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내 하천의 부착규조 군집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Streams of Jeju Island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2 no.1, 2014년, pp.16 - 25  

정명화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조현진 (전남대학교 생물과학.생명기술학과) ,  윤정하 (전남대학교 생물과학.생명기술학과) ,  이학영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도내 위치하는 상시 유수가 흐르는 6개의 하천을 선정하여 이화학적 요인과 부착 규조류 군집의 분포를, 2008년에서 2012년까지 연 2회 조사하였다. BOD는 0.0~1.6 mg $L^{-1}$의 범위로 높은 수질 상태를 나타냈으며, TN, $NH_3-N$, $NO_3-N$, TP와 $PO_4-P$는 각각 평균 4.432 mg $L^{-1}$, 0.069 mg $L^{-1}$, 3.822 mg $L^{-1}$, 0.092 mg $L^{-1}$, 0.071 mg $L^{-1}$으로 비교적 높은 영양염의 농도를 나타냈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부착 규조류는 총 171종으로 2목 4아목 10과 28속 150종 17변종 2품종 2아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요 우점종은 광적응성종인 Achnan-thes lanceolata, Melosira varians, 호청수성종인 Gomphonema pumilum, 호오탁성종인 Navicula minima, Nitzschia palea 등으로 나타났다. DAIpo와 TDI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 평가에서는 각각 평균 56.0 (보통, C등급), 70.4 (불량, D등급)으로 제주도내 하천의 수생태건강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dentify 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 assemblag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atoms and water chemistry, samples were collected twice a year from 2008 to 2012, from at 6 streams in Jeju Island, South Korea. A total of 171 diatom taxa were identified, and Achnanthes lanceolata, Gomphonema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주도내에서 상시 흐르는 6개의 하천을 선정하여 하천의 이화학적 요인, 부착 규조류 군집의 분포와 생물학적 지수를 적용한 하천의 수질 평가결과를 제시하여 제주도내 하천의 수생태 및 수질보존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반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서 생태계에 대한 인위적 영향의 판단에, 조류군집 구조의 변화가 좋은 지표로 이용되는 이유는? 조류(algae)는 수서 생태계에서 광합성을 하는 중요한 일차 생산자이며(Barnes 1991), 이들의 성장은 수서 생태계의 종류와 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Graham and Wilcox 2000). 때문에 조류군집 구조의 변화는 수서 생태계에 대한 인위적 영향의 판단에 좋은 지표로 이용 되고 있다 (Kim et al.
조류는 생활형에 따라 어떻게 구분하는가? 2001; Potapova and Charles 2007; Chessman and Townsend 2010). 조류는 생활형에 따라 수중에서 기질에 부착하지 않고 떠다니는 부유성 조류 (planktonic algae)와 물에 잠긴 기질과 결합하는 부착성 조류(benthic algae)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강과 하천 등의 유수 생태계의 경우 부착성 조류가 더 우세하며 수환경의 영향을 잘 표현하므로 하천의 생산력이나 환경변화에 대한 지표로 널리 활용된다(Barnes 1991; Graham and Wilcox 2000; Lavoie et al. 2004; Schneider and Lindstrøm2009).
제주도에 상시 흐르는 하천은 무엇이 있나? 또한 제주도 대부분의 하천은 투수층과 주상절리의 지질학적 특성으로 인한 높은 투수성으로 집중호우 시 일시적으로 유출하는 간헐천의 특성을 갖는다. 제주도에서 상시 흐르는 하천으로는 광령천, 연외천, 동홍천, 강정천, 악근천, 예례천, 영천, 옹포천과 창고천이 있으나(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1), 이들 대부분은 지하수가 용출되는 용천수에 의해 하천이 유지되고 있어, 주변 토지이용에 따라 지하수로의 오염원 유입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최근 제주도내 대규모 과수원과 농경지의 개발, 인구밀집으로 인한 도시화 등에 따라 하천의 수생태계에 대한 교란이 예상되므로 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ller L, T Bennett, JH Lehr, RJ Petty and G Hackett. 1987. Drastic; A standardized system for evaluating groundwater pollution using hydrogeologic setting. U. S.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455-475pp. 

  2. An JG, CY Jung, HJ Park and TH Kim. 2007. Aquifers and seepage patterns of springwater in Seogwipo, Jeju Island. J. Korean Geomorphol. Assoc. 14:27-35. 

  3. APHA. 2001.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 water.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New York. 

  4.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ition. Report number EPA 841-B-99-002. US EPA, Washington, 339p. 

  5. Barnes RSK and KH Mann. 1991. Fundamentals of Aquatic Ecology. Black. Sci. 280pp. 

  6. Besse-Lotoskaya A, PFM Verdonschot, M. Coste and B Van de Vijver. 2011. Evaluation of European diatom trophic indices. Ecol. Indic. 11:456-467. 

  7. Chessman BC and SA Townsend. 2010. Differing effects of catchment land use on water chemistry explain contrasting behaviour of a diatom index in tropical northern and temperate southern Australia. Ecol. Indic. 10:620-626. 

  8. Cho EL and YK Oh. 1998.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the estimation of pollutant loadings from the flowing streams in Cheju Island. J. Kor. Environ. Sci. Soc. 7:845-851. 

  9. Chung J, SD Kim and KS Lee. 1972a. Freshwater algae from Jae Ju Do Island ( I). Korean J. Limnol. 5:13-24. 

  10. Chung J, SD Kim and KS Lee. 1972b. Freshwater algae from Jae Ju Do Island (II). Korean J. Limnol. 5:15-32. 

  11. Coste M and H Ayphassorho. 1991. Etude de la qualite des eaux du Bassin Artois-Picardie e l'aide des communautes de diatomees benthiques (application des indices diatomiques) Rapport Cemagref Bordeaux- Agence de l'Eau Artois-Picardie, Douai, 227pp. 

  12. Fetter CW. 2008. Applied Hydrogeology. Prentice Hall, New Jersey. 598pp. 

  13. Graham LC and LW Wilcox. 2000. Algae.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640pp. 

  14. Hwang SJ, NY Kim, DH Won, KK An, JK Lee and CS Kim. 2006.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using epilithic diatoms in major river systems (Geum, Youngsan, Seomjin River), Korea. J. Korean Soc. Water Qual. 22:784-795. 

  15.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1. Master plan for local 2nd level rivers management. 655pp. 

  16.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9. Master plan for 8 streams management including Geumsung stream. 298pp. 

  17.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2a. Master plan for streams management in Seogwipo-si. 1110pp. 

  18.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2b. The geography of Korea - Jeju. 373pp. 

  19. Jung JW, BJ Lim, SH Cho, JH Choi, KD Song, DW Ha, HS Kim, SH Park, TH Hwang, SJ Jung, DJ Lee and KS Kim. 2012. The influence of land use on water quality in the tributary of the Yeongsan River basin. Korean J. Limnol. 45:412-419. 

  20. Jung WY, SG Yang and JH Lee. 2013 Characteristics of runoff on urban watershed in Jeju island, Korea. J. Environ. Sci. Int. 22:555-562. 

  21. Jung YY, DC Koh, BR Kang and KS KO. 2010.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in the Southern Jeju area using land use and lithology. KSEG Conference. 25-26pp. 

  22. Kalff J. 2002. Limnology: inland water ecosystems. Prentice Hall. New Jersey. 592pp. 

  23. Kelly M and BA Whitton. 1995. The trophic diatom index: a new index for monitoring eutrophication in rivers. J. Appl. Ecol. 7:433-444. 

  24. Kim BC, JH Park, GS Hwang, MS Jun and KS Choi. 2001. Eutrophication of reservoirs in South Korea. Limnology 2: 223-229. 

  25. Kim HN, HK Park, SJ Park and OM Lee. 2012a.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of Joyang-river located at the upper region of North Han-river using DAIpo and TDI. Korean J. Limnol. 45:289-301. 

  26. Kim JH, SJ Lee and HM Oh. 2000. Dynamics of epilithic algal community in the Geum river, Korea. Algae 15:287-297. 

  27. Kim JW, Y Rhee and OM Lee. 2012b.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water quality assessment in Pyengchang river and inflow streams of Gangwondo. J. Korean Soc. Water Environ. 28:531-537. 

  28. Kim YJ and DH Won. 2011. Characteristic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and physico-chemical habitats in the lake Imha basin (Banbyeon Stream, Kilan Stream and Nakdong River). Korean J. Environ. Biol. 29:180-194. 

  29. Kim YJ, KA Shin and OM Lee. 2009. Water quality assessed by DAIpo and TDI of Bokha Stream and Dal Stream in South-Han River. Korean J. Environ. Biol. 27:414-424. 

  3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ww.kma.go.kr. 

  31. Lavoie I, WF Vincent, R Pienitz and J Painchaud. 2004. Benthic algae as bioindicators of agricultural pollution in the streams and rivers of southern Quebec Canada. Aquat. Ecosyst. Health. 7:43-58. 

  32. Lee JH and J Jung. 1992. Station variation of epilithic diatoms according to pollution degree from the Kumho river. Korean J. Limnol. 25:31-40. 

  33. Lee JH and M Chang. 1991 On the freshwater phytoplankton communities of Cheju Island. Korean J. Limnol. 24:77-83. 

  34. Lee JH. 1987. A toxonomic study on phytoplankton in Backrodam Crater of Halla Mt. Korean J. Limnol. 20:101-112. 

  35. Potapova M and DF Charles. 2007. Diatom metrics for monitoring eutrophication in rivers of the United States. Ecol. Indic. 7:48-70. 

  36. Redfield AC. 1958. The biological control of chemic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Am. Sci. 46:205-255. 

  37. Schneider S and EA Lindstrom. 2009. Bioindication in Norwegian rivers using non-diatomaceous benthic algae: The acidification index periphyton (AIP). Ecol. Indic. 9:1206-1211. 

  38. Statistics Korea. 2013. Korea Statistical Yearbook. 1074pp. 

  39. Watanabe T, K Asai and A Houki. 1990. Numerical simulation of organic pollution in flowing waters. In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Control Technology, 4. Hazardous Waste Containment and Treatment. pp. 251-281. Gulf publishing Company, Houstom. 

  40. Wetzel RG. 2001. Limnology-Lake and River ecosystem. 3rd ED. Academic Press. 1,006pp. 

  41. Youn JS and SW Park. 2000.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ring water in Halla mountain region, Cheju Island. J. Kor. Ear. Sci. Soc. 21:81-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