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최근접 이웃 정보를 활용한 베이지안 추론 분류 원문보기

정보와 통신 : 한국통신학회지 = Information & communications magazine, v.31 no.11, 2014년, pp.27 - 34  

노영균 (한국과학기술원) ,  김기응 (한국과학기술원) ,  이태훈 (서울대학교) ,  윤성로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리뷰 논문에서는 많은 데이터 환경에서 얻어진 k-최근접 이웃들(k-nearest neighbors)의 이론적 성질로부터 어떻게 분류를 위한 알고리즘을 만들어낼 것인가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설명한다. 많은 데이터 환경에서의 최근접 이웃 데이터의 정보는 다양한 기계학습 문제를 푸는데 아주 좋은 이론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이론적인 특성들이 데이터가 많지 않은 환경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다른 다양한 알고리즘들에 비해 성능이 많이 뒤쳐지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리뷰 논문에서는 많은 데이터 환경 하에서 k-최근접 이웃들의 정보가 어떤 이론적인 특성을 가지는지 설명하고, 특별히 이런 특성들을 가지고 k-최근접 이웃을 이용한 분류 문제를 어떻게 베이지안 추론(Baysian inference) 문제로 수식화 할 수 있는지 보인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빅데이터 환경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들을 소개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적으로 베이지안 추론법을 통해 우리는 주어진 최근접 이웃들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특정 항목(class)의 모분포 밀도함수가 다른 항목의 모분포 밀도함수보다 클 확률값을 닫힌 해(closedform solution)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류 전략을 세우는데 있어서 이 확률값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다.
  • 마지막으로, 이러한 추론법을 통해 얻어지는 확률값을 보다 빨리 계산하기 위한 계산 방법을 소개한다. 주어진 k-최근접 이웃 정보를 가지고 항목(class) 사후 확률을 계산할 때,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계산을 위해서 재귀법으로 프로그램을 구현 필요가 있다.
  • 본 논문은 한걸음 더 나아가 최근접 이웃들까지의 거리들이 특정 확률 분포를 따른다는 데 주목한다. 이 확률 분포는 k번째의 최근접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초구(hyper-shpere)의 체적(volume)을 확률변수(random variable)로 삼았을 때, 이 체적이 감마 분포(Gamma distribution)를 따르는 성질을 띈다[5].
  • 본 리뷰 논문에서는 최근접 이웃 정보의 이론적 특성을 이용한 최신 분류 방법에 관해 정리하여 소개했다. 기존에 일상적으로 사용해 온 다수결을 통한 k-최근접 이웃 분류법은 이런 측면에서 봤을 때 상당히 우수한 방법이다.
  • 이 확률 분포는 k번째의 최근접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초구(hyper-shpere)의 체적(volume)을 확률변수(random variable)로 삼았을 때, 이 체적이 감마 분포(Gamma distribution)를 따르는 성질을 띈다[5].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감마 분포를 통해 어떻게 k개의 최근접 이웃을 통한 단순한 다수결 방법이 최대 우도 추정법의 결과로 설명되는지 소개하고 여기에 더해서 베이지안 추론을 통해 더 좋은 전략을 고안해 낼 수 있을지를 고찰해 본다. 결과적으로 베이지안 추론법을 통해 우리는 주어진 최근접 이웃들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특정 항목(class)의 모분포 밀도함수가 다른 항목의 모분포 밀도함수보다 클 확률값을 닫힌 해(closedform solution)로 얻을 수 있게 된다.
  • 주어진 k-최근접 이웃 정보를 가지고 항목(class) 사후 확률을 계산할 때,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계산을 위해서 재귀법으로 프로그램을 구현 필요가 있다. 이 부분에 대해 효과적인 알고리즘의 구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잠시 소개한다.

가설 설정

  • 반면, k-최근접 분류기가 이론적으로 얼마나 좋은 분류기가 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이 방법을 데이터의 모분포(underly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를 알 때에만 얻을수 있는 베이즈 에러(Bayes error)와 연관시켜 베이즈 에러에 상당히 접근할 수 있음으로 보여준다[2],[3]. 단, 필요한 조건은 분류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위치와 k개의 최근접 이웃의 위치들에서 모분포 값이 거의 같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데이터의 밀집도가 큰 상황, 즉 데이터가 아주 많은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이 경우에 최근접 이웃들을 이용한 분류는 단 한 개의 최근접 이웃들만 가지고 분류를 한다고 하더라고 베이즈 에러의 두 배를 넘지 않는 아주 작은 에러 기대값을 가지게 된다[2].
  • 미리 정해진 두 개의 밀도 λ+와 λ-가 존재하며 λ+>λ- 를 만족 시키는데, 언제나 하나의 분류 항목은 λ+를, 또 다른 분류 항목은 λ-를 가지며, 두 분류 항목이 모두 λ+를 가지거나 모두 λ-를 가지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 여기서, 하나의 분류 항목만 더 큰 값인 λ+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 분류 항목들은 모두 작은 값인 λ-를 동일하게 가지고 있는 것을 가정한다.
  • Cover의 연구를 기반으로 시작되었다[2]. 이 연구는 데이터가 많아 데이터 공간을 충분히 메울 만한 밀도가 보장되는 가정 하의 결과였고, 결과적으로 알고자 하는 데이터 위치에서의 확률 밀도와 이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k개의 최근접 이웃들 위치에서의 확률 밀도 차이가 없게 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접 이웃 정보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어떤 연구를 기반으로 시작되었나? 최근접 이웃 정보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최근점 이웃 정보를 모분포에 연결시켜 베이즈 에러와의 관계를 밝힌 T. Cover의 연구를 기반으로 시작되었다[2]. 이 연구는 데이터가 많아 데이터 공간을 충분히 메울 만한 밀도가 보장되는 가정 하의 결과였고, 결과적으로 알고자 하는 데이터 위치에서의 확률 밀도와 이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k개의 최근접 이웃들 위치에서의 확률 밀도 차이가 없게 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k-최근접 방법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하지만 많은 경우, 실제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k-최근접 이웃 분류법이 다른 많은 알고리즘들 보다 좋은 성능을 내지 못해 왔다. 따라서 k-최근접 방법은 초벌 분석(preliminary analysis)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거나 다른 알고리즘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잘 하는지를 나타낼 때 쓰이는 최소 기준을 제공하는 베이스라인 분류기(baseline classifier)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최근접 이웃들까지의 거리들이 특정 확률 분포를 따르는데 이 확률분포의 성질은? 본 논문은 한걸음 더 나아가 최근접 이웃들까지의 거리들이 특정 확률 분포를 따른다는 데 주목한다. 이 확률 분포는 k번째의 최근접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초구(hyper-shpere)의 체적(volume)을 확률변수(random variable)로 삼았을 때, 이 체적이 감마 분포(Gamma distribution)를 따르는 성질을 띈다[5].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감마 분포를 통해 어떻게 k개의 최근접 이웃을 통한 단순한 다수결 방법이 최대 우도 추정법의 결과로 설명되는지 소개하고 여기에 더해서 베이지안 추론을 통해 더 좋은 전략을 고안해 낼 수 있을지를 고찰해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ogacz,R.,Brown,E.,Moehlis,J.,Holmes,P.,& Cohen,J. D. (2006) The physics of optimal decision making: A formal analysis of models of performance in two-alternative forced-choice tasks. Psychological Review, 113(4), 700-765 

  2. Cover, T. (1967) Estimation by the nearest neighbor rule.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14 (1), 50-55. 

  3. Cover, T., & Hart, P. (1967) Nearest neighbor pattern class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13 (1), 21-27. 

  4. Dragalin, V. P., Tertakovsky, A. G., & Veeravalli, V. V. (1999) Multihypothesis sequential probability ratio tests. part i: asymptotic optimality.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echnology, 45, 2448-61. 

  5. Leonenko,N.,Pronzato,L.,& Savani,V. (2008) A class of Renyi information estimators for multidimensional densities. Annals of Statistics, 36, 2153-2182. 

  6. Noh, Y.K., Park, F.C., & Lee, D.D. (2012) Diffusion Decision Making for Adaptive k-Nearest Neighbor Classificatio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5 

  7. Noh, Y.K., Park, F.C., & Lee, D.D. (2013) k-Nearest Neighbor Classification Algorithm for Multiple Choice Sequential Sampling, Proceedings of the Thirty-Fifth Annual Conference of the Cognitive Science Society 

  8. Ougiaroglou, S., Nanopoulos, A., Papadopoulos, A. N., Manolopoulos, Y., & Welzer-Druzovec, T. (2007) Adaptive k-nearest-neighbor classification using a dynamic number of nearest neighbors. In Proceedings of the 11th east European conference on advances in databases and information systems (pp. 66-82). 

  9. Smith, P. L., & Vickers, D. (1988) The accumulator model of two-choice discrimination.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32, 135-168. 

  10. Usher, M., & McClelland, J.L. (2001) The time course of perceptual choice: the leaky, competing accumulator model. Psychological review, 108 (3), 550-592. 

  11. Vickers, D. (1970) Evidence for an accumulator model of psychophysical discrimination. Ergonomics, 13, 37-58. 

  12. Wald, A., & Wolfowitz, J. (1948) Optimum character of the sequential probability ratio test.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19, 326-339. 

  13. Wang, J., Neskovic, P., & Cooper, L. N. (2006) Neighborhood size selection in the k-nearestneighbor rule using statistical confidence. Pattern Recognition, 39 (3):417-4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