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행강우를 고려한 제주하천 유출특성 분석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in a Jeju Stream considering Antecedent Precipit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3 no.4, 2014년, pp.553 - 560  

양성기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동수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정우열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in Jeju Island significantly differ from those in inland, due to highly permeable geologic features driven by volcanic island. Streams are usually sustained in the dry conditions and thereby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changes in terms of initiating stre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특정 강우 사상에 대한 유출율은 선행 강우 여부에 따라 편차가 존재하므로 연간 평균 유출율로 특정 강우 사상에서 주어진 강수량에 대한 유출량을 산출하는 것은 많은 오차를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주도의 강우유출 특성 중 선행강우 존재 여부에 따라 상이한 지체시간과 유출율을 강우사상 별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분석 대상으로 제주도 북부의 한천유역을 선정하였고, 2012년 4번의 태풍을 비롯한 주요 강우 사상에 대하여 선행 강우 존재 시와 비존재시로 나누어 지체시간과 해당 강우 사상에 대한 단기 유출율을 계산하였다.
  • 본 연구는 2012년 제주도를 통과한 4회의 태풍과 1회 집중호우 시 관측된 강우 및 유량 자료를 기반으로 제주시 한천의 제2동산교 유역의 지체시간과 강우량 대비 유출율을 각 강우 사상별로 산정해 보았다. 그 결과, 선행강우 유무에 따라 지체시간과 유출율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화산섬인 제주도의 경우 투수계수가 매우 커 선행강우 여부에 따라 사상 별 강우-유출량의 비가 상이한 현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1년 단위의 강우-유출 총량을 파악하는 대신, 강우사상 별 강우-유출 총량비를 산출하여 강우 발생 시 유출량의 비를 강우 규모와 선행강우 여부에 따른 특성을 기반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 지체시간 (Lag Time)의 계산은 원칙적으로 유출수문곡선의 첨두 발생시간에서 유효강우의 질량중심에 해당하는 시간의 차이를 통해 계산되나 실무에서는 일반적으로 질량중심이 계산하기 까다롭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어 질량중심 대신 최대 강우강도가 발생하는 시간과의 차이를 통해 계산하는 간편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체시간을 이러한 간편법을 통해 계산하였고 선행강우의 여부, 강우의 지속시간, 강우의 규모에 따른 지체시간의 차이를 규명하여 해당 유역의 유출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강우사상은 2012년에 발생한 5번의 대규모 강우-유출 사상인 태풍 카눈,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천의 하상경사는 얼마인가? 분석 대상 유역에 위치한 한천은 제주도 중산간에서 발원하여 제주도 북부 해안으로 흐르는 전형적인 산지하천으로 하폭이 약 35 m이고 하천 바닥은 현무암질 암반으로 구성되고 자갈이 다소 분포되어 있다. 하상경사는 약 0.0256 으로 상대적으로 급한 자갈 및 암반 지형의 전형적인 산지하천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Yang 등, 2012). 한천은 제주시를 관통하는 하천으로 2007년 태풍 나리 통과 시 하천이 범람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은 바 있어 (Jie 등, 2007), 제주도 및 제주시의 주요 재난재해 관심 대상 하천이기도 하다.
지체시간이란 무엇인가? 지체시간은 유역의 강우 발생 이후 유역의 출구로의 유출량 반응 시간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홍수 관리에 있어 중요한 인자로 홍수반응 시간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짧은 홍수반응시간은 높은 유출속도를 갖게 되므로 홍수위험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Kim과 Choi, 2011). 지체시간은 유효우량 주상도의 질량 중심선으로부터 첨두유량이 발생하는 시간까지의 간격을 계산하여 산정한다(Lee, 2005).
지체시간은 어떻게 산정되는가? 지체시간은 유역의 강우 발생 이후 유역의 출구로의 유출량 반응 시간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홍수 관리에 있어 중요한 인자로 홍수반응 시간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짧은 홍수반응시간은 높은 유출속도를 갖게 되므로 홍수위험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Kim과 Choi, 2011). 지체시간은 유효우량 주상도의 질량 중심선으로부터 첨두유량이 발생하는 시간까지의 간격을 계산하여 산정한다(Lee, 2005). 제주도의 경우, 지체시간의 계산은 한라산 산간의 강우가 유출의 형태로 제주시와 같은 하류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을 알 수 있어 홍수 예경보 등 방재대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ung, I., Lee, J., Kim, J., Na, H., Kim, N., 2011, Development of Threshold Runoff Simulation Method for Runoff Analysis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10), 1347-1355. 

  2. Jeju province and K-Water, 2003, Integrated Hydrogeologic and groundwater survey in Jeju island III. 

  3. Ji, H., Koh, B., Yoon, K., Lee, S., Ahn, S., 2007, Investigation of disaster driven factors and permanent counteracts for Typhoon Nari,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9(9), 29-35. 

  4. Kang, Y., Kim, B., Park, S., Choi, H., 2013, Estimation of Effective Rainfall Guidance Considering Infiltration Capacity-Rainfall Intensity, Journal of KOSHAM, 13(1), 303-308. 

  5. Kim, E., Choi, H., 2011, Estimation of flood index for ungaged small watershed using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44(2), 34-42. 

  6. Koh, K., 2006,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and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Jeju Island (1),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7), 73-80. 

  7. Lee, B., Choi, J., Choi, Y., Bae, D., 2012, Validation of Real-Time River Flow Forecast Using AWS Rainfall Dat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45(6), 607-616. 

  8. Lee, J., 2005, Hydrology, Goomibook. 

  9. Mutronix, 2010, Electro-magnetic surface velocimetry for low and medium flow, patent license 10-2010-89895. 

  10. Ott, 2000, Radar sensor for contact free measurement of surface wave level, Kalesto. 

  11. Yang, S., Kim, D., Yu, K., Kang, M., Jeong, W., Lee, J., Kim, Y., You, H., 2010, Comparison of Flood Discharge and Velocity Measurements in a Mountain Stream Using Electromagnetic Wave and Surface Image,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6), 739-7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