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조경제를 위한 ICT 융합 혁신 클러스터 구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CT Convergence Innovation Cluster for Creative Economy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7 no.1, 2014년, pp.1 - 24  

임종빈 (경기과학기술진흥원) ,  김예슬 (건국대학교 밀러MOT스쿨) ,  정선양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밀러MOT스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 정부의 국정방향인 창조경제는 '창의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ICT가 결합하여 활발하게 창업 또는 기존 산업과 융합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 산업 및 일자리가 창출되는 성장전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혁신 클러스터는 그 정책 목표가 유기적 생태계 관점에서 기술혁신을 촉진하는 것이므로 창조경제 실현의 유효한 정책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적 배경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조경제형 ICT 융합 혁신 클러스터 정책 시사점을 얻기 위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 조성 사례를 분석하였다. 먼저 조성 측면에서는 환경 변화에 대한 지방정부의 유연한 대응, 철저한 사전 기획, 민간과 공공의 균형적 참여가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경제 활성화 측면에서는 우수인력 집적을 위한 정주여건 확보, 융합을 촉진할 다양한 혁신주체들의 집적과 이들 간의 네트워크 활성화, 창업 촉진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등 창업환경 조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w Korean government sets its main policy direction as Creative Economy. The Creative Economy can be defined as a growth strategy that establishes new companies, enhances the competitiveness of established companies and creates new markets, industries and jobs in consequence of combining of c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조경제형 ICT 융합 클러스터로 부각되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 조성 사례를 창조경제의 주요 키워드 중심으로 분석하여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ICT 융합 클러스터 조성에 요구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정책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하드웨어 측면에서 판교테크노밸리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용지 기능별로 공급대상, 공급규모, 공급방식 등 부지공급 기준안을 마련해 체계적인 시설을 구축하며 크게 연구업무용지와 연구지원용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판교테크노밸리는 단지 내・외부 차세대 정보통신 인프라모델의 구축(지능형 빌딩시스템) 등 단지 내 첨단 IT인프라의 구축뿐만 아니라 주변 도시에까지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지원함으로 이상적인 U-City를 최종 구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창조경제형 혁신 클러스터로 부상하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판교테크노밸리는 경기도 주도 하에 IT 관련 융합기술 중심의 세계적인 첨단 R&D 혁신 클러스터를 목표로 단지의 조성이 진행 중이며, IT, BT, CT 등 첨단 산업 업종을 다수 유치하였다.
  • 이러한 개념적 배경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조경제형 ICT 융합 혁신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최근 창조경제형 클러스터로 부상하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 조성 사례를 분석하였다.
  • 한편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판교테크노밸리는, 단지 전체의 운영관리를 위한 전담조직 설치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 창출을 도모하고 운영효과를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판교테크노밸리는 기본적으로 영리 목적의 기업 R&D 업무단지로서의 성격이 강하여, 사업화가 용이한 응용 및 비즈니스 개발의 중심지로서 IT 등 특정기술기반 기업들이 집적할 수 있는 단지로 구상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화와 지역화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바로 세계화와 지역화이다. 세계화와 지역화는 기술혁신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국제 경쟁에서 국가 간 경계가 낮아지고, 지역이 새로운 경쟁단위로 부상한 추세를 의미한다(Lundvall, 1992; Braczyk et al., 1998; Chung, 2002; Zabala-Iturriagagoitia et al.
존 호킨스가 정의한 창조경제란? 새 정부의 중요 정책화두인 ‘창조경제(Creative Economy)’는 창조경제론의 대표적 학자인 존 호킨스(John Howkins)가 그의 저서 ‘The Creative Economy(2001)’에서 최초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이 책에서 창조경제를 “새로운 아이디어, 즉 창의력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유통업, 엔터테인먼트산업 등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 ‘창조경제’의 개념을 정책적으로 처음 활용한 국가는 영국이다.
창조경제 실현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를 국가 경쟁력 강화의 핵심 아젠다로 설정하였다. 상상력과 창의성, 과학기술 및 ICT가 창조경제 실현에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꼽힌다(미래창조과학부,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경기과학기술진흥원 (2010), 판교테크노밸리 운영전략과 과제, 경기과학기술진흥원. 

  2. 경기지방공사 (2006), 판교테크노밸리 사업화방안 연구, 경기지방공사. 

  3. 김영수 (2012), "우리나라 클러스터 정책의 특징과 지역산업생태계론으로의 진화 필요성", 지역연구, 28(4): 23-44. 

  4. 미래창조과학부 (2013), "과학기술과 ICT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 실현", 미래창조과학부 2013년도 업무보고,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5. 박재수.이덕훈 (2004), "클러스터 진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 : 서비스경제화, 아웃소싱 및 스핀오프, 정부의 정책적 역할을 중심으로", 경영연구, 22: 51-73. 

  6. 박종진 (2008), "클러스터 구축전략과 혁신도시 비교-한국의 대덕R&D특구, 아일랜드의 Shannon, 일본의 기타규슈를 중심으로-", 한국재래시장연구, 1: 39-66. 

  7. 신승춘 (2007), "지역발전을 위한 혁신클러스터 형성의 조건 : 성공요인과 시사점", 지역발전연구, 7(2): 141-167. 

  8. 이공래 (2004), "혁신클러스터에서의 다분야 기술융합", 과학기술정책, 14(5): 44-54. 

  9. 이원영 (2008), 기술혁신의 경제학, 1판, 생능출판사. 

  10. 이주영.전재완 (2010), 클러스터 구축 요인의 모색과 한중 클러스터별 경쟁력 비교 연구, 정석물류통상연구원. 

  11. 임덕순 (2002), "인도 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클러스터 형성 과정 : 개발인가, 진화인가?", 기술혁신학회지, 5(2): 167-188. 

  12. 임덕순 (2008), "혁신클러스터의 발전 과정 및 성공 요인 : 대덕연구개발특구 사례를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학회지, 1(1): 15-38. 

  13. 임종빈.조형례.정선양 (2012), "혁신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5(2): 1-25. 

  14. 정선양 (2011), 전략적 기술경영, 3판, 박영사. 

  15. 정선양 (2012), 기술과 경영, 2판, 경문사. 

  16. 정선양 (2013), "DMZ 세계평화공원을 활용한 남북한 과학기술협력방안", 제88회 한림과학기술포럼 발표자료, 2013년 9월 26일, 프라자호텔, 서울. 

  17. 최석준.김병수 (2010), "산업단지 입주기업은 비입주기업보다 성과가 뛰어난가? - 경기도 지역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3(4): 738-757. 

  18. 허원창 (2010), "혁신생태계 구축을 위한 과제", IE매거진, 17(3): 48-51. 

  19. 홍형득 (2006), "혁신클러스터의 경쟁력 원천과 경쟁전략 비교", 충남대학교 공공문제와 정책, 18: 119-145. 

  20. Arthurs, D., Cassidy, E., Davis, C. H. and Wolfe, D. (2009), "Indicators to Support Innovation Cluster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46(3/4): 263-279. 

  21. Balieri, D., Cinici, M. C. and Mangematin, V. (2012), "Rejuvenating Clusters with 'Sleeping Anchors': The Case of Nanoclusters", Technovation, 32: 245-256. 

  22. Beaudry, C. and Breschi, S. (2003), "Are Firms in Clusters Really More Innovative?", Economic of Innovation and New Technology, 12: 325-242. 

  23. Ben Letaifa, S. and Rabeau, Y. (2013), "Too Close to Collaborate? How Geographic Proximity Could Imped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http://dx.doi.org/10.1016/j.jbusres.2013.02.033. 

  24. Boschma, R. (2005), "Proximity and Innovation: A Critical Assessment", Regional Studies, 39(1): 61-74. 

  25. Braczyk, H. J., Cooke, P. and Heidenreich, M. (1998),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he Role of Governances in a Globalized World, London: Routledge. 

  26. Chesbrough, H. (2003), Open Innovation :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7. Chung, S. (2002), "Building a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rough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echnovation, 22(8): 485-491. 

  28. Eisingerich, A. B., Bell, S. J. and Tracey, P. (2010), "How Can Clusters Sustain Performance? The Role of Network Strength, Network Openness,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Research Policy, 39: 239-253. 

  29. Gagne, M., Townsend, S. H., Bourgeois, I. and Hart, R. E. (2010), "Technology Cluster Evaluation and Growth Factors: Literature Review", Research Evaluation, 19(2): 82-90. 

  30. Gordon, I. R. and McCann, P. (2005), "Innovation, Agglomer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5: 523-543. 

  31. Howkins, J. (2001), The Creative Economy, San Francisco: Berkeley Pub Group. 

  32. Hite, J. M. and Hesterly, W. S. (2001), "The Evolution of Firm Networks: From Emergence to Early Growth of the Fir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3): 275-286. 

  33. Lundvall, B. A. (Ed.) (1992),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Towards a Theory of Innovation and Interactive Learning, Printer, London. 

  34. Menzel, M. and Fornalh, D. (2010), "Cluster Life Cycle: Dimensions and Rationales of Cluster Evolution",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9(1): 205-238. 

  35. OECD (1999),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OECD Proceedings, OECD, Paris. 

  36. OECD (2001), Innovative Clusters: 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 OECD Publishing. 

  37. Porter, M. E. (1998),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Watertown: Harvard Business Review, 76(6): 77-90. 

  38. Porter, M. E. (2001), Clusters of Innovation: Regional Foundations of U.S. Competitiveness, Washington DC: Council on Competitiveness. 

  39. Rosenfield, S. (2007), "Cluster-based Strategies for Growing State Economies",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and Council on Competitiveness, Washington DC. 

  40. Tidd, J., Bessant, J. and Pavitt, K. (2005), Managing Innovation: Integrating Technological, Market and Organizational Change, Chichester and New York: John Wiely & Sons. 

  41. Xu, S. X. and McNaughton, R. B. (2006), "High Technology Cluster Evolution: A Network Analysis of Canada's Technology Triangl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Management, 6: 591-608. 

  42. Zabala-Iturriagagoitia, J. M., Voigt, P., Gutierrez-Gracia, A. and Jimenez-Saez, F. (2007), "Regional Innovation Systems: How to Assess Performance", Regional Studies, 41(5): 661-6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