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도심부 도시한옥주거지의 입지와 특성
The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Hanok Area in the Downtown of Seoul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3 no.2, 2014년, pp.65 - 80  

송인호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 ,  김미정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lo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hanok tissues that were formed in the downtown since 1920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s and lots, the developing process and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Through dividing the larg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성 안 도시한옥주거지의 형성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본 연구는 20세기 전반의 도성 내 필지변화과정을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한옥 주거지 조직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20세기 서울 도심부 도시조직의 변동 속에서 새로운 주택 유형으로서의 도시한옥주거지 형성과정과 그것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12년 이후 도성 안에서 일어난 대형필지의 분필과정 속에서 형성된 한옥주거지를 대상으로 주거지의 형성과정과 대응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 도시조직의 기본단위는 연구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는데, 대표적으로 길과 필지를 도시조직의 구성요소로 보고 건축물을 이에 적응하는 요소로 인식하는 도시적 관점과, 건물과 필지, 가로를 유기체로 설명하면서 이들 간의 상호 관계에 주목하는 건축적 관점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옥주거지의 단위 구조를 길과 필지의 관계에 주목하여 1912년 대형필지의 경계 속에서 필지와 길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도심부에 분포하고 있는 도시한옥주거지를 대상으로 20세기 도시조직의 변동 속에서 도시한옥주거지가 어떻게 성립되었고 적응되었는가를 밝히는데 있다. 서울도심부는 조선시대 한성부의 도성 안 지역으로, 숭례문(국보1호)과 흥인지문(보물1호)과 서울한양도성(사적10호) 및 유적으로 둘러싸여있는 지역을 말한다.
  • 본 연구는 20세기 서울 도심부 도시조직의 변동 속에서 새로운 주택 유형으로서의 도시한옥주거지 형성과정과 그것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12년 이후 도성 안에서 일어난 대형필지의 분필과정 속에서 형성된 한옥주거지를 대상으로 주거지의 형성과정과 대응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도시한옥주거지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2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서울의 도시한옥은 어떻게 양산되었나? 192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서울의 도시한옥은 조선인 건설업자에 의해 주도되어 분양을 통한 근대적 공급방식으로 양산되었다. 당시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주택부족문제가 심각해지자 1930년대 중반까지 도심에 있는 대형필지를 중심으로 도시한옥주거지가 조성되는 것이 주택공급의 일반적인 패턴이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일제치하의 서울은 어떠한 시기였나? 1920년대와 1930년대 일제치하의 서울, 경성부에서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새로운 주거지의 공급으로부터 비롯되었다. 당시는 일제의 대자본에 의해 각종 건설업이 지배를 받던 시기로, 소자본과 전근대적 생산방식에 머물던 토착자본이 전통한옥을 개량하여 새로운 도시주거 유형을 만들고, 대량생산과 분양을 목적으로 하는 근대적 경영방식으로 전환해가던 시기였다. 따라서 새롭게 만들어지기 시작한 도시한옥주거지는 전통적인 마을이나 고을처럼 점진적이며 자율적으로 형성된 주거지가 아니라 대규모로 단기간에 지어진 주거지라는 점에서 ‘근대적’ 성격을 가진다.
도시한옥의 특징은? 도시한옥은 근대적 주거생산양식, 즉 주택경영회사의 출현으로 인한 주택의 생산 및 공급방식의 변화와 공장 생산된 건축자재의 사용에 의해 집단적으로 개발된 한옥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도시한옥은 주택의 상품 가치적 측면이 강조되면서 형태의 장식화 및 상업성 등의 과시적 경향이 표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京城都市計劃調査書, 1928 

  2. 京城府地形明細書, 1917 

  3. 京城府地形明細書, 1929 

  4. Kim, Young-Su, Song, In-Ho, A Study on the Exterior Space Composition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on the Hill in Seoul, Journal of Architectual Institute of Korea, Vol16 No1, 2000. 1 

  5. Kim Ran-Gi(김란기), A Research of Architectural Institutional and Craftmen Ship in the Mordernization Ages of Korea, Doctoral thesis of Hongik Univ., 1989 

  6. Park, Je-Seong, Song, In-Ho, A Study on the Urban Tissue of Kahoedong and Kyedong in Seoul, Journal of Architectu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Proceedings(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1.4 

  7. Park, Cheol-Jin, Jeon, Bong-Hee, 1The Socio-econom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Plan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in Seoul of 1930s, Journal of Architectual Institute of Korea, Vol18 No7, 2002.7 

  8. The Seoul Institute, The spatial changes in 20th-century Seoul (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2001 

  9. Hanok Asset Upward Portfolio Exhibition (서울한옥미래자산展), 2008. 6 

  10. Seong, Tae-Won, Song, In-Ho, The Morphogenetic Process and Morphological Character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Area of Sam-cheong 35, Seoul, Journal of Architectu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Proceedings(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2 No2, 2002.10 

  11. Seong, Tae-Won, Song, In-Ho,The Typomorphological Character of Urban Traditional Housin Area in SamCheong-35, Seoul, Master's thesis of UOS., 2003.06 

  12. Sohn, Sei-Kwan, Shin, Jin-Hee,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Residential Block in Seoul, Journal of Architectual Institute of Korea , Vol19 No4, 2003.04 

  13. Son, Jeong-Mok(손정목), The research of urban society for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일제강점기 도시사회상 연구),Iljisa(일지사), 1996 

  14. Song, In-Ho, A Study on the Plan Types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Journal of Architectual Institute of Korea, Vol14 No1, 1988. 2 

  15. Song, In-ho, Typomorphological Study on Open-rectangular plan Hanok in the Traditional Urban Housing Neighborhood of Bukchon, Seoul, Journal of Architectual History, Vol13, 2004.12 

  16. Song, In-ho, A Study on the Types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in Seoul from 1930 to 1960, Doctoral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 1990 

  17.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 1931 

  18. Cho, Joon-Beom, Choi,Chan-Hwan,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Urban Tissues showed from subdivision and amalgamation of lots in Bukchon, Seoul, Journal of Architectual Institute of Korea, Vol19 No2,, 200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