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턴의 일반화된 이항정리의 기원
The Origin of Newton's Generalized Binomial Theorem 원문보기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한국수학사학회지, v.27 no.2, 2014년, pp.127 - 138  

고영미 (Dept. of Math., The Univ. of Suwon) ,  이상욱 (Dept. of Math., The Univ. of Suw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how Newton discovered the generalized binomial theorem. Newton's binomial theorem, or binomial series can be found in Calculus text books as a special case of Taylor series.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a formal power series which was first conceived by Euler if conver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은 「뉴턴은 이항급수 또는 일반화된 이항정리를 어떻게 발견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뉴턴의 이항급수는 대학의 미분적분학에서 다루어지는 내용 중에서 테일러 급수를 적용하거나, 오일러에 의해서 최초로 시작된 형식멱급수(formal power seires)의 개념으로 설명이 가능하지만, 뉴턴이 이항급수를 발견한 시기는 1665년 경으로 테일러(Talor, 1685–1731)나 오일러(Euler, 1707–1783)가 태어나기 전이다.
  • 이 논문은 「뉴턴은 이항급수 또는 일반화된 이항정리를 어떻게 발견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뉴턴의 이항급수는 대학의 미분적분학에서 다루어지는 내용 중에서 테일러 급수를 적용하거나, 오일러에 의해서 최초로 시작된 형식멱급수(formal power seires)의 개념으로 설명이 가능하지만, 뉴턴이 이항급수를 발견한 시기는 1665년 경으로 테일러(Talor, 1685–1731)나 오일러(Euler, 1707–1783)가 태어나기 전이다.
  • 대학과정에서 뉴턴의 일반화된 이항정리는 미분적분학에서 뿐만 아니라 이산수학 혹은 조합론에서 생성함수를 다룰 때도 소개된다. 이 논문은 테일러급수보다 먼저 나온 이항급수가 어떻게 발견되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뉴턴과 월리스가 살았던 17세기는 지금의 우리에게 익숙한 엄밀한 논리에 따른 수학적 증명이 아직 생겨나기 전이었고 특히 함수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나 급수의 수렴성은 아직 다루어지지 않았던 때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탈리아의 수학자 카발리에리를 유명한 수학자로 만들어준 책은 무엇인가? 곡선 아래 영역의 넓이를 구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적분법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한다면, 이런 적분법의 기초를 최초로 만든 사람은 이탈리아의 수학자 카발리에리(Cavalieri, 1598–1647)라고 할 수 있다. 1635년에 출판된 책《Geometria indivisiblibus continuorum nova quadam ratione promota》은 카발리에리를 유명한 수학자로 만들어주었다 [1]. 그는 이책에서 불가분량(indivisible)이라는 무한소(infinitesimal) 개념을 이용해서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소진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소진법은 일반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서, 그리스인들은 쌍곡선 y = 1/x아래 영역 등을 포함해 많은 영역의 넓이를 알 수 없었다 [2]. 14세기에 오어섬(Oresme)으로부터 곡선 아래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적분법의 기초를 최초로 만든 사람은 누구인가? 곡선 아래 영역의 넓이를 구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적분법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한다면, 이런 적분법의 기초를 최초로 만든 사람은 이탈리아의 수학자 카발리에리(Cavalieri, 1598–1647)라고 할 수 있다. 1635년에 출판된 책《Geometria indivisiblibus continuorum nova quadam ratione promota》은 카발리에리를 유명한 수학자로 만들어주었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 ANDEERSON, Cavalieri's method of indivisibles, 1984. (http://library.mat.uniroma1.it/appoggio/MOSTRA2006/ANDERSEN.pdf) 

  2. M. CARROLL, S. DOUGHERTY, D. PERKINS, Indivisibles, infinitesimals and a tale of seventeenth-century mathematics, Math. Magazine 86 (2013), 239-254. 

  3. J. L. COOLIDGE, The story of the binomial theorem, The Amer. Math. Monthly 56(3) (1949), 147-157. 

  4. D. DENNIS, S. ADDINGTON, The binomial series of Issac Newton, Mathematical Intentions (http://www.quadrivium.info.) 

  5. D. DENNIS, J. CONFREY, The creation of continuous exponents: A study of the methods and epistemology of John Wallis, Researches in Collegiate Mathematics (CBMS Vol. 6) AMS (1996), 33-60. 

  6. D. DENNIS, V. KREINOVICH, S. RUMP, Intervals and the origins of calculus, Reliable Computing 4(2) (1998), 1-7. 

  7. D. GINSBURG, B. GROOSE, J. TAYLOR, History of the integral from the 17th century, Lecture Note (www.math.wpi.edu/IQP/BVCalcHist/calc1.html) 

  8. REE Sangwook, KOH Youngmee, KIM YoungWook, e is Euler's style, Mathematics and Education 95 (2012), 68-77. 이상욱, 고영미, 김영욱, e는 오일러 스타일, 수학과 교육 (전국수학교사모임) 95 (2012), 68-77. 

  9. J. STILLWELL, Mathematics and its history, 3rd ed., Springer, 2010. 

  10. D. T. WHITESIDE, Newton's discovery of the general binomial theorem, The mathematical Gazette 45(353) (1961), 175-180. 

  11. http://en.wikipedia.org/wiki/Alhazen 

  12. http://www.robertnowlan.com/pdfs/Wallis,%20John.pdf 

  13. http://www.phrases.org.uk/meanings/268025.htm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