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소유역의 토사유실량 예측을 위한 RUSLE와 MUSLE 모형의 적용성 평가
Application of RUSLE and MUSLE for Prediction of Soil Loss in Small Mountainous Basin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1, 2014년, pp.98 - 104  

정유경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상원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기환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기영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헌호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지소유역에서 예측한 토사유실량 모형과 실측한 토사유실량을 비교함으로써 예측모형의 적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정량적인 토사량 산정을 위하여 72개의 조사지점별로 각각의 영향인자를 산정하여 토사유실량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토사유실량 산정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LS 인자가 영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USLE, MUSLE 모형과 실측된 토사유실량의 총량을 비교한 결과, 두 모형은 실측치에 비하여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RUSLE 모형이 실측치와 근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 지점별 값의 비교에서는 MUSLE 값의 변동계수가 더 낮았으나, 값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산지소유역에서의 RUSLE와 MUSLE 모형을 이용한 토사유실량의 예측은 적합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산지소유역에서 토사유실량 예측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강우사상에 대한 데이터 수집과 기존 토사유실 예측 모형에 사용되는 인자의 보완 및 개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amount of soil loss from Mt. Palgong's small basin, by using influence factors derived from related models, including RUSLE and MUSLE models, and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del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dicted values and measured values, and the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지소유역에서의 토사유실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정된 유역의 각 인자들을 실측하고 토사유실량 모형인 RUSLE와 MUSLE를 모의하였다. 또한, 모형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각 영향인자의 공간분포를 산정하고 그에 따른 토사유실량 예측모형의 결과값을 비교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RUSLE와 MUSLE 모형에 대한 영향인자를 산출하여 팔공산 산지소유역의 토사유실량을 예측하고, 실제 관측한 토사유실량과 비교함으로써 두 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또한, 모형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각 영향인자의 공간분포를 산정하고 그에 따른 토사유실량 예측모형의 결과값을 비교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산지소유역에서의 토사유실량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정량적인 토사유실량의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사의 유실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은? 토사유실량의 산정은 토양침식을 제어하고 토사재해의 위험도를 평가하는데 기초가 되는 작업이다. 토사의 유실은 강우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강우가 시작되면 빗방울에 의해 우격침식이 발생하고, 토양 내부로 침투되지 못한 빗물은 세류되어 토양의 유실을 가속화시킨다. 특히 산림지역은 급경사지가 많기 때문에 유실된 토양이 하류쪽으로 흘러내려가 대형 토사재해로 이어질 우려가 높다.
토사의 유실로 인해 산림지역에서 대형 토사재해가 일어날 수 있는 이유는? 토사의 유실은 강우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강우가 시작되면 빗방울에 의해 우격침식이 발생하고, 토양 내부로 침투되지 못한 빗물은 세류되어 토양의 유실을 가속화시킨다. 특히 산림지역은 급경사지가 많기 때문에 유실된 토양이 하류쪽으로 흘러내려가 대형 토사재해로 이어질 우려가 높다.
토사유실량의 산정은 무엇인가? 토사유실량의 산정은 토양침식을 제어하고 토사재해의 위험도를 평가하는데 기초가 되는 작업이다. 토사의 유실은 강우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강우가 시작되면 빗방울에 의해 우격침식이 발생하고, 토양 내부로 침투되지 못한 빗물은 세류되어 토양의 유실을 가속화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onta, J.V. 2000. Runoff-Energy Factors for MUSLE Sediment Yield Model for surface mines, International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15(2): 162-181. 

  2. Elena Amore, Carlo Modica, Mark A. Nearing, and Vincenza C. Santoro. 2004. Scale effect in USLE and WEPP application for soil erosion computation from three Sicilian basins, Journal of Hydrology 293: 100-114. 

  3. Foster, G.R. and Wischmeier, W.H. 1974. Evaluating orregular slopes for soil loss prediction. Transactions of the ASAE 23: 305-309. 

  4. Hua Lu, Chris J. Moran, Ian P. Prosser, Hichael R. Raupach, Jon Olley, and Cuan Petheram. 2003. Sheet and rill erosion and sediment delivery to streams: a basin wide estimation at hillslope to medium catchment scale, CSIRO Land and Water, Technical Report: 16. 

  5. Im, S.S., Kim, M.S., Kim, J.H., and Paik, K.R. 2012. Comparison of RUSLE and LISEM for the evalu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imulated sediment yiel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2(5): 199-206. 

  6. Kim, J.H., Kim, K.T., and Yeon, G.B. 2003. Analysis of soil erosion hazard zone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6(2): 22-32. 

  7. Kim, Y.P., Lee, K.H., and Songm, S.T. 2008. Analysis of soil erosion hazard zone in Gaya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3): 1-11. 

  8. Lal, R. 1988. Effects of slope length, slope gradient, tillage methods and cropping systems in runoff and soil erosion on a tropical Alfisol: preliminary results. Sediment Budgets, Proceedings of the porto Alegre Symposium, IAHS Publ. no. 174. 

  9. Nearing, M.A. 1998. Why soil erosion models over-predict small soil losses and under-predict large soil losses. Catena 32: 15-22. 

  10. Nearing, M.A. 2000. Evaluating soil erosion models using measured plot data: Accounting for variability in the data. Earth Surf. Process Landforms 25: 1035-1043. 

  11. Nearing, M.A., Foster, G.R., Lane, L.J., and Finkner, S.C. 1989a. A process based soil erosion model for USDA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technology. Trans ASAE 32(5): 1587-1593. 

  12. Park, K.H. 2003. Soil erosion risk assessment of the Geumho river watershed using GIS and RUSLE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6(4): 24-36. 

  13. Renard, K.G., Foster, G.R., Weesies, G.A., and Porter, J.P. 1991.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J. Soil Water Conserv 46(1): 30-33. 

  14. Renfro, G.W. 1975. Use of erosion equations and sediment delivery ratio for predicting sediment yield:In present and prospective technology for predicting sediment yields and sources. Agricultural Resources Services. ARS-S-40,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pp. 33-45. 

  15. Sezgin Hacisalihoglu, Ahmet Mert, M. Guvenc Negiz and Bart Muys. 2010. Soil loss prediction using universal soil loss equation(USLE) simulation model in a mountainous area in Aglasun district, Turkey,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9(24): 3589-3594. 

  16. Son, K.I. 2005. Modelling of sediment transportation and deposition in G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8(3): 223-233. 

  17. Williams, J.R. 1975. sediment routing for agricultural watershed. Water Resources Bul 11(5): 965-694. 

  18. Williams, J.R. 1978. A sediment yield routing model. In proceeding,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Verification of mathematical and physical models in hydrolic Engineering. pp. 662-670. 

  19. Wischmeier, W.H. and Smith, D.D.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Agriculture Handbook 537. US Department of Agriculture-Science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20. Wischmeier, W.H., Johson, C.B., and Cross, B.V. 1971. A soil erodibility nomograph for farmland and construction sites. Journal Soil Water Conservation 26(5): 3-189. 

  21. Won, J.Y. and Lee, J.S. 2012. An improvement on estimation of runoff factor equation for mountain area in MUS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2(5): 207-2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