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둥근전복속 (고복족상목: 전복과) 의 분류 및 기재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Genus Nordotis (Gastropoda: Vestigastropoda) from Korea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30 no.1, 2014년, pp.79 - 86  

이준상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  원승환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  김수강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  임한규 (국립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  이정식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초록

한국 연안에 서식하는 둥근전복속 2종 및 2아종 (Nordotis madaka, N. gigantea, N. discus discus, N. discus hannai) 에 대한 형태학적 기재와 검색표를 제시하였고, 몇몇 혼용되어 사용된 우리말 이름을 정리하여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se studies describe about genus Nordotis (Nordotis madaka, N. gigantea, N. discus discus, N. discus hannai) and suggest the taxonomic key. Also, adjustment and suggestion that confused Korean names in the Nordotis species from Ko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전복과 둥근전복속 패류의 기재와 식별형질을 통한 검색표를 작성하여, 올바른 종 동정의 자료로 제시하며 또한, 국제명명규약 제 23조 선취권의 원리 (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Nomenclature, 2000) 를 적용하여 그동안 혼동되어 사용되었던 국내 전복류 이름을 정리하고 정당한 우리말 이름을 제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madaka - 공열은 낮고, 3-5개가 열려있으며, 내순 폭이 좁다.        3

    3. 등면 결절은 약하고, 각정은 낮아 등면 높이를 벗어나지 않는다.  둥근전복 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산 전복과 패류에 대한 기록은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가? 한국산 전복과 (Family Haliotidae) 패류에 대한 기록은 Nomura & Hatai (1928) 가 Nordotis discus (Reeve, 1846) 1종을 기록한 이후, Siba (1934) 2종, Lee (1956) 5종, Kang et al., (1971) 4종, Choe & Park (1997) 5종, 그리고 Lee & Min (2002) 과 Min et al., (2004) 에 의하여 오분자기속 (Sulculus) 2아종, 둥근전복속 (Nordotis) 2종 및 2아종을 기록하여 국내 전복과 패류는 모두 2속 2종 및 4아종이 기록되어 있다. 이중 둥근전복속의 N.
패각의 특징은? 기재: 패각은 타원형으로 두껍고 단단하며, 적갈색 또는 황갈색을 띤다. 각정은 매우 낮고, 체층 등 면은 크게 굴곡 된 면 없이 골고루 완만한 돔형을 이룬다. 패각 표면의 성장맥은 뚜렷하고, 크고 불규칙한 혹 모양의 결절이 있어 울퉁불퉁한 모양을 이루지만 성패가 되면서 결절의 크기는 작아진다.
개체에 따라 나륵이 뚜렷하기도 하고 흔적 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공열은 어떻게 관찰되는가? 개체에 따라 나륵이 뚜렷하기도 하고 흔적 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공열은 매우 높고, 대부분 4개가 열려 있으나, 가끔 3개가 열려있는 개체도 관찰된다. 공열 아래 측면부의 경사는 비교적 급하고, 굵은 나륵과 촘촘한 나맥이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Choe, B.L. (1992)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3, Mollusca (II), pp. 1-860, pls. 126, Ministry of Education, Seoul. 

  2. Choe, B.L. and Kim, H.S. (1988) On the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Archaeogastropods from Korean waters.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Special Issue, 2: 135-198. 

  3. Choe, B.L. and Yoon, S.H. (1990)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Archeogastropods from Ullung Island water.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6(1): 56-79. 

  4. Choi, B.R. and Park, J.K. (1997) Mollusca. In: List of animal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Seoul Korea. 

  5. Choi, B.R., Park, M.S., Jeon, L.G., Park, S.R., amd Kim, H.T. (1999) Commercial Molluscs from the Freshwater and Continental Shelf in Kore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pp. 1-197. 

  6. Gmelin, J.F., (1791) Caroli a Linne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ystema Naturae, Ed. 13, Rub. R. Pol, Leipzig, Germany, 1(6): 3021-3910. 

  7. Habe, T. (1977) Miscellaneous knowledge about mollusks 8: Nordotis madaka is a new species (Translation of Japanese title by Dr. Takeharu Kosuge). Chiribotan. 9: 93-94. 

  8. Habe, T. (1983a) Type Species of Haliotis gigantea Gmelin and Ostrea japonica Gmelin Housed in the Zoological Museum, Copenhagen. Venus, 41(4): 259-263. 

  9. Habe, T. (1983b) Edible molluscs in Japan. Proc. 2 nd N. Pac. Aquaculture Symp. Sep. (1983) Tokyo and Shimazu, Japan. pp. 415-453. pls. 1-6. 

  10. Habe, T. and K. Ito (1965) Shell of the world in color, 1 (reprinted in 1979). Hoikusha Pub. Co. Osaka, 1-176 pp. 56 pls. 

  11. Habe, T. and S. Kosuge, (1964) Shells of the world in color. Hoikusha Pub. Co. Osaka, pp. 1-194, pls. 68. 

  12. Hayashi, I. (1988) Habitate preference diural activity pattern and predators of artficially bred juvenile ablone Haliotis discus discus. Venus, 47(2): 104-120. 

  13. Higo, S. (1973) A catalogue of molluscan fauna of the Japanese Island and adjacent area. Bio. Soc. Nagasaki, pp. 1-397. 

  14. Higo, S. and Goto, Y. (1993) A systematic List of Mollusca Shells from the Japanese Is. and Adjacent Area. 693 pp. Yuko Publishing. Co., Ltd., Osaka. 

  15. Higo, S., Callomon, P. and Goto, Y. (1999) Catalogue and Bibliography of the Marine Shell-Bearing Mollusca of Japan. pp.749, Elle Scientific Publication. Osaka. 

  16. Hirase, S. (1934) A Collection of Japanese shells with illustration in natural dolours. Matsumura Sashodo, Tokyo. pp. 1-217. 

  17. Inaba, A. (1982) Molluscan fauna of the Seto inland sea, Japan. Hiroshima Shell Club, v: 1-181. 

  18. Ino, T. (1952) Biological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Japanese abalone (genus Haliotis). Bulletin of Tokai Regional Fisheries Research Lab., no 5: 1-102, pls. 1-34. 

  19. Ino, T. (1980) Fisheries in Japan-Abalone and oyster. Japan marine products photo mateial Associations, pp. 1-225. 

  20. 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Nomenclature (2000) International Code of Zoological Nomenclature (4ed).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pp.1-305. 

  21. Je, J.G. (1989) Korean names of Molluscs in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Suppl. 1: 1-90. 

  22. Kamita, T. and T.N. Sato, (1941) Marine fauna at Jinsen Bay, Corea. Journal of the Chosen Natural History. 8(30): 51-53. 

  23. Kang, Y.S. (Ed.) (1971) Nomina Animalium Koreanorum (3). pp. 1-180, Hyang Moon Co. Seoul. 

  24. Kawamoto, T. and J. Tanabe, (1956) Catalogue of molluscan shells of Yamaguchi prefecture. Yamaguchi Prefectual Yamaguchi Museum. pp. 1-171. 

  25. Kim, H.S (1973) Report on a collection of animals from Baegryeong I. and Daecheong I. Seoul National Univ., 28: 427-436. 

  26. Kim, H.S. and B.J. Rho, (1971) On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animals of Korean coastal seas. 1. Jeju Island region. Report for the IBP., 5: 7-27. 

  27. Kim, H.S., I.K. Lee, C.H. Ko, I.H. Kim, Y.B. Suh and N.G. Sung, (1983) Studies on the Marine Benthic Communitiesin Inter and Subtidal Zones. I. Analysis of benthic community structures at Aninjin, eastern coastof Korea. Proc. Coll. Nat. Sci., Seoul National Univ., 8(1): 71-108. 

  28. Kira, T. (1954) Coloured Illustration of the Shells of Japan. Hoikusha, Osaka. 

  29. Kira, T. (1962) Shells of the Western Pacific in color. pp. 224, pls. 72. Hoikusha Pub. Co. Osaka. 

  30. Kuroda, T. (1941) A catalogue of molluscan shells from Taiwan (Formosa), with description of new species. Mem. of the Fac. of Sci. and Agri., Taihoku Limp. Univ., 22(4): 65-216, 7 pls. 

  31. Kuroda, T., Habe, T. and Oyama, K. (1971) The seashells of Sagami bay. pp. 741, Maruzen Pub. Co., Tokyo. 

  32. Kwon, O.K., Min, D.K., Lee, J.R., Lee, J.S., Je, J.K. and Choe, B.L. (2001) Korean Mollusks with color Illustration. Hanguel publishing company. Busan Korea. 

  33. Kwon, O.K., Park, G.M., and Lee, J.S. (1993) Coloured Shells of Korea. pp. 445, Academy. Co., Seoul. 

  34. Lamarck, J.B.P. de M. (1815-22) Histoire naturelle des animaux sans vertebres. Les conchiferes. 6(2): 1-232. Paris. 

  35. Lee, B.D. (1956) The catalogue of Molluscan Shell of Korea. Bulletin of Pusan Fisheries College, 1(1): 53-100. 

  36. Lee, J.S. and Min, D.K. (2002) A Catalogue of Molluscan Fauna in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8(2):93-217. 

  37. Min, D.K., Lee, J.S., Koh, D.B. and Je, J.K. (2004) Mollusks in Korea. Min Molluscan Research Institute. Seoul. 566 pp. 

  38. Okada, K. (1967) New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fauna of Japan (II). pp. 1-803, Hokuryukan Co., LTD, Tokyo. 

  39. Okutani, T.(Ed.) (2000) Marine Mollusks in Japan. pp.1-1172, Tokai Univ. Press. Tokyo. 

  40. Oyama, K. (Ed.) (1959) Review of Nomenclature on Japanese Shells (3). Venus, 20(4):361-362. 

  41. Qi, Z.Y., X.T. Ma, Z.R. Wang, G.Y. Ling, F.S. Xu, Z.Z. Dong, F.L. Li and R.H. Lu, (1989) Mollusca of Huanghaiand Bohai. Agricultural Publ., Beijing, pp. 1-309, pls. 1-13. 

  42. Reeve, L.A., (1843-1865) Conchologia Iconica: figures and descriptions of the shells of Mollusks; with remarks on their affinities, sysnonymy,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vols. 1-15. 

  43. Roding, P.F. (1798) Museum Boltenianum sive catalogus cimeloriume tribus regnis naturase quae olim collegerat Joa. Fried. Bolten, M.D.p.d. per XL. Annos Protophysicus Hamburgensis, pars secunda continens conchylia sive testacea univalvia, bivalvia et multivalvia. vii+199 pp. Pub. J. C. Trapii, Hamburg. 

  44. Shiba, N. (1934) A catalogue of the mollusca in Chosen (Corea). Journal of the Chosen Natural History, 18: 6-31. 

  45. Uchida, K. and T. Yamamoto, (1942) On the distribution of Haliotis species in the Korean waters. Venus, 11(1): 119-125. 

  46. Weinkauff, H.C. (1883) Die Gattung Haliotis. In Kuster, H.C. (Ed.): Systematisches Conchylien-Cabinet von Martini und Chemnitz. vol. 6(1b): 1-88, pls, 1-30. 

  47. Yamamoto, T. and T. Habe. (1962) Fauna of shellbearing mollusks in Mutsu Bay, Scaphopoda and Gastropoda (1). Bull. Mar. Bio. Station of Asamushi, 11(1): 1-20, pls. 1-3. 

  48. Yoo, J.S. (1976) Korean Shell in Color. 6th ed. 196 pp. Iljisa, Co.,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