2005;37:404-412. 

  24. March JS, Szatmari P, Bukstein O, Chrisman A, Kondo D, Hamilton JD, et al. AACAP 2005 Research Forum: speeding the adop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pediatric psychiatr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7;46:1098-1110. 

  25. Gabbard GO, Kay J. The fate of integrated treatment: whatever happened to the biopsychosocial psychiatrist? Am J Psychiatry 2001;158:1956-19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