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남부 지역에서 소나무림 개벌 후 초기 임분 구조 및 하층식생 발달
Initial Development of Forest Structure and Understory Vegetation after Clear-cut in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uthern Gangwon-do Province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1, 2014년, pp.23 - 29  

배관호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김준수 (경북대학교 임학과) ,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조현제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이호영 (산림청 산림휴양문화과) ,  조용찬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이 모형과 같이 임분 교란 후 수관 닫힘 단계까지의 다양한 생태적 특성 변화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으나 우리나라는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강원도 남부 소나무림 개벌 후 임분 구조, 환경 및 하층식생 풍부성의 경시적 변화 추이를 발달 단계별(1yr, 3yr, 10yr 및 16yr)로 분석하였다. 임분구조 분석 결과, 벌채 후, 평균 줄기 밀도는 16yr에 $5,714{\pm}645$ stems/ha 까지 점차 증가하였고, 평균 기저면적 역시 10yr에 $5.5{\pm}0.7m^2/ha$, 그리고 이후 $16yr(10.0{\pm}1.6m^2/ha)$)까지 거의 두 배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숲 바닥의 나무 잔해 및 토양 노출도는 16yr의 11% 및 3yr의 10.3%에서 각각 최고점을 나타낸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하층식생 피도는 16년 동안의 임분구조 발달에 따라 모든 생육형에서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광엽 초본의 종풍부도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임분의 상층식생 발달은 하층 식생 속성을 억누르기 보다는 필터 역할과 같이 선택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와 더불어 보다 세밀한 생태 속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임분의 초기 발달 패턴과 과정에 대한 연속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pen- to closed canopy stage and it's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vegetation succession are commonly described, but poorly understood in Korea. Vegetation development on structure, environment and understory abundance were studied for 16 yr in post-clearcut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 souther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분 발달에 대한 많은 모형과 제안들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나 국내의 천이 모형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 소나무림 개벌에 따른 식생 구조와 하층식생의 피도 및 종풍부도 발달 양상을 분석하였다.
  • 그리고 이러한 한계는 고정조사구 모니터링에 의해서만 극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천이 단계에서 장기 모니터링이 필요한 근거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각 단계의 조사 지역과 연접한 임분에서 대조자료를 충분히 획득하여 상호 비교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식생 재생 초기 과정은 자연 교란이 아닌 벌채 교란 이후 재생이며, 비교적 좁은 면적에서 진행되고 있으므로 시공간적 일반화에 있어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란 후 식생 재생 기작의 이해는 왜 중요한가? 강원도는 소나무림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림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란 후 식생 재생 기작을 이해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자연자원 이용을 위한 과학적 기초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부족하다(예 Lee et al., 2004).
초기 종조성 모델로 무엇을 설명할 수 있는가? , 2004). 한편, 강원 지역 소나무림 벌채 후 천이 초기의 종조성 변화는, 기존의 다년생 초본 및 목본성 종의 역할에 의해 진행되는 초기 종조성 모델(IFC, Initial Floristics Composition Model)로 설명이 가능하며, 일년생 초본의 역할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Cho et al., 2011).
산림 벌채 후 종 피도 변화가 다양한 것은 어떤 차이가 존재함을 의미하는가? , 2008) 변화 등 다양한 반응을 가져온다. 또한 종 피도 변화는 서식처 선호성, 생육형과 같은 식물 기능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종 별 교란 내성 및 회복력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Halpern, 1988; Metlen et al., 2004; Metlen and Fiedler, 2006; Moor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aback, P.B. 1982. Dynamics of understory boimass in Stika spruce-western hemlock forests of southeast Alaska. Ecology 63: 1932-1948. 

  2. Barbour, M.G., Burk, J.H., Pitts, W.D., Gilliam, F.S., and Schwartz, M.W. 1998. Terrestrial Plant Ecology 3rd ed. Addison Wesley Longman, Menlo Park, CA, USA. 

  3. Bormann, F.H. and Likens, G.E. 1979. Pattern and process in a forested ecosystem. Springer, New York, New York, USA. 

  4. Cho, Y.-C., Kim, J.-S., Lee, C.-S., Cho, H.-J., Lee, H.-Y., and Bae, K.-H. 2011a. Early Successional Change of Vegetation Composition After Clear Cutting in Pinus densiflora Stands in Souther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2): 240-245. 

  5. Cho, Y.C., Pee, J.H., Kim, K.S., Koo, B.Y., Cho, H.J., and Lee, C.S. 2011b. Vegetation responses to forest thinning in natural and planted broadleaved forests in southeast Korea: a chronosequence study.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 347-355. 

  6. Christensen, N.L. and Peet, R.K. 1984. Convergence during secondary forest succession. Journal of Ecology 72: 25-36. 

  7. Clements, F.E. 1916. Plant succession. Carnegie Institution Publication 242. 

  8. Dodson, E.K., Peterson, D.W., and Harrod, R.J. 2008. Understory vegetation response to thinning and burning restoration treatments in dry conifer forests of the eastern Cascades, US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5: 3130-3140, doi:10.1016/j.foreco.2008.01.026. 

  9. Franklin, J.F., Spies, T.A., Van Pelt, R., Carey, A.B., Thornburgh, D.A., Berg, D.R., Lindenmayer, D.B., Harmon, M.E., Keeton, W.S., Shaw, D.C., Bible, K., and Chen, J. 2002. Disturbances and structural development of natural forest ecosystems with silvicultural implications, using Douglas-fir forests as an exampl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55: 399-423. 

  10. Fule, P.Z., Laughlin, D.C., and Covington, W.W. 2005. Pineoak forest dynamics five years after ecological restoration treatments, Arizona, US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18: 129-145. 

  11. Halpern, C.B. 1988. Early successional pathways and the resistance and resilience of forest communities. Ecology 69: 1703-1715. 

  12. Halpern, C.B. 1989 Early successional patterns of forest species: interactions of life history traits and disturbance. Ecology 70: 704-720. 

  13. Halpern, C.B. and Lutz, J.A. 2013. Canopy closure exerts weak controls on understory dynamics: a 30-year study of overstory-understory interactions. Ecological Monographs 83: 221-237. 

  14. Inouye, R.S., Huntly, J.N., Tilman, D., Tester, J.R., Stillwell, M., and Zinnel, K.C. 1987. Old-field succession on a Minnesota sand plain. Ecology 68: 12-26. 

  15. Jules, M.J., Sayer, J.O., and Jules, E.S. 2008. Asses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tand development and understory vegetation using a 420-year chronosequenc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5: 2384-2393. 

  16. Korea Forest Service. 2007. Korean plant names index. Korea National Arboretum. 

  17. Lee, C.S., Kim, J.H., Yi, H., and You, Y.H. 2004. Seedling establishment and regeneration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s in Korea in relation to soil moistur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9: 423-432. 

  18. Lee, K.S. 2006. Changes of Biomass,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P/B Ratio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in Korea. Journal of Ecological and Field Biology 29(3): 237-245. 

  19. Lee, K.S., Choung, Y.S., Kim, S.-C., Shin, S.S., Ro, C.-H., and Park, S.D. 2004.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after Forest Fire in the East Coastal Regio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7(2): 99-106. 

  20. Lee, T.B. 100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ress, Seoul. pp. 990. 

  21. Metlen, K.L. and Fiedler, C.E. 2006. Restoration treatment effects on the understory of ponderosa pine/Douglas-fir forests in western Montana, US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2: 355-369. 

  22. Metlen, K.L., Fiedler, C.E., and Youngblood, A. 2004. Understory responses to fuel reduction treatments in the Blue Mountains of northeastern Oregon. Northwest Science 78: 175-185. 

  23. Moola, F.M. and Vasseru, L. 2004. Recovery of late-seral vascula plants in a chronosequence of post-clearcut forest stands in coastal Nova Scotia, Canada. Plant Ecology 172: 183-197. 

  24. Moore, M.M., Casey, C.A., Bakker, J.D., Springer, J.D., Fule, P.Z., and Covington, W.W. 2006. Herbaceous vegetation responses (1992-2004) to restoration treatments in ponderosa pine forest. Rangland Ecology and Management 59: 135-144. 

  25. Nelson, C.R., Halpern, C.B., and Agee, J.K. 2008. Thinning and burning result in limited invasion of nonnative plants but neutral effects on natives. Ecological Applications 18: 762-770. 

  26. Pickett, S.T.A. 1989. Space for time substitution as an alternative to long-term studies. In: Likens GE (ed), Longterm studies in ecology. Wiley, Chichester. pp. 71-88. 

  27. You, Y.-H. and Lee, C.-S. 2003. Early Vegetation Succession in Abandoned Field in Cheju Island. Korean journal of ecology 26(4): 209-2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