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 1953) 아가미의 미세해부학적 특징
Microanatomy of gill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1953) (Gastropoda: Haliotidae)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30 no.1, 2014년, pp.51 - 56  

김수지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전미애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김혜진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최지성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이문옥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곽인실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김재원 (강원도립대학 해양생명과학부) ,  강주찬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이정식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사전자현미경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북방전복 아가미의 형태와 조직화학적 특징에 대하여 기재하였다. 북방전복의 아가미는 원새형의 bipectinate형 이었다. 아가미 새엽의 표면은 잘 발달된 섬모들로 덮여있었다. 새엽의 상피층은 공통적으로 단층으로 원주형의 상피세포와 점액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AB-PAS (pH 2.5와 pH 1.0) 반응과 AF-AB (pH 2.5) 반응 결과, 점액세포들은 주로 산성의 뮤코점액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rphology and histochemistry of gill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ere described using light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abalone has bipectinate gill of protobranch. The cilia and microvilli were well-developed on the free surface of the gill filaments. The ep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한국의 중요 수산업 복족류인 북방전복의 아가미에 관련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사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아가미의 형태와 아가미 새엽 점액세포의 조직화학적 특징을 기재하여 이들의 호흡생 리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H-E stain. B: Showing the hemolymph sinus (Hs). Masson’s trichrome stain.
  • 5) reaction. D: Showing the mucous cells of alcian blue positive in epithelial layer. AB-PAS (pH 2.
  • 5) reaction. E: Showing the numerous mucous cells of alcian blue positive in epithelial layer. AB-PAS (pH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체동물의 아가미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연체동물의 아가미는 연체동물을 분류하는 중요한 기준 가운데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연체동물의 아가미는 크게 원새, 판새, 사새 3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연체동물 복족강은 아가미의 위치, 형태 및 폐의 유무에 따라 전새아강 (Prosobranchia), 후새아강 (Opistobranchia), 유폐아강 (Pulmonata) 으로 구분할 수 있다 (Atkins, 1937; Yoo, 1988; Starobogatov, 1992; Zardus, 2002; Cannuel et al., 2009).
북방전복의 아가미는 어떤 형태인가? 1C). 아가미의 형태는 빗 모양으로 새엽은 직선상이며, 나방의 날개모양이었다 (Fig. 2).
연체동물 복족강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연체동물의 아가미는 연체동물을 분류하는 중요한 기준 가운데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연체동물의 아가미는 크게 원새, 판새, 사새 3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연체동물 복족강은 아가미의 위치, 형태 및 폐의 유무에 따라 전새아강 (Prosobranchia), 후새아강 (Opistobranchia), 유폐아강 (Pulmonata) 으로 구분할 수 있다 (Atkins, 1937; Yoo, 1988; Starobogatov, 1992; Zardus, 2002; Cannuel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ksit, D. and Mutaf, B.F. (2007) Gill histology of Patella Linneaus, 1758 (Mollusca: Gastropoda). Rapport Commission International Mer Mediterranee, 38: 1-413. 

  2. Atkins, D. (1937) On the ciliary mechanisms and interrelationships of lamellibranchs. Part III. Types of lamellibranch gills and their food currents. The Quarterly Journal of Microscopical Science, 79: 375-421. 

  3. Beninger, P.G. and Dufour, S.C. (1996) Mucocyte distribution and relationship to particle transport on the pseudolamellibranch gill of Crassostrea virginica (Bivalvia: Ostreidae).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37: 133-138. 

  4. Beninger, P.G., St-Jean, S., Poussart, Y. and Ward, J.E. (1993) Gill function and mucocyte distribution in Placopecten magellanicus and Mytilus edulis (Mollusca: Bivalvia): the role of mucus in particle transport.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98: 275-282. 

  5. Cannuel, R., Beninger, P.G., McCombie, H. and Boudry, P. (2009) Gill development and its functional and evolutionary implications in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Bivalvia: Mytilidae). The Biological Bulletin, 217: 173-188. 

  6. de Villers, C.J. and Hodgson, A.N. (1987) The structure of the secondary gills of Siphonaria capensis (Gastropoda: Pulmonata). Journal of Molluscan Studies, 53: 129-138. 

  7. Dral, A.D.G. (1967) The movements of the latero-frontal cilia and the mechanism of particle retention in the mussel. Netherlands Journal of Sea Research, 3: 391-422. 

  8. Eertman, R.H.M. (1996) Comparative study on gill morphology of gastropods from Moreton Bay, Queensland. Molluscan Research, 17: 3-20. 

  9. Gomez-Mendikute, A., Elizondo, M., Venier, P. and Cajaraville, M.P. (2005) Characterization of mussel gill cells in vivo and in vitro. Cell and Tissue Research, 321: 131-140. 

  10. Jung, G.K., Park, J.J., Ju, S.M., Jeon, M.A. and Lee, J.S. (2011) Gill ultrastructure of the spiny top shell, Batillus cornutus (Gastropoda: Turbinida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7: 69-76. 

  11. Moore, H.J. (1971) The structure of the latero-frontal cirri on the gills of certain lamellibranch molluscs and their role in suspension feeding. Marine Biology, 11: 23-27. 

  12. Morton, B. (1983) The biology and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twisted ark Trisidos semitorta (Bivalvia: Arcacea) with a discussion on shell "torsion" in the genus. Malacologia, 23: 375-396. 

  13. Owen, G. (1974) Studies on the gill of Mytilus edulis: the eu-latero-frontal cirri.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187: 83-91. 

  14. Ragg, N.L.C. and Taylor, H.H. (2006) Oxygen uptake, diffusion limitation, and diffusing capacity of the bipectinate gills of the abalone, Haliotis iris (Mollusca: Prosobranchia).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A, 143: 299-306. 

  15. Starobogatov, Y.I. (1992) Morphological basis for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Bivalvia. Ruthenica, 2: 1-25. 

  16. Tammes, P.N.L. and Dral, A.D.G. (1955) Observations on the straining of suspensions by mussels. Archives Neerlandaises de Zoologie, 11: 87-112. 

  17. Voltzow, J. (1994) Gastropoda: Prosobranchia. In: Microscopic Anatomy of Invertebrates Vol. 5. Mollusca I. (ed. by Harrison, F.W. and Kohn, A.J.), Wiley-Liss, New York. pp. 111-252. 

  18. Wanichanon, C., Laimek, P., Linthong, V., Stretarugsa, P., Kruatrachue, M., Upatham, E.S., Poomtong, T. and Sobhon, P. (2004) Histology of hypobranchial gland and gill of Haliotis asinina Linnaeus.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23: 1107-1112. 

  19. Yoo, J.S. (1988) Korean Shells in Color. Iljisa Publishing company, Seoul. pp. 1-196. 

  20. Zardus, J.D. (2002) Protobranch bivalves. Advances in Marine Biology, 42: 1-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