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식생에 대한 기본 정보를 확인하고, 강화도 마니산에있는 산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산림식생의 계층구조와 관련된 식생학적 자료를 축적하는 데 있다. 샘플은 2010 년 8월에서 10월까지 수집된 32개소의 조사구에 대해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식생군락을 구분하였고, 중요치 분석을 수행하였다. 식물사회학적 식생분석결과 산림식생은 여러 종들의 구분에 의해 2개 군락, 2개 군, 4개 소군으로 분류되었고, 복잡한 환경인자들에 의해 결정되어진 것으로 사료되는 식생유형은 총 5단위로 나타났다. 5개의 식생유형 중 식생단위1의 중요치는 소나무 54.31 (18.10%)로 나타났으며, 신갈나무 39.21 (13.07%), 식생단위2의 서어나무가 37.29 (12.43%), 신갈나무 89.43 (22.23%), 진달래 63,525 (14.43%)로 나타났다. 식생단위3에서 때죽나무의 중요치 53.97 (13.50%), 당단풍 33.60 (8.40%), 서어나무 26.48 (6.62%), 졸참나무 22.51 (5.64%)로 나타났으며, 식생단위4에서는 서어나무 47.70 (11.92%), 상수리나무 38.40 (9.60%)로 나타났고, 식생단위5의 쉬나무가 80.59 (20.14%), 아까시나무 35.00 (8.74%), 칡의 중요치가 28.63 (7.15%), 떡갈나무 28.20 (7.05)의 순으로 중요치가 나타났다. 이는 1997년 강화도의 기후와 산림생태계 현황(Lee, 1997)에서 온대중부림의 생태적 천이는 소나무에서 참나무류를 거쳐 서어나무류의 순서라는 학설이 거의 입증되었는데, 강화도 마니산의 산림식생은 천이발달의 중간단계로 보고한 바 있는데, 현재의 산림식생은 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때죽나무군집, 서어나무군집, 쉬나무군집으로 분류되고, 각 식생단위에서 서어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인위적, 자연적 교란이 없는 한 서어나무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nish basic information for forest community ecology and to accumulate vegetational datum related to hierarchy of forest community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vegetation in Mt. Mani.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32 releves from August to Octo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식생에 대한 기본 정보를 확인하고, 강화도 마니산에있는 산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산림식생의 계층구조와 관련된 식생학적 자료를 축적하는 데 있다. 샘플은 2010년 8월에서 10월까지 수집된 32개소의 조사구에 대해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식생군락을 구분하였고, 중요치 분석을 수행하였다.
  • 현재 인천광역시 강화도 마니산의 경우 환경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Ministry of Environment, 1999)와 마니산과 강화도 일대의 식생에 관한 연구(Kang, 1969) 등, 강화도 간척지 부근식물의 분류학적 연구를 다룬 자연과학논문들이 일부 있으나 마니산 산림식생의 군락구조에 대하여 군락별 구분종(differential species)과 군락단위별 중요치를 중심으로 종조성적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마니산 산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식생유형을 기초로 군집수준에서 마니산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고, 식생군집구조를 규명하여 마니산의 산림식생 관리에서 군집단위의 종 조성 바탕의 산림식생관리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다양성 감소의 원인은 무엇인가? 생물다양성의 개념에는 종 다양성, 유전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포함한다(SAF, 1991; Shin, 1995). 생물다양성 감소의 원인으로는 서식면적의 감소와 파편화, 외래종의 이입, 과도한 동식물의 채취, 각종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이 있 으며, 현재도 각종 개발로 인한 녹지의 파편화와 단절로 인한 생물서식공간의 파괴, 개체군 고립, 인위적교란으로 인한 생물종다양성 감소(Harris, 1984; Wilcox and Murphy, 1985)가 지속적인 문제가 되고있다. 산림생태계의 종 다양성은 생물군집의 속성을 간접적으로 해석하는데 유익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Kim et al.
본 논문에서 수행한,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식생군락을 구분하였고, 중요치 분석의 결과는 어떠한가? 샘플은 2010 년 8월에서 10월까지 수집된 32개소의 조사구에 대해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식생군락을 구분하였고, 중요치 분석을 수행하였다. 식물사회학적 식생분석결과 산림식생은 여러 종들의 구분에 의해 2개 군락, 2개 군, 4개 소군으로 분류되었고, 복잡한 환경인자들에 의해 결정되어진 것으로 사료되는 식생유형은 총 5단위로 나타났다. 5개의 식생유형 중 식생단위1의 중요치는 소나무 54.31 (18.10%)로 나타났으며, 신갈나무 39.21 (13.07%), 식생단위2의 서어나무가 37.29 (12.43%), 신갈나무 89.43 (22.23%), 진달래 63,525 (14.43%)로 나타났다. 식생단위3에서 때죽나무의 중요치 53.97 (13.50%), 당단풍 33.60 (8.40%), 서어나무 26.48 (6.62%), 졸참나무 22.51 (5.64%)로 나타났으며, 식생단위4에서는 서어나무 47.70 (11.92%), 상수리나무 38.40 (9.60%)로 나타났고, 식생단위5의 쉬나무가 80.59 (20.14%), 아까시나무 35.00 (8.74%), 칡의 중요치가 28.63 (7.15%), 떡갈나무 28.20 (7.05)의 순으로 중요치가 나타났다. 이는 1997년 강화도의 기후와 산림생태계 현황(Lee, 1997)에서 온대중부림의 생태적 천이는 소나무에서 참나무류를 거쳐 서어나무류의 순서라는 학설이 거의 입증되었는데, 강화도 마니산의 산림식생은 천이발달의 중간단계로 보고한 바 있는데, 현재의 산림식생은 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때죽나무군집, 서어나무군집, 쉬나무군집으로 분류되고, 각 식생단위에서 서어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인위적, 자연적 교란이 없는 한 서어나무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사료된다.
생물다양성이란 무엇인가? 생물다양성은 육상생태계, 수생태계와 이들의 복합 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종간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Kim, 2006). 생물다양성의 개념에는 종 다양성, 유전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포함한다(SAF, 1991; Shin,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soziologie Grundzugeder Vegetationder Vegetation(3). Auf, Springer-Verlang, Wien, N. Y., 865pp. 

  2. Cho, H. J., B. C Lee, and J. H. Shin, 2004: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3(5), 331-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Dierssen, K., 1990: Einfhrung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241pp. 

  4.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 skunde. In :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Stuttgart., 136pp. 

  5. Harris, L. D., 1984: The fragmented forest: Island biogeography theory and the preservation of biotic divers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Kang, Y. M., 1969: taxonomic study in the vicinity of the reclaimed land in Kanghwa island. Seoul University. Master's Thesis, 408pp. 

  7. Kim, J. Y., 2006: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for the urban green space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middle temperate zones, Korea University of Seoul. Ph. D. Thesis, 283pp. 

  8. Kim, Y. H., I. H. Park, and K. J. Cho, 2012: Bird species divers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forest vegetation.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 Restoration Technology 15(6), 43-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W., J. H. Park, and Y. H. Cho, 1999: Effects of fire on forest vegetation in Mt. Samm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89(99), 145-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B. C., and C. W. Yun, 2002: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communities in Mt. Naeyeon.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5(3), 153-1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B. C., C. W. Yun, J. H. Shin, and J. S. Oh, 2001: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Myeonsa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0(4), 548-5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D. K., 2000: Sprouting and sprout growth of four Quercus species (Q. mongolica, Q. variabilis, Q. acutissima and Q. dentata). Annual Report of Research in Agriculture and Life 4(1), 238-240. 

  13. Lee, H. J., B. H, Bae, H. N. Jung, Y. M. Jun, and M. P. Hong, 1999: Forest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on Mt. Paeku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17(1), 35-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J. H., C. W. Yun, and S. C. Hong, 2005: Commun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4(4), 269-2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K. J., 1997: Status of forest ecosystems and the climate of Ganghwa. World and word. Incheon Catholic University Press. 139-179. 

  16.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90pp. 

  17. Lee, Y. N., 2004: Flora of Korea. Kyohak. Seoul., 1247pp. 

  18. Ministry of Environment, 1999: The natural environment of Ganghwa (Mt.Mani). Ministry of Environment, 166pp. 

  19. Mucina, L., 1997: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8(6), 751-760. 

  20. Oh, S. H., C. W. Yun, K. H. Bae, and S. C. Hong, 1998: A study forest vegetation in Mt. Cheongok, Kyungsangpukdo-by the method of phytosociological studi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7(1), 27-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ociety of America Foresteres (SAF), 1991: Selection cuts increased natural beauty in two Adirondack forest stands, 419pp. 

  22. Shin, J. H., 1995: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of forest ecosystem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4(1), 377-3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Song, J. S., K. S. No, H. S., Jung, Keiichi Ohno, and Tetsuo Mochida, 1999: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in the mountainous areas of the northern part, Kyungpook province using the methodology of physiognomy and numerical syntaxonomy.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5), 241-2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Song, Y. H., and C. W. Yun, 2006: Community type and stand structure of the Korean Pine(Pinus koraiensis) national forest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1), 29-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Walter, H., 1979: Vegetation of the Earth and Ecological Systems of the Geo-biosphere (2nd ed.). Springer-Verlag. New York., 274pp. 

  26. Wilcox, B. A., and D. D. Murphy, 1985. Conservation strategy: the effects of fragmentation on extinction. American Nationalist. 125, 879-887. 

  27. Yun, C. W., J. H. Shin, H. M. Yang, J. H. Lim, and B. C. Lee, 2011: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135pp. 

  28. http://www.kna.go.kr 

  29. http://www.ganghwa.incheon.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