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수처리장 사여과지의 이단이중여과재 시스템으로의 개량
Improvement of Rapid Sand Filtration to Two Stage Dual Media Filtration System in Water Treatment Plant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3 no.4, 2014년, pp.737 - 742  

우달식 (한국계면공학연구소) ,  김준언 (효성에바라엔지니어링) ,  황병기 (상명대학교) ,  채수권 (을지대학교) ,  조관형 (청운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for evalua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two stage dual media filtration system in field water treatment plant. The field plant of two stage and dual media filtration system was operated for 2 months. Average iron concentrations of the settled water, existing filtered water and se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여과시설의 개선 및 신설시 채택이 가능한 5,000m3/day 규모의 이단이층 복합여과 시스템 실증플랜트를 설치하여 여러 가지 수질항목의 제거율을 분석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기존 정수장과 비교하여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Woo 등, 2011)에서 발표한 파일롯플랜트 실험 결과에 추가하여 실증플랜트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는데, 파일롯플랜트와 마찬가지로 급속여과지를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하여 상단에서는 전처리용의 조립모래층에서 입자성 탁질유발물질을 제거하고, 하단에서는 본 처리용의 활성 석탄층에서 미량의 유해유기물질 등을 제거하였으며, 활성탄층 하단의 마감처리용 세립모래층에서 미세 분말활성탄 및 병원성 미생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소규모 이단이층 복합여과시스템 실증플랜트를 설치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소규모 파일롯플랜트 운전결과를 토대로 실제 정수장에 실증플랜트를 적용하여 파일롯플랜트와 같은 방식의 이단복합 여과시스템을 설치하고 운전하였다. 정수장 내 4개의 여과지 중 2개의 여과지를 개량하여 각각의 여과지에 조립사와 안스라사이트를 주입하였고 나머지 1지에는 활성탄을 주입하여 연구하였다.
  • 실증플랜트의 성능 평가를 위해 NH3-N, Fe, 잔류 염소, THM(Trihalomethane), Chloroform(CHCl3)제거효율을 지표로 하여 실험하였다. NH3-N과 Fe 농도는 분광광도계(Hach 2100A, Colorado,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잔류염소 측정을 위한 염소표준용액은 12%의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용액을 초순수로 희석하여 5000 mg/L의 stock solution을 준비한 후 DPD 비색법(ASCE 등, 1998)을 이용하여 그 농도를 측정하였다.
  • 소규모 파일롯플랜트 운전결과를 토대로 실제 정수장에 실증플랜트를 적용하여 파일롯플랜트와 같은 방식의 이단복합 여과시스템을 설치하고 운전하였다. 정수장 내 4개의 여과지 중 2개의 여과지를 개량하여 각각의 여과지에 조립사와 안스라사이트를 주입하였고 나머지 1지에는 활성탄을 주입하여 연구하였다.
  • 파일롯플랜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활용한 실증플랜트를 현장에 적용하고자 정수장내 4개의 여과지중 2개의 여과지를 개량하여 1개의 여과지에는 이단여과 복합시스템의 1단 여과지를 설치하고 나머지 1개의 여과지에 활성탄을 주입하여 2단여과지를 시공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실증 플랜트의 계통도를 Fig.
  • 파일롯플랜트 운전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하여 정수장내에 5000m3/day 규모의 이단이층 복합여과시스템 실증플랜트를 설치하였으며 각 층의 운전조건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이론/모형

  • )제거효율을 지표로 하여 실험하였다. NH3-N과 Fe 농도는 분광광도계(Hach 2100A, Colorado,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잔류염소 측정을 위한 염소표준용액은 12%의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용액을 초순수로 희석하여 5000 mg/L의 stock solution을 준비한 후 DPD 비색법(ASCE 등, 1998)을 이용하여 그 농도를 측정하였다. 고농도의 염소용액은 사용 직전에 농도를 측정하여 주입농도에 따라 분취하여 시료에 주입하였다.
  • 고농도의 염소용액은 사용 직전에 농도를 측정하여 주입농도에 따라 분취하여 시료에 주입하였다. THM 분석은 US EPA 502.2 방법(US EPA, 1995a)에 의하여 실시하였고, Chloroform 분석은 US EPA 551.1 방법(US EPA, 1995b)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기존 정수처리 방법으로 채택하여 온 것은? 우리나라의 계절별 수질 특성을 살펴보면, 봄과 가을에는 조류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여름에는 집중 강우로 인해 고탁수가 유입되며, 겨울에는 지리적 특성상 저수온으로 인한 응집효율 저하 등의 문제로 인해 기존 급속여과지에 큰 부하를 주게 되어 여과효율의 급격한 저하를 유발시킬 수 있다(Lee 등, 2001). 국내에서는 기존 정수처리 방법으로는 제거가 곤란한 미량오염물질을 제어할 수 있는 고도정수처리공정으로서 대부분 모래여과를 거친 후 입상활성탄 공정 또는 오존+생물활성탄 여과공정을 채택하여 왔다. 국내 일부 정수장에서도 입상활성탄 공정 등을 적용하여 시행하고 있다(Kim과 Kim.
소규모 이단이층 복합여과시스템 실증플랜트의 특징은?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Woo 등, 2011)에서 발표한 파일롯플랜트 실험 결과에 추가하여 실증플랜트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는데, 파일롯플랜트와 마찬가지로 급속여과지를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하여 상단에서는 전처리용의 조립모래층에서 입자성 탁질유발물질을 제거하고, 하단에서는 본 처리용의 활성 석탄층에서 미량의 유해유기물질 등을 제거하였으며, 활성탄층 하단의 마감처리용 세립모래층에서 미세 분말활성탄및 병원성 미생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소규모 이단이층 복합여과시스템 실증플랜트를 설치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5,000m3 /day 규모의 이단이층 복합여과 시스템 실증플랜트를 설치하여 여러가지 수질항목의 제거율을 분석하여 적용성을 평가하고, 기존 정수장과 비교하여 도출한 결과는? 1. 실제 정수장에 적용한 실증플랜트 실험결과 침전지 유출수의 Fe 평균농도는 0.041 mg/L이며 기존 급속모래여과지에서는 0.007 mg/L, 2단 여과지에서는 0.005 mg/L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단복합여과 시스템이 기존급속여과지의 Fe 제거 효율이 약 35% 이상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침전지 유출수의 잔류염소 평균농도는 0.434 mg/L이며 기존 급속여과지에서 0.051 mg/L, 2단 여과지에서는 0.029 mg/L로 검출되었다. 급속여과지에 비해 이단복합여과시스템에 의한 잔류염소가 42.3% 더 높게 제거되었다. 2. 침전지 유출수의 NH3 -N의 평균농도는 0.040 mg/L이며, 기존 급속모래여과지에서 0.025 mg/L, 2단 여과지에서 0.021 mg/L로 제거되었다. 기존여과지에 비해 1단 및 2단 여과지 공정을 거친 최종처리수의 NH3-N 농도가 약 15.3% 높게 제거되었다. 3. 소독부산물인 THM과 Chloroform 평균농도를 비교한 결과 침전지 유출수의 THM 평균농도는 0.033 mg/L이며 기존 급속여과지에서 0.023 mg/L, 2단 여과지에서는 0.008 mg/L이었다. Chloroform 평균농도는 침전지 유출수에서 0.026 mg/L이며 기존 급속여과지에서 0.023 mg/L, 2단 여과지에서는 0.013 mg/L이었다. 4. 본 연구에서 적용한 이단복합여과시스템과 기존의 급속모래여과지를 비교한 결과, 역세척 실시 기준을 탁도 유발물질의 유입에 따른 여재공극 감소로 인해 증가하는 수위로 실시하였을 때 기존급속여과지의 역세주기는 약 1~1.5일이며, 이단복합 여과시스템중 1단 여과지 역세주기는 4~5일이었다. 감사의 글본 연구는 환경부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과 국토해양부 건설기술혁신사업의 연구비지원(12기술 혁신C01)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PHA, AWWA, WEF, 1998,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Washington, DC. 

  2. Boorman, G. A., Dellarco, V., T., Dunnick, J. K., Chapin, R. E., Hunter, S., Hauchman, F., Gardner, H., Cox, M., Sills, R.C., 1999, Drinking water disinfection byproducts: Review and approach to toxicity evaluation, Env. Health Persp., 107(Suppl 1), 207-217. 

  3. Jo, K. H., Kim, P. C., Woo, D. S., Cho, Y. T., 2002, The characteristics of chloramine formation and decay with pH variation, Kor. J. Env. Sci., 11(4), 347-353. 

  4. Kim, C. H., Kim, H. S., 2003, International seminar on membrane filtration technology for water supply, J. Kor. Soc. Wat. Waste., 17(5), 594-605. 

  5. Kim, J. K., Jeong, S. G., Shin, C. S., Cho, H. J., 2005, Characteristics of disinfection by-products formation in Korea, J. Kor. Soc. Wat. Waste., 19(3), 301-311. 

  6. Kim, S. S., Lee, K. H., 2005, Assessment and optimization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process in water treatment process, J. Kor. Soc. Wat. Waste., 19(6), 781-790. 

  7. Lee, Y. J., Jo, K. H., Choi, J. H., Myung, B. T., Nam, S. H., 2001, Evaluation of chlorine demand and chlorine decay kinetics for drinking water, Kor. J. Env. Health Sci., 27(1), 27-35. 

  8.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Standard for water treatment woks, Korea Water and Wastewater Works Association. 

  9. Page, T., Harris, R. H., Epstein, S. S., 1976, Drinking water and cancer mortality in Louisiana, Science, 193, 55-57. 

  10. Rook, J. J., 1974, Formation of haloforms during chlorination of natural water, J. Wat. Treat. Exam., 23(2), 234-243. 

  11. US EPA, 1995a, Determination of Organic Compounds in Drinking Water, Method 502.2, Cincinnati, Ohio. 

  12. US EPA, 1995b, Determination of Organic Compounds in Drinking Water, Method 551.1, Cincinnati, Ohio. 

  13. Woo, D. S., Hwang, K. W., Kim, J. E., Hwang, B. G., Jo, K. H., 2011, Improvement of rapid sand filtration to two stage dual media filtration system in water treatment plant, Kor. J. Env. Health Sci., 37(2), 141-1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